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 자료실]/[도서 정리]

곤잘레스, 『종교개혁사』 제8장 : 영국의 종교개혁

by [수호천사] 2021. 2. 23.
728x90

# 헨리 8세

  • 16세기 초 스코틀랜드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잉글랜드는 스페인과 동맹을 맺었다. 잉글랜드의 헨리 7세는 스페인과의 우호를 강화하기 위해 자기의 상속자인 맏아들 아더와 스페인의 페디난트와 이사벨라의 막내 딸인 아라곤의 캐서린(카를 5세의 숙모)과 결혼시켰다... 아더가 결혼 4개월 만에 사망... 스페인은 캐더린을 왕위 계승자가 된 아더의 동생 헨리와 결혼시킬 것을 제안... 교회법은 형수와의 결혼을 금하고 있었으므로, 로마에 파견되어 있던 영국 대사는 교황의 특별 사면령을 획득해야 했다. (123-125)

  • 헨리와 캐더린... 아들이 없이 메리 튜터... 헨리는 자신이 리치몬드 공작에 봉한 자기의 사생아를 합법화시켜 왕위 계승자로 지명하려고 함... 교황은 스페인의 눈치를 봄... 헨리에게 메리를 그의 사생아와 결혼시키라고 제안...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고 생각한 헨리가 캐더린과의 결혼을 무효화해 달라고 로마에 청원함... (125)

  • 당시 카를 5세가 교황을 좌지우지하고 있었으므로, 캐더린은 조카에게 결혼이 무효화되지 않게 해달라고 애원... (126)

  • 헨리 8세와 교황청의 결별... 종교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이 아니라, 교황의 권력 남용을 막을 수 있는 국왕의 권리를 강화하려 한 것... (127)

  • 1534년 로마와의 최종 결렬... 의회는 국왕의 명령에 따라 교황청으로 흘러가는 각종 헌금들을 봉쇄시켰으며, 헨리와 캐더린의 결혼을 무효로 판결하였다. 국왕을 영국교회의 수장으로 지명함... (127)

  • 토마스 모어의 반대... 교회의 수장인 국왕에 대한 충성 맹세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투옥됨... 자기는 국왕이 교회이 수장임을 부인한 적은 없으며 단지 이를 인정하기를 거부하였는데, 누군가가 무엇을 말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유죄판결을 받을 수는 없다고 스스로를 변호함... 사형선교를 받은 후에 공개적으로 반대... “국왕의 충신으로서, 그러나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충실한 종으로서 죽는다”... (127-129)

  • 철저한 개혁을 희망했기 때문에 왕의 정책을 지원한 토마스 크랜머... 헨리 8세는 종교문제에 관해서는 보수적이었다... (129)

  • 헨리 8세의 연속되는 결혼... 앤 볼린, 제인 세이무어, 존 프레데릭의 처제 클리브스 앤(루터파와 동맹하기 위한 정략결혼), 캐서린 하워드(보수적 입장), 캐더린 파(종교개혁 지지)... (129-130)

  • 크랜머는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도록 명령하고, 왕의 이름 아래 모든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각 교회에 커다란 영어 성경책을 비치하도록 하였다. (130)

  • 수도원의 폐쇄... 보수파의 중추부가 힘을 상실함... (131)

 

# 에드워드 6세

  • 헨리는 외아들 에드워드, 그 다음에는 태어난 순서대로 메리와 엘리자베스로 하여금 왕위를 계승하기로 결심했고 의회가 동의했다. (131)

  • 서머셋 공작의 섭정... 공동기도서의 출판... (131)

  • 노덤벌랜드 공작의 섭정... 지속적인 개혁작업 추진... (131-132)

 

# 메리 튜더

  • 충실한 가톨릭 신자... 사촌인 스페인의 필립(후에 필립 2세가 된 인물)과 결혼함으로써 가톨릭의 합스부르크가와의 유대를 공고히 함... (133-134)

  • 1554년 공식적으로 교황에 대한 충성을 서약... 헨리와 에드워드의 재위 기간에 이루어진 조처들이 철회됨... “피에 젖은 메리”... (134)

  • 메리 사망 후... 존 폭스의 순교사(1563)는 청교도 사회에서 아동교육 표준도서가 되었으며, 가톨릭 신자들과 그들의 신앙에 대한 적개심을 오래 지속시키는 데 기여함... (134)

  • 토마스 크랜머의 순교... 여왕의 의도는 개혁파의 우두머리인 크랜머에게서 철회 서약을 받아내 프로테스탄트들에게 정신적 패배를 안겨주려는 것... 크랜머는 철회서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형 판결을 받았다... 처형 직전에 철회 사실을 다시 취소함... (135)

 

# 엘리자베스

  • 카를 5세는 메리에게 이복누이를 처형하라고 여러 차례 종용했으나 메리가 처형하지 못했음... (136)

  • 메리가 자신의 신념과 아울러 정치적 필요성에 의한 가톨릭 신도였듯이, 엘리자베스는 비슷한 이유로서 프로테스탄트일 수밖에 없었다. (136-137)

  • 엘리자베스는 교회의 통일을 꾀했으며, 왕국 전체에서 공동의 예배를 드리려 하였다... 로마 가톨릭과 극단적 프로테스탄트주의가 발붙일 자리가 없었다. (137)

  • 영국교회의 교리적 기초로 사용하기 위해 1562년 반포한 “39개 신조”... 의식적으로 중용을 추구하여 가톨릭 신자들과 극단적으로 교리를 엄수하는 프로테스탄트들만 제외하면 다 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부터 중용이 세계성공회, 즉 영국 국교회 및 주요 영국의 과거 식민지에 존재하는바 영국 국교회로부터파생된 교회들의 주요 특성이 되었다. (138)

  • 가톨릭 신자들은... 스코틀랜드에 유배된... 메리 스튜어트를 왕위에 오르게 할 음모를 꾸민 것이 드러나 엘리자베스는 메리 스튜어트를 처형시킴... (138-139)

  • 엘리자베스 재위 기간에 청교도들이 증가... 칼빈주의 이상을 간직한 인물들로서 신약성경이 제시하는 순수한 종교생활과 교리들을 실현하고자 애썼기 때문에 청교도라는 명칭을 얻었다. (139)

 

#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 1502년 스코틀랜드 제임스 4세가 잉글랜드의 헨리 7세의 딸 마가렛 튜터와 결혼... 그들 사이에 태어난 제임스 5세를 헨리 8세가 자신의 딸 메리와 결혼시키려고 함... 그러나 스코틀랜드는 프랑스와 동맹을 위해 프랑스의 기즈의 메리와 결혼시킴... (140)

  • 프로테스탄트 사상이 스코틀랜드로 스며들기 시작함... 1528년 최초의 순교자... 점차 증가됨... (140)

  • 제임스 5세가 사망했을 때 왕위 계승자는 아직 어린아이였던 메리 스튜어트였다. 헨리 8세는 메리 스튜어트를 자기의 맏아들 에드워드와 결혼시키려 하였다... 친불파가 성공하여 헨리의 계획은 좌절됨... (141)

  • 프로테스탄트들은 세인트 앤드류 성을 점거하고 대주교를 살해함... 존 녹스의 등장... 프랑스의 지원으로 녹스 및 주모자들은 갤리선 노예 생활(19개월)... 잉글랜드의 중재로 풀려나고, 에드워드 6세 시절... 잉글랜드로 가서 목회를 시작함... 에드워드 이후 메리 튜더의 박해로... 녹스는 스위스로 건너가 제니바에서 칼빈, 취리히에서 츠빙글리의 후계자인 불링거와 시간을 보냄... (141-143)

  • 프랑스로 보내진 어린 메리 스튜어트는 기즈가에서 친척들의 보호를 받으며 양육되었다. 기즈가 출신 어머니가 스코틀랜드에서 섭정 역할을 함... 15584월 메리는 프랑스의 황태자와 결혼... 1년후 프란시스 2세로 왕위에 오름... 16세인 메리가 프랑스의 왕비요 스코틀랜드의 명목상 여왕이 되었다... 그녀는 스스로 잉글랜드의 합법적 여왕임을 주장했다. (143)

  • 메리 튜터의 사망 이후 메리 스튜어트는 잉글랜드의 여왕이라는 공식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 (143)

  • 녹스는 망명 기간 동안에 당시 유럽을 통치하고 있던 여성들(스코틀랜드의 섭정, 잉글랜드의 메리 튜터, 프랑스의 캐서린 드 메디치)을 맹렬히 공격하였다... 그의 저서 괴물 같은 여성 통치에 대항하는 최초의 나팔소리가 출판되자마자 메리 튜터가 사망하고 엘리자베스가 뒤를 이었다... 엘리자베스의 분개... (144)

  • 가톨릭군이 스코틀랜드의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을 공격함... 엘리자베스가 있는 잉글랜드에게 원군 요청... 1560년 잉글랜드는 원군을 파견함... 이때 스코틀랜드의 섭정이 사망하였고, 프랑스는 평화를 원해서 양국은 군사를 철수시킴... (144-145)

  • 녹스와 귀족들의 갈등... 경제적인 문제... 귀족들은 교회 재산을 차지하려고 하고, 녹스와 추종자들은 이러한 자금을 이용하여 국립교육 제도를 확립하고 교회를 유지하려 함... 귀족들은 레미 스튜어트를 귀국시켜 아버지의 왕위를 차지하게 하였다... 녹스와 여왕의 대결... (145)

  • 스코틀랜드 개혁교회 조직... 메리 스튜어트 스스로 몰락을 초래함(잉글랜드 왕위에 대한 욕심)... 메리 스튜어트... 사촌인 단리 경 헨리 스튜어트와 결혼... 프로테스탄트주의를 뿌리뽑기 위해 스페인과 합의한 계획이라고 반대한 모레이의 반란... 보스웰과 연합한 메리에게 패배하고 런던으로 망명... 이후 단리와의 결혼이 불만이있던 메리는 보스웰 및 측근들에게 불평... 얼마후 단리가 살해... 재판을 통해 보스웰은 법적으로 무죄판결을 받았지만, 몇 달 후 메리와 보스웰이 결혼함... (146-147)

  • 보스웰을 증오하던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킴... 귀족들은 메리에게 양위와 살인 혐의에 의한 기소 중 하나를 택하라고 요구함... 메리는 자신과 단리 사이에 출생한 한 살짜리 아들 젱미스 6세에게 왕위를 물려줌... 어린 국왕을 보좌하기 위해 영국에서 귀국한 모레이가 섭정이 됨... 메리는 탈옥하여 군대를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잉글랜드로 도망하여 엘리자베스에게 피신함... (147)

  • 엘리자베스를 제거하려는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메리는 사형선고를 받음... (147-14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