[기타 자료실]577 “중국 연변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일고찰(1945.8-1950.말)” - 염인호 염인호(2008). 중국 연변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일고찰(1945.8-1950.말). 한국사연구(140), 125-151. I. 머리말 연변에서 발간된 1945년 10월 26일자에 의하면 당시 연변 5개 현에 거주하는 조선인 수는 65만여 명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연변을 떠나 한반도로 귀국... 적지 않은 만주의 오지 거주 조선인들이 연변으로 돌아왔다. 1946년 12월에 작성... 연길, 화룡, 왕청, 훈춘 등 4개 현에 거주하는 조선인은 59만여 명이었고 이는 4개 현 총인구 가운데 79~80%를 차지하였다. (125) 8ㆍ15해방에서 중국군이 6ㆍ25전쟁에 참전하는 1950년말 사이의 연변 조선인들의 민족정체성 문제... (125) 민족정체성... 중국인의 일부... 조선인의 일부... .. 2021. 3. 31. “1920~30년대 기독교인들의 사회주의 인식” - 김권정 김권정(1996). 1920~30년대 기독교인들의 사회주의 인식. 한국기독교와 역사(5), 78-116. 1. 머리말 기독교와 사회주의 양자는 19세기와 20세기에 와서야 한국에 수용된 외래의 종교와 사상... 남한 천만여 명의 기독교 신자... 북한의 천만여 명의 사회주의자... 양자의 이해와 화해는 7천만 민족의 진로가 결정될 수 있는 주요한 문제... (78) 3ㆍ1운동 이후 사회주의가 국내의 지식인들에게 민족해방운동의 방법론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이미 (기독교와 사회주의) 양자의 관계가 성립되었던 역사적 경험... (78) 1920~30년대 시기의 기독교인들이 사회주의에 대해 갖고 있던 인식... (79) 1) 사회주의에 대해 낙관적인 자세였다는 견해... 2) 사회주의에 대해 ‘전투적’ 자세로 .. 2021. 3. 23. “1910년대 후반 기독교 담론의 형성과 ‘기독청년’의 탄생” -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를 중심으로 - 김민섭(2013) 김민섭 (2013). 1910년대 후반 기독교 담론의 형성과 ‘기독청년’의 탄생. 한국기독교와 역사(38, 177-203. I. 머리말 1919년 2월 8일,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는 동경 유학생 사회의 구성원 거의 전부가 모여 조선의 독립을 선포하는 모임을 가졌다. 이른바 2ㆍ8독립선언 사건... (177) 1910년대 후반... 조선에서 건너간 약 500여 명의 청년들이 유학하고 있었다... 동경 조선유학생학우회,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 동경 조선여자친목회... 「학지광」, 「기독청년」, 「여자계」... (177) ‘청년 지식인’을 자처한 그들의 관심사는 조선을 개혁할 새로운 사상을 찾는데 있었고, ‘기독교’는 그에 적합한 사상(종교)로 호출되었다. 2ㆍ8독립선언에 이르는 사상적 토대가 1910년.. 2021. 3. 2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제4장 : 3ㆍ1운동의 전개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 조동걸(趙東杰) 제4장 : 3ㆍ1운동의 전개 [제1절] 3ㆍ1운동의 요인 1. 항일의식의 기저 강원도에서의 3ㆍ1운동의 원류는 의병운동에서 먼저 찾아야 할 것 같다. (119) 사상적 기저로서 5백년 유교왕국의 전통에서 마련된 전근대적 김족감정과 천도교적 민족주의, 그리고 신교육을 표방한 학교 및 기독교의 전파 등으로 퍼지게 된 근대사상을 들 수 있다. (120) 유교적 민족감정은 한말의병사와 연결된 반제국주의 성격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평안도지방과 같이 정신구조의 변화가 빨랐던 지역도 있지만, 강원도의 경우는 교통통신이 외국과 연결된 곳도 아니며 중앙과도 용이한 곳이 아니어서 신문화의 유입이 늦었다. 영동지방이 보수성이 짙었음은 교통.. 2021. 3. 1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제3장 : 초기(1910~1919)의 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 조동걸(趙東杰) 제3장 : 초기(1910~1919)의 독립운동 [제1절] 1910년대의 독립운동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 멸망... 대한제국 정부의 해체... 일제가 계획하고 추진한 것은 1894년부터 본격화... 1894년부터 1910년까지는 반식민지 또는 준식민지 상태... (75) 이완용, 송병준, 이용구... 대한제국은 국민의 의지와는 달리, 일본제국주의와 그의 추종자 몇몇 사람에 의하여 일본에 합병... (75)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의 소멸과 함게 곧 조선총독부가 설치되어 면리까지 통할하는 식민행정의 전달체계를 확립하고 조선군사령부가 지휘하는 헌병경찰이 전국을 지배하였다... 식민체계의 경제적 기반 즉, 수탈체제의 .. 2021. 3. 15.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제2장 : 한말의 구국운동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 조동걸(趙東杰) 제2장 : 한말의 구국운동 [제1절] 의병전쟁의 전개 구한말 의병항쟁을 의병전쟁이라고 이름하는 것도 민족의 군대로서 항쟁했다는 데에 이유가 있는 것이다. (21) 한말 의병전쟁은 1894년 갑오왜란에 항거하여 일어난 후 3ㆍ1운동 직전인 1918년까지 계속... (21) 위정 1. 굳이 ‘전쟁’이라 하는 이유 1904년 한일의정서가 체결되면서 대한제국의 국왕과 정부는 민족의 의사를 대변할 처지에 있지 못하였다... 그럴 때 민족의 의사를 결정하는 것은 제도권의 형식적 당국자가 아니라 민족 그 자체인 것이다. (22-23) 민족운동의 주류의지와 행동양식을 민족의 대변자로 보아야 한다... 필자는 일제 침략에 항거한 의병운동이 민족.. 2021. 3. 15.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제1장 :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론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 조동걸(趙東杰) 제1장 :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론 [제1절] 독립운동의 개념 독립운동이란 식민지상태에서 자주국가의 수립과 자립경제의 실현을 위하여 노력하는 민족운동을 말한다. (3) 자주국가의 수립이란 이웃 강대국의 위성국이 아닌 독자적인 국가로서 독립하는 것을 말한다. (4) 자주독립과 자립경제를 실현하자면 먼저 독립운동을 자주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4) 독립운동을 통해서 스스로 독립한 나라는 산업혁명 후에는 거의 없었다고 할 만큼 어려운 것이다. (5) [제2절] 독립운동의 이념 독립운동의 이념이란 독립운동의 방략이나 방법론이 아니라 독립운동이 성공하면 어떤 나라를 건설할 것인가를 하는 목표를 말한다. (6) 1. 초기(1910-1.. 2021. 3. 15. [한국근대사 산책 1]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4) 일본 시찰단 파견과 아시아주의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4) 일본 시찰단 파견과 아시아주의 위정척사파 몰래 떠난 시찰단 『조선책략』... 중국의 의도... 조선 정부는 그 의도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화정책을 추진... 1881년 초 통리기무아문(오늘날 외무부)을 설치하고 청에 영선사를 파견하고 일본에 조사(관원) 시찰단을 파견... (228) 통리기무아문의 설치와 더불어 김보현ㆍ민겸호ㆍ조영하ㆍ김홍집 등과 함께 21세의 민영익이 당상(堂上) 자리에 임명되었는데 이때부터 민영익은 개화정책 추진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기 시작했다. (228) 조사 시찰단이 일본으로 파견... 조준영(1833-1886)ㆍ홍영식(1855-1884)ㆍ박정양(1841-1904)ㆍ어윤중(184.. 2021. 3. 14. [한국근대사 산책 1]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3) 황준헌의 『조선책략』 파동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3) 황준헌의 『조선책략』 파동 친중(親中)ㆍ결일(結日)ㆍ연미(聯美) 1880년 8월 수신사 김홍집이 일본에 갔을 때 초대 주일중국(청)공사 하여장의 참찬(서기관) 황준헌(1848-1905)이 그를 보자고 청해 『조선책략』이라는 책을 건넸다. 이 책의 내용은 ‘친중(親中)ㆍ결일(結日)ㆍ연미(聯美)’, 곧 중국을 더욱 가까이 섬기고 일본ㆍ미국과 한편이 돼 연대함으로써 러시아의 남하를 막아야 한다는 것... (220) 조선은 아시아의 요충지... 미국을 긍정적으로 평가... “선왕(워싱턴)의 유훈을 지켜 예의로 나라를 세우고 남의 토지를 탐내지 않고 남의 인민을 탐내지 않고 굳이 남이 정사에 간여하지 않았다... 2021. 3. 14.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