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3권] 언론운동 - 박찬승 제1장 : 일제강점기 언론운동 제1절 : 언론운동의 의미 제2절 : 연구동향 1. 조선총독부의 언론정책과 언론탄압 연구 2. 신문을 통한 언론운동 연구 3. 잡지를 통한 언론운동 연구 4. 언론자유운동 연구 제2장 : 조선총독부의 언론정책 제1절 : 1910년대의 언론퍠색 정책 제2절 : 3ㆍ1운동 이후의 제한적 언론개방과 통제 제3절 : 중일전쟁 이후의 언론통제 강화 제3장 : 민족의사의 대변 - 3ㆍ1운동기 지하신문의 발간 제1절 : 3ㆍ1운동기 각종 지하신문의 발건 제2절 : 천도교계의 조선독립신문과 기사내용 1. 천도교계 조선독립신문 2. 후속팀의 조선독립신문 제3절 : 청년ㆍ학생층의 각종 지하신문과 기사내용 1. 각성호회보 2. 반도의 목탁 3. 자유민보 4. 국미신보 제4장 : 1920~193.. 2021. 4. 14.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2권] 형평운동 - 고숙화 제1장 : 형평운동의 배경 제1절 : 역사적 배경 제2절 : 경제적 배경 1. 도부업ㆍ수육판매업 법규의 변천 2. 백정사회의 경제적 분화 제3절 : 사회적 배경 1. 1920년대 초반 사회상황 2. 진주지방의 사회ㆍ역사적 조건 제2장 : 형평사의 창립 제1절 : 창립과정 1. 창립경위 2. 주지와 사칙 3. 각 사회단체의 반응 제2절 : 조직체계 1. 중앙본부 1) 총회의 상황과 기능 2) 중앙집행위원회의 구성과 특성 제3절 :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 1. 형평혁신동맹의 분립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 합동 제3장 : 형평사의 조직 확대 제1절 : 지ㆍ분사 조직의 확대 제2절 : 외곽단체의 조직 1. 형평청년회 2. 정위단 3. 형평학우회 4. 형평여성회 제4장 : 형평사의 활동 제1절 : 차별철폐와 인권신.. 2021. 4. 14.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1권] 여성운동 - 박용옥 제1장 : 한말 여성운동과 여성의 사회진출 제1절 : 최초의 여권운동 1. 『여권통문』과 여성의 사회진출론 2. 찬양회운동과 역사적 의미 제2절 : 여성교육단체 조직과 활동 1. 여자교육회의 조직과 활동 2. 진명부인회의 조직과 활동 3. 대한여자흥학회ㆍ자혜부인회ㆍ대한부인회의 조직과 활동 제3절 : 여성의 사회진출 1. 교육종사자로서의 진출 2. 종교지도자로서의 진출 3. 의료인으로서의 진출 4. 상공업종사자로서의 진출 제2장 : 국채보상운동과 여성의 활동 제1절 : 초기 여성의 참여와 활동 제2절 : 조직을 통한 여성들의 참여와 활동 1. 헌금의연형 단체 2. 패물의연형 단체 1) 대구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 2) 삼화항 패물폐지부인회 3) 절미감찬의연형 단체 4) 기타 의연 단체 제3절 : 여성 참여활.. 2021. 4. 14.
“한석진 목사와 일본 선교” - 정성한 (2007) 정성한 (2007). 한석진 목사와 일본 선교. 선교와 신학, 19, 117-148. - 토착 교회 민족 주체성이 선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I. 서론 한석진 목사는 한국 교회 초기 자생적 신앙 공동체의 일원이면서 한국 교회가 민족 종교로 자리잡는 데 크게 기여한 한국 교회 지도자 중 한 사람이다... ‘자생적 신앙공동체’... 선교사의 한국 선교 정책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의 한국 교회’를 설립하는 주도적이면서도 독보적인 지도자가 되었다... 토착 교회의 민족 주체성이 선교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중요한 주제가 됨과 동시에 초기 한국 교회의 원형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 (118) 한국 교회가 일본에 파송한 첫 번째 선교사...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 유학생들을.. 2021. 4. 13.
“한석진 목사의 목회 지도력에 관한 연구” - 정성한 (2008) 정성한 (2008). 한석진 목사의 목회 지도력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30. 79-102. I. 서론 한국교회의 위기 상황을 진단... 위기의 원인이 교회 지도자들의 지도력에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한국교회 장로교의 첫 7인 목사들의 지도력을 검토하여 교훈을 얻으려는 의도에서 기획... (79-80) 채필근 목사가 1971년에 편집한 『한국기독교개척자 한석진 목사와 그 시대』(대한기독교서회)... 백낙준, 한경직, 김우현 목사의 증언... (80) 한국교회사가 이덕주... ... 채필근의 책의 내용이 핵심뼈대... (80) II. 한석진 목사의 초기 생애 1868년 9월 6일 평안북도 의주읍 동부동에서 한사운의 3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한석진은 어떻게 보면 서양종교인 기독교에 가장 적..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30권] 청년운동 - 박철하 제1부 : 청년운동 제1장 :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제1절 : 청년의 역사적 등장 제2절 : 청년운동 발생기 식민지 조선 청년의 현실 제2장 : 조선청년회연합회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제1절 : 청년단체의 출현 제2절 :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2. 조선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제3절 :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1.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제4절 : 초기 청년단체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대응 제3장 :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제1절 :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1. 전조선청년당대회의 배경 2. 전조선청년당대회의 전개 3. 전조선청년당대회의 성격 4. 청년운동의 분화 제2절 : 조선청년총동맹의 ..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9권] 노동운동 - 김경일 제1장 : 일제강점기 노동운동사 서설 노동운동의 성격과 양상 제2장 : 노동자의 구성과 생활상태 제1절 : 노동자의 내부 구성과 특징 제2절 : 노동조건의 생활상태 제3장 : 일제의 노동정책 제1절 : 노동정책 개념과 범주 제2절 : 노사관계 1. 노동정책 주관 기구의 변천 2. 노동입법 3. 노동단체와 노동쟁의에 대한 정책 제3절 : 노동시장 제4장 : 노동운동의 맹아기 - 1920년대 전반기 제1절 : 3ㆍ1운동의 영향과 노동문제의 대두 제2절 : 노동조합의 조직 1. 노동조합의 조직과 지역별 노동조합 2. 전국 조직의 결성 1) 조선노동공제회와 노동대회 2) 조선노동연맹회 제3절 : 노동쟁의의 전개와 양상 1. 노동쟁의의 전반적 양상 2. 노동쟁의의 전개 1) 1921년 부산 부두노동자들의 총파업 ..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8권] 농민운동 - 김용달 제1장 : 농민운동 서설 제1절 : 농민운동의 성격과 시기구분 제2절 : 시기별 농업정책과 농민운동의 양상 1. 1910년대 2. 1920년대 3. 1930년대 이후 제2장 : 1920년대 농민운동 제1절 :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제2절 :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1. 조선노동공제회 2. 조선노농총동맹 3. 조선농민총동맹 제3절 : 토지혁명론의 대두와 전개 1. 토지혁명론의 배경 2. 토지혁명론의 전개 1) 토지혁명론의 모색 2) 토지혁명론의 대두 3) 토지혁명론의 발전 제4절 : 농민운동의 전개 1.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 소작쟁의 2. 황해도 재령군 복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3.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 소작쟁의 1) 풍산지역의 지주경영 2) 풍산소작인회의 결성과 활동 3) 소작쟁의의 전개 4.. 2021. 4. 13.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27권] 의열투쟁 II : 한인애국단 - 조범래 제1장 : 한인애국단의 결성 제1절 : 일제의 만주사변 도발과 독립운동의 시련 제2절 : 상해사변과 독립운동진영의 동향 제3절 : 한인애국단의 결성 제2장 : 이봉창 의사의 동경의거 제1절 : 이봉창의 성장과 도일 1. 성장과 가정환경 2. 도일과 ‘신일본인’으로서의 생활 3. 일왕 즉위식 참관 이후의 이봉창 제2절 : 상해 망명과 김구와의 만남 1. 상해 망명 2. 김구와의 만남 제3절 : 동경의거 1. 의거 준비와 한인애국단 입단 2. 동경의거 제4절 : 신문과 재판, 그리고 순국 1. 피체와 아홉 차례의 신문, 일제의 왜곡 2. 사형 선고와 순국 제5절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응 1. 『한국독립당 선언』 발표 2. 『동경작안의 진상』 발표와 중국 언론의 보도 3. 추도식 제6절 : 동경의거에 대한 .. 2021.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