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실]577 [개신교 신학 사상사] - 윌리엄 A. 스코트 / 김쾌상(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머리말 1. 마르틴 루터 루터의 문제 그 해답 은총의 원리 신앙의 원리 하나님의 말씀의 원리 - 성서 - 전통 - 개인적 경험 교회 성사 기독교인의 소명 결론 2. 존 칼빈 칼빈의 생애 그의 신학 - 하나님의 절대주권 - 예정 - 교회 - 성사 결론 3. 재세례파 재세례파의 교회관 교회의 내적 구조 - 합의 - 추방 - 만인사제직 - 대 분부 역사의 의미 결론 4. 영국 성공회 선행자들 종교개혁의 실행 엘리자베스의 안정책 영국 종교개혁의 요소들 - 교회의 통치형태-전통에 대한 존경 - 예배의식-종교개혁 내의 전통 결론 5. 청교도 청교도 집단 세력을 얻은 청교도들 청교도 비전의 요소들 - 개인 - 교회 - 사회 결론 6. 감리교 이 시대의 기후 - 합리주의 - 영국 교회의 상태 - 이신론(Deism) 웨.. 2021. 4. 9.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 사상사] - 파울 틸리히, 송기득 옮김(대한기독교서회, 2004) 옮긴이의 머리말 책 머리에 : 문제와 방법 [1] 정통주의, 경건주의, 합리주의 안에서 유동하는 강조점 1. 정통주의 시대 2. 정통주의에 대한 경건주의의 반동 3. 합리주의의 대두 [2] 계몽주의와 그 문제 1. 계몽주의의 본질 1) 자율에 관한 칸트의 정의 2) 이성의 개념 (1) 보편적 이성 (2) 비판적 이성 (3) 직관적 이성 (4) 기술적 이성 3) 자연의 개념 4) 조화의 개념 2. 계몽주의적 인간의 자세 1) 부르주아적 성격 2) 합리적인 종교의 이상 3) 상식적 도덕성 4) 부르주아의 주관적 감정 3. 계몽주의의 내적 갈등 1) 우주적 비관주의 2) 문화의 악 3) 개인적인 악 4) 부도덕에 바탕을 둔 진보 4. 계몽주의의 성취자와 비판자 1) 루소, 프랑스 혁명, 로망주의 2) 흄, 종.. 2021. 4. 9. [3ㆍ1 혁명과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뿌리] - 김삼웅(두레, 2019) 머리말 : 대한민국의 모태 3ㆍ1혁명과 임시정부 [1] 나라가 망하기까지의 과정 경술국치의 전말 황제의 서명이 빠진 병탄조약문 무능한 왕, 친일 매국노와 일제의 합작품 [2] 3ㆍ1 혁명이 싹트다 요동치는 국제정세 3ㆍ1혁명의 기운이 싹트다 재일유학생과 상하이 신한혁명당 독립선언에 참여를 거부한 친일파들 독립운동기금 모으기 광고지 뒷면에 쓰인 ‘독립선언서’ 독립선언서 인쇄 중 나타난 악질 형사 3ㆍ1독립선언, 비폭력을 내세우다 민족대표 33명의 서명 순서 [3] 3ㆍ1 혁명의 물결 태화관에서 독립선언하다 종로에서 10만 군중이 시위를 벌이다 옥중에서도 의연하고 당당했던 민족대표들 일제, 민심이 두려워 내란죄 적용 못 해 민족대표들이 유죄판결을 받은 이유 민족대표 중 옥사자와 변절자가 생겨 조선을 넘어 해.. 2021. 4. 9. [간도역사의 연구] - 윤병석(국학자료원, 2006) 서문 (3) [1] 조선인의 간도 개척과 조선인 사회 (9) 1. 민족 古土로서의 간도 (9) 2. 북간도 한인사회의 형성 1) 한인의 북간도 이주 2) 민족운동자의 북간도 망명 3. 서간도 한인사회의 형성 1) 한인의 서간도 이주 2) 각지 한인사회의 형성 3) 민족운동자의 서간도 망명 4. 북만주 한인사회의 형성 [2] 북간도의 민족주의 교육 (33) 1. 北間島 2. 민족운동 3. 『間島開拓史』 4. 瑞甸書塾(서전서숙) 5. 명동학교 6. 창동학원 7. 광성학교 8. 대전학교 9. 북일학교 10. 정동학교 [3] 서북간도에서의 3ㆍ1운동 (55) [4] 봉오동 승첩 (69) [5] 청산리 대첩 (89) 1. 머리말 2. 일제의 독립군 ‘토벌작전’ 3. 독립군의 백두산록 이동 4. 김좌진의 대한군정서.. 2021. 4. 9. [교의학방법론 II] - 박봉랑(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머리말 V. 계시 - 교의학의 출발점으로서 [1] 문제와 과제 1. 머리말 2. 일반적 계시와 그리스도교 계시의 일반적 의미 3. 계시의 주관화와 상대화 : 19세기 자유주의 신학 [2]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계시 : 칼 바르트 1.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 수립 2. 바르트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의 개념 1) 문제 : ‘말씀’은 실제인가, 상징인가? 2) 희랍의 로고스와 동양의 도(道) (1) 희랍의 로고스의 개념 (2) 동양의 도(道) 개념 3) 성서에 있어서 ‘말씀’의 개념 (1) 구약에 있어서의 말씀(dabar) (2) 신약에 있어서의 말씀(로고스) 4) 칼 바르트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의 개념 (1) 바르트에 있어서 ‘말씀’의 네 가지 특징 (2) 하나님의 말씀은 그 자체.. 2021. 4. 9. [교의학방법론 I] - 박봉랑(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머리말 I. 서론 [1] 신학을 공부하려는 이들에게 1. 신학의 카리스마 2. 신학하는 태도 1) 학문적 에로드 2) 성실하게 심자 3. 근심하며 떠나가는 ‘니고데모’이야기 [2] 교의학 방법론의 의미, 내용, 재료 및 전개 방법 1. 교의학 방법론의 의미 1) ‘교의학’의 이름 2) 교의학 방법론은 교의학 ‘서론’(Prolegomena)의 이름 3) 신학의 길 2. 내용, 재료 및 전개 방법 1) 내용 2) 재료 3) 전개방법 II. 신학이란 무엇인가? [1] 신학이란 무엇인가? 1. 그리스도교 신학의 주류 : 복음의 하나님 1) 신학은 겸허한 학문 2) 신학은 행복한 학문 2. ‘신학’이란 말의 뜻과 그 역사 3. ‘하나님의 말씀’에 관한 학문으로서의 신학 4. 교회의 기능으로서의 신학 1) ‘교회의.. 2021. 4. 9. “레온하르트 라가츠와 칼 바르트의 대결” 정권모 정권모(1987). 신학사상 제57집, 473-504. “믿음이 성장하면 성장할수록 선한 행동의 업적도 자라난다. 왜냐하면 믿음은 하느님으로부터 선한 행동을 향해 발전해가기 때문이다.” “복음을 믿는다는 것은 영생의 은혜로운 약속에 대한 개인적인 개념만을 뜻하지 않는다. 개인적인 동시에 종합적이요 사회적 정치적 삶의 전반적인 변혁을 위한 결단을 뜻한다.” 1. 바르트의 라가츠 비판 칼 바르트는 “종교사회주의자들”의 개념을 두들겨 부수고 종교사회주의자들의 사고와 결정적으로 결별했는가? 바르트 생애에 대한 면밀한 연구에 따르면 이에 대한 대답은 부정적이다. 종교사회주의 운동에 대한 바르트의 신랄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는 “전 생애를 통하여 종교사회주의적 사고 및 행태와 접촉하고 대화하는 인연을 갖고” 있었다.. 2021. 4. 9. “라가츠의 종교적-사회적 운동에 관한 연구” - 류장현 류장현(2001). 라가츠의 종교적-사회적 운동에 관한 연구. 신학연구, 42. 323-343. 1. 들어가는 말 레온하르트 라가츠(1868~1945)는 그의 적대자들이 비판하는 것처럼 사회주의를 일방적으로 옹호하고 교회를 무자비하게 파괴한 파격한 사회주의적 행동주의자가 아니다. 그는 참으로 살아 계신 하나님에 대한 투철한 신앙과 하나님 나라의 복음에 대한 확실한 신뢰 속에서 누구보다도 교회를 사랑했을 뿐만 아니라 정의로운 사회를 갈망했기 때문에 부패한 교회와 불의한 사회를 결코 용납할 수 없었던 진정한 의미에서 복음주의적 행동주의자이다. (323) 라가츠의 종말론적 신학의 출발점은 하나님 체험을 통해서 인식한 ‘살아 계신’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이해이다. 그것은 ‘하나님과 그의 나라’라는 주제에 집중되.. 2021. 4. 9. “라가츠의 하나님 나라와 공동체 혁명” - 류장현 류장현(2006). 라가츠의 하나님 나라와 공동체 혁명. 신학연구. 48. 287-308. I. 들어가는 말 라가츠(1868-1945)는 교회의 세속화와 세상의 무신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력투구했던 종교사회주의자였다. (287) 라가츠에 의하면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아버지됨 안에서 인간의 자녀됨과 형제됨이 완성된 어떤 상태를 의미한다. 그는 인간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세속화된 교회와 불의한 사회제도를 개혁하여 이러한 하나님 나라에 상응한 이상 사회를 건설하기를 원했다. (287) 라가츠는 그리스도의 가족 공동체의 원리로서 “종교적 무정부주의”와 그 정치경제적 형태로써 “연방주의”를 주장한다. 종교적 무정부주의는 하나님과 인간의 직접적 관계를 의미하며 하나님의 자녀됨과 연관되어 있고, 연방주의는 하나님과 .. 2021. 4. 9.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