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희(한양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교수ㆍ미술사가)
『미술세계 63』(2017, 60-63.
1. 트리엔트 공의회
-
가톨릭교회는 1545년부터 1563년까지 18년에 걸쳐 트리엔트 공의회를 개최하여 프로테스탄트에 의해 의문이 제기된 교리와 관습에 대해 폭넓게 논의하였고, 입장을 정리했다. (60)
-
트리엔트 공의회는 제25회기에서 미술에 대한 입장을 밝혔는데, 내용의 핵심은 프로테스탄트와 달리 가톨릭은 미술품을 성서, 성인, 교리를 교육시키는 수단으로 삼고 그 중요성을 부각한다는 것이었다. (60)
2. 용어의 문제
-
반종교개혁이라고 칭하는 사람들은 주로 개신교 국가의 학자들로서 루터의 종교개혁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는 반면, 가톨릭개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가톨릭 국가의 학자들로서 이 운동을 프로테스탄트의 종교개혁에 대한 대응에 국한하지 않고, 그 이전부터 뿌리를 두고 있었던 가톨릭 내부에서 진행되어온 개혁운동으로 본다는 시각이 깔려있다. (60)
3.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결의된 가톨릭의 주요 교리와 미술에 대한 입장
-
첫 시기(1545-1548)에는 원죄, 연옥교리, 구원설에 대한 단죄, 세례성사와 인간의 행업이 갖는 구원적 가치 등 구원의 문제를 다루었다. (60)
-
둘째 시기(1551-1552)는 종교 분열에 대한 교회의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고, 성체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에 대해 토의했다. (60)
-
셋째 시기(1562-1563)에는 신앙과 칠성사와 관련하여 종교개혁가들이 제기한 의문들에 답하고 교회의 규율을 재정비, 성인유해 공경과 성상에 대한 공경이 정당하다고 가르침 (60-61)
-
제25회기에서(1563년 12월 3일 – 4일) 미술에 대한 교회의 입장 발표 : 주교는 신자들에게 성인(聖人)의 유해와 성상을 공경하는 것이 합당한 일임을 가르치라고 시작... 성인은 지상에 살고 있는 신자의 기도를 전해주는 중재자로서 그들의 도움을 청하는 기도는 정당하고, 성인을 공경하여 만든 성상에 대해 존경의 예를 표하는 것은 합당하다... 종교개혁가들이 성인의 중재자 역할을 부정하고 그들에게 기도하는 것이 우상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한 입장 표명... 미술에서 성인상이 많이 제작된 이유이자 성인 공경의 풍속이 더욱 확산되는 계기... (61)
4. 시간을 초월한 성화(Timeless Painting)의 탄생
-
가톨릭개혁 시기의 성화는 특유의 엄격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 창의성은 쇠퇴하였고, 의식적으로 신앙심을 강조한 듯한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61)
-
이탈리아의 저명한 미술학자 페데리코 제리(1921-1998)가 “시간을 초월한 성화”라 부른 이 시기의 성화는 예수회가 로마에 설립한 ‘일 제수 성당’에서 작업했던 시피오네 풀조네(1550-1598)의 작품을 통해 본격적으로 탄생되었다. (62)
-
풀조네의 <세례자 요한과 함께 있는 성 가정>은 라파엘로의 <성 가정상>에서 영향을 받았다... 사실적인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배경을 어둡게 처리하여 세부 묘사를 생략했다. 불필요한 장식과 논란을 없애고 장면의 핵심만을 부각시키는 중세의 회화 방식이 되돌아온 느낌이다... 여성미는 찾아볼 수 없다... (62)
5. 바로크양식의 탄생
-
이탈리아 북부도시 볼로냐 출신의 안니발레 카라치(1560-1609)... 가톨릭개혁 미술가로 시작하여 바로크 양식을 탄생시킨 선구자가 되었다. (62)
-
안니발레는 성인을 주제로 한 그림도 다수 그렸는데 그중 <성 프란치스코>는 가톨릭 개혁 당시 특별히 선호된 주제였다. 가톨릭이 종교개혁으로 위기를 처하자 신자들에게 강력하게 어필할 수 있는 성인이 필요했는데, 예수의 삶을 그대로 따른 가난한 성자 프란치스코는 그 적임자로 생각되었던 것이다. (63)
-
17세기가 되면서 가톨릭교회는 분열을 극복하고 안정을 되찾았다. 그들은 승리를 자신했으며, 로마는 또 다시 유럽에서 가장 활기찬 종료와 미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바로크 양식은 종교개혁의 위기를 극복한 17세기 가톨릭교회의 승리를 보여주는 미술양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63)
'[기타 자료실] > [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종교개혁 시기 가톨릭의 사상통제와 파올로 베로네제의 종교재판” - 임동현(2017) (0) | 2021.03.03 |
---|---|
“16세기 ‘가톨릭改革’과 ‘反宗敎改革’에 對한 敎會史的 考察” - 김희중(1999) (0) | 2021.03.03 |
“자유의 맥락에서 본 장공 김재준의 삶과 신앙” - 이오갑(2008) (0) | 2021.03.03 |
“김재준의 정치신학 : 신학적 원리와 사회ㆍ정치변혁론 – 1970-1980년대 인권ㆍ민주화ㆍ평화통일 운동을 중심으로” - 김경재(2004) (0) | 2021.03.03 |
“김재준(金在俊, 1901-1987)에 있어서 목회자의 사회윤리적 정체성” - 임걸(2004) (0) | 2021.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