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와 역사 12」 (2000.3), 143-174.
I. 머리말
-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화하고 지배하던 과정에서 한국에서 활동하던 서구 제국의 선교사들은 대부분 “정교분리 원칙”을 내세워 “정치불간섭”과 “엄정 중립”을 표방하여, 결과적으로 일제의 불법적 침략ㆍ지배에 순응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런 점 때문에 선교사들이 제국주의의 ‘압잡이’이거나 ‘동맹 세력’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143)
-
캐나다장로회 소속 선교사들은 친한ㆍ반일적인 성향을 가졌다. 3ㆍ1운동 때 선교부 차원에서 당시 조선총독 하세가와에게 항의서를 결의하여 보냈던 것도 유일하게 캐나다 장로회 선교부였다. (144)
-
해방 후 국가보훈처에서 독립유공자를 선정한 가운데 외국인 선교사 7명 중 4명이 캐나다장로회 소속 선교사들이다. (144)
-
한말 캐나다 장로회 선교사들... 주로 함경도 지역과 간도ㆍ연해주 지역에서 활동하던 선교사들로, 해방 후 교파적으로나 인맥적으로 한국기독교장로회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144)
-
공식적으로 캐나다장로회에서 선교사들을 파송하여 한국선교를 시작한 것은 1898년 9월부터의 일이다. (144)
II. 캐나다장로회 선교사들의 한국선교
1. 신학적 배경과 한국선교 동기
(1) 선교사들의 신학적 배경
-
캐나다장로회는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주로 이주하여 정착한 동부 연해주 지역에서 발달하였으며, 녹스(John Knox)의 종교개혁에 의해서 형성된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145)
-
캐나다 지역에는 1817년에서 1870년까지 50여 년 동안은 6개 계열의 장로교회가 병존했다. 결국 이들 사이에 통합이 논의되어 1875년에 동부에 있는 두 계열의 장로교회와 서부에 있던 두 계열의 장로교 등 4계열의 장로교회가 통합하여 캐나다 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 in Canada)를 형성하였다... 1925년 캐나다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anada)를 형성하였다. (146)
-
킹스 칼리지의 부로우어 교수... “캐나다 장로회 동부지구(Eastern Division)의 해외선교위원회로부터 한국에 파송된 첫 선교사들은 대단한 의지와 열정을 가진 잘 훈련된 분들이었다. (중략) 어떤 측면에서 보든지 간에 분명한 것은 동부지역, 곧 캐나다 해안주의 해외선교회로부터 파송받은 선교사들은 한국에서 선교사역을 시작했을 때, 그들은 이미 맥켄지의 노고와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다른 개신교 선교사들의 초기 사역에 관해 익숙히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 (중략) 한국에 온 장로교의 공식적인 첫 선교사 일단은 캐나다의 비교적 가난하고 덜 개발된 지역(backward part) 출신들이고, 그들이 북한과 비슷한 기후를 가진 지역출신들이었으므로 어떤 점에서는 새로운 환경에의 적응은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보다 용이했다는 사실을 지적해 두는 것이 좋겠다. 언어불통의 어려움과 외로움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쉽사리 한국인을 사랑하고 그들과 쉬 동화되어갔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그들 중에 한 사람 이상의 캐나다 선교사는 한국에 나와 있든지 한국을 떠나든지 간에 한국에 묻히기를 희망했다.” (147-148)
(2) 한국선교 동기
-
캐나다장로회의 한국선교는 미국에서 일어난 무디의 부흥운동과 학생자원운동의 영향을 받아 해외선교를 지망하는 사람들의 복음전파에 대한 열정과 이들의 선교를 받은 한국인들의 선교사 파송요청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148)
-
선교사 파송 이전에 선교하던 캐나다 선교사들... 하크니스 부부(1888), 게일(1888), 펜윅(1889), 하디(1890), 홀(1891), 에비슨(1892), 맥켄지(1893) 등... (148)
-
게일은 토론토대학 YMCA의 선교비 지원을 받다가 지원이 끊기자 1895년 미국북장로회 선교부로 소속을 옮겨 선교활동을 계속하였다... 펜윅은 독립선교사로 내한하여 선교활동을 하다가 1893년 귀국하였으나, 1896년 다시 내한하여 독립선교를 하여 침례교 계열의 동아기독교회를 창설하였다... 하디는 토론토대학 의대 출신으로 YMCA선교회의 지원으로 활동하다가 8년간의 계약기간이 끝나자 1898년 미남감리회로 선교부를 옮겨 계속 한국에서 활동하였다... 홀은 의료선교사로 처음부터 미감리회 소속 선교사로 내한하여 평양지역에서 활하다가 청일전쟁 중 전염병 환자를 치료하다가 자신도 병에 걸려 죽었다... 에비슨은 토론토대학 의과 출신으로 그 학교에서 강사로 있다가 미북장로회 해외선교부에 선교사로 지원하여 내한, 제중원과 세브란스병원에서 의료 선교사로 활약하였다. (148-149)
-
캐나다장로회가 한국선교를 결정한 직접적인 동기... 독립선교사로 한국에 와서 황해도 장연의 소래교회에서 활동하다가 숨진 맥켄지(W. J. McKenzie, 梅見施, 金牧師) 선교사의 영향이 컸다. (149)
-
맥켄지의 죽음의 소식과 한국인들의 요청을 받고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하자는 여론이 일어 캐나다 장로회 동부지역 연합노회인 매리타임대회에서 1897년 10월 7일 한국 선교를 시작할 것을 결의하였다. (150)
-
1898년 9월 7일 제물포를 통하여 입국하여 한국에서의 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150)
2. 캐나다 선교사들의 선교활동과 한국교회의 형성
(1) 선교지부의 설립
-
원산지부(1898년 인수) : 푸트 선교사 가족... (150)
-
성진지부(1901년 설립)... 그리어슨 부부... (150-151)
-
함흥지부(1904년 설립)... 맥래 부부... (151)
(2) 복음선교
-
대부분의 복음선교는 먼저 복음을 접한 한국인들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나중에 선교사들이 그들을 방문하여 격려하고 교육하였다고 할 수 있다. (152)
(3) 교육선교
-
1910년 제4회 독로회에 보고된 통계에 의하면 함경대리회 산하에 중학교가 3개교, 소학교가 57개교, 학생은 신학생이 8명, 대학생이 1명, 중학생이 186명, 소학교 학생이 1,715명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 지역에서 교육선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53)
(4) 의료선교
-
그리어슨(성진 제동병원)... 여의사 맥밀란(원산)... 맨스필드... 함흥 제혜병원... (153-154)
(5) 교회조직의 형성
-
1898년 함경도 지역... 14개 집회소에 교인 300여 명... 1910년 9월에는 예배처소 285개처, 예배당집이 81개 처, 교인이 9,889명... 한국인 장로 7명, 당회를 조직한 조직교회가 5개처... (154)
-
하나의 한국교회를 조직하는 일에 적극적... 1906년 교리통합위원회는 캐나다교회가 마련한 교리를 통합교회의 교리로 삼는 것이 합당하다는 합의까지 보았다... 그러나 이 논의는 각 교파의 정치문제와 각 선교본부들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1910년에 이르러서는 포기되고 초교파적 협력관계만 유지하기로 하였다. (154-155)
-
1901년 합동공의회... 1907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 노회”(독로회) 창설... (155)
-
교회 설립이 1908년 이후 급격히 증가... 이러한 현상은 1907년의 대부흥운동이나 백만구령운동의 영향도 없지 않았겠지만, 그 이전에 선교한 것이 이 때에 와서 결실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선교사의 물질적 지원없이 한국인들 스스로의 힘으로 교회를 설립한 데도 그 원인이 있었을 것이다. (157)
III. 캐나다장로회 선교사들과 일제의 갈등
1. 일제의 함흥 캐나다장로회선교부지 침탈 사건(1906년 초 ~ 1907년 12월)
-
맥래는 1904년 함흥에 선교지부를 설치하고 그곳을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하였다... 합법적으로 매입한 부지를 일본인이 침탈하여 영ㆍ일간에 외교적 분규로까지 확대된다... (157-158)
-
맥래... 1905년 함흥 성내 신창리에 있는 망덕 기지 매입... 1906년 일본인 가미야가 경계 침범... 영ㆍ일간의 외교문제로 발전... 함흥에 철거되는 관립학교 부지와 망덕 기지를 교환하는 것으로 문제 해결... 그 후 망덕기지에 살던 일본인에게서 매입하여 1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신창리교회를 건축... (158-160)
2. 맥케이의 함흥 연포(連浦) 염전세(鹽田稅) 거부 탄압 폭로 사건(1907. 7)
-
“염세규정”... 칙령 제69호 발포하게 하여 1907년 1월 1일부터 실시하게 되었다... 함흥군 연포에서 염전업을 하던 최달록 등 마을 사람은 연포사염민계를 조직하여 염세 조사와 징세를 거부.. 최달록ㆍ김두하ㆍ신훈철... 관리들이 부르더라도 가지말자고 1907년 6월 22일 결의... 체포됨... (160-162)
-
한국인들은 맥래 선교사의 서재에서 대책을 의논... 마침 캐나다장로회 해외선교부 총무 맥캐이가 한국을 방문하여 원산지역을 돌아보고 있었다. 맥캐이는 당시 영국인 베델이 경영하던 <대한매일신보>의 영자 신문인 The Korea Daily New지 1907년 7월 10일자에 사건의 전말을 폭로하여 “함흥에서의 무서운 대량 학살”(Terrible Massacre at Hamheung)이라는 제목으로 보도되었다... 일제의 영문 기관지인 The Seoul Press지에 7월 16-17일 반박함... (162)
-
미국 북장로회 해외선교부 총무 브라운이 한국에 방문했을 때 선교사들과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현존하는 권력’에 복종할 것을 설교하고 ‘모든 통치력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조했던 것과 좋은 대조... (163-164)
3. 그리어슨의 일본군 하마타 상등병 구타 사건(1908. 11. 3)
-
이 사건의 기록은 일제 통감부 문서와 그리어슨의 회고록인 <기나긴 발자취의 에피소드>(Episodes on a long, long trail, 1957)에 나온다. (164)
-
그리어슨은 원덕리교회 문성기 장로 아들을 주례를 부탁받음... 신부집에 도착한 그리어슨... 일본군이 자신의 말을 타고 있다는 말을 듣고 항의... 억지로 마련한 화해의 자리... 서로 사과했다고 기록함... (164-166)
4. 함북 경성 기독교인들의 납세 거부 항쟁(1908. 12 ~ 1909. 10)
-
연초세ㆍ주조세ㆍ가옥세 등 삼세(三稅) 납부 거부 항쟁... ‘기독교인들은 가혹한 세금은 낼 필요없다’고 주장... (167)
5. 맥래의 『월남망국사』 배포 및 애국강연 방조 사건(1909. 1~2)
-
맥래 선교사가 활동하고 있던 함남 함흥지역에서 일제 헌병 경찰들이 선교사들과 기독교인들의 집회를 조사하다가 적발하여 보고한 사건... (168)
-
1909년 1월 31일(일)부터 2월 1일(월)까지 함흥읍교회 집회... 강사는 1907년에 초대 장로로 장립되어 맥래의 조사를 맡고 있던 김창보와 맥래의 한국어 어학선생인 조희림이 맡았다... 『월남망국사』에서 발췌한 것을 낭독... 통감부에게 보고됨... (168-169)
-
한국 최초로 독로회가 조직될 때 회장을 맡았던 북장로회 선교사 마펫이 평양에서 이 사건보다 1년 앞선 시기에 “신문과 새로운 서적은 세상 학문이라 우리 신도가 구해 볼 바가 아니니 일체 거절하라”고 하여 교인들과 언론의 빈축을 샀던 것과는 크게 대조가 된다. (170)
6. 그리어슨의 이동휘 애국강연과 망명 방조 사건
-
이동휘... ‘을사늑약’ 체결 이전부터 독실한 기독교 신자... 1909년 캐나다장로회 선교사 그리어슨의 조사가 됨... (당시 다른 선교사들은 교회에서 민족주의자들과 갈등을 일으키고 정죄하고 치리하던 때)... (170-171)
-
일제 헌병들이 이동휘를 함부로 체포할 수 없었던 것은 그 배후에 그리어슨이 있기 때문이었다... (171)
-
이동휘의 국외 망명을 도왔던 사람도 바로 그리어슨 목사였다. (172)
IV. 맺음말 – 캐나다장로회 선교사들의 한국선교의 성격
-
함경도와 간도ㆍ연해주 지역에 선교하였던 캐나다 장로회는 스코틀랜드 장로회의 전통에 서 있는 교회였으며, 일찍부터 해외선교와 교회연합에 매우 적극적인 교회였다. 해외선교를 하면서도 선교본부에서 어떤 정책을 수립하여 선교 현장에 강요하기보다는 해외에 파송되어 있는 선교사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주는 피선교지 중심의 선교를 하였다. (173)
-
캐나다장로회나 선교사들을 배출한 장로교계열의 신학교들이 가진 신학도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것이었고, 교파이 구별을 엄격하게 하지 않는 에큐메니칼한 성격을 가진 것이었다. (173)
-
한국에 온 캐나다장로회 선교사들은 대부분 그 선조들이 스코틀랜드 출신인 노바 스코티아 지역 농촌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영국 성공회 선교사들이나 다른 선교부 선교사들에 비해 더 평등주의적이고, 더 민주적이고, 보다 사회적 정의에 관심을 가지고, 보다 진보적인 사람들이었다. (173)
'[기타 자료실] > [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기독교장로회 새 역사 50년의 회고와 전망” - 연규홍(2003) (0) | 2021.03.02 |
---|---|
“한국장로교회 분열의 정치적 요인에 대한 연구” - 연규홍(2006) (0) | 2021.03.02 |
“한말 일제침략기 일제와 선교사의 관계에 대한 연구(1894~1910)” - 김승태(1997) (0) | 2021.03.02 |
“한국전쟁이 한국교회의 성격 결정에 미친 영향” - 노치준(1995) (0) | 2021.03.02 |
“한국전쟁과 한국 교회 구조의 변화” - 허명섭(2004) (0) | 2021.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