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16

정명리 [鄭明理, 1860~1935] 장로교 목사 정명리 [鄭明理, 1860~1935]장로교 목사 【1860년】출생하였다.일찌기 기독교인이 되었고 조사로 황주군 주동(注洞)교회 등지에서 시무하였다. 【1910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3회).독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황주읍교회ㆍ농소리교회 전도목사로 부임하였다.이후 강동군 표대리교회(1908년 설립)ㆍ송오리교회 등지에서 목회하였다.당시 독노회에서 신문위원으로 선출되어 예수교회보 창간을 위한 모금에 동참하였다.1907년 12월부터 장로교ㆍ감리교 합동으로 발행하던 『기독교신보』가 1910년 2월 21일 폐간하게 되자 예수교장로회 제3회 대한노회(大韓老會, 1909년 9월 3일)에서 이미 신문위원으로 선출된 한석진(韓錫晉)ㆍ게일(Gale, J. S.)ㆍ김관곤ㆍ김창보ㆍ배유진ㆍ이명혁ㆍ차학연ㆍ정명리 등 .. 2024. 9. 3.
주공삼 [朱孔三, 1875~?] 장로교 목사, 주요한ㆍ주요섭의 아버지 주공삼 [朱孔三, 1875~?]장로교 목사 【1875년】평양 근교 궁골에서 출생하였다.본관은 신안(新安)이며 아명(兒名)은 주진우(朱珍雨)이며 호(號)도 신안(新安)이다. 【1880년】어려서부터 한학을 수학하였고 주자(朱子)와 공자(孔子) 뒤에 자기가 있다고 하여 이름을 주공삼(朱孔三)이라 하였다. 【1881년】그의 부친은 본래 함경도 출신이었으나 평양 근교로 이주한 후에 농사를 짓다가 그가 7세 되던 해 사망하였다.성장하여 보부상이 되어 어느 날 평양에 갔다가 마펫(S. A. Moffett) 선교사를 만나 전도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었다.이후 마펫의 비서 겸 어학선생으로 일하면서 장대현교회에 출석하였다. 【1893년】장대현교회에서 장로 장립을 받았다.음서로 천거되어 대한제국 조선 황조 하급관료직을 지냈다.. 2024. 9. 3.
최성주 [崔聖柱, 1878~1953] 장로교 목사, 선교사 최성주 [崔聖柱, 1878~1953]장로교 목사, 선교사 【1878년】2월 9일 평북 정주군 정주읍 성내동에서 최찬보(崔贊甫)의 3남으로 출생하였다. 【1885년】한학자 이숙근(李熟根) 문하에 들어가 한학을 수학하였다.철산 교인 유상도(劉尙道)가 정주읍에 와서 전도하여 기독교인이 되었다. 【1899년】김시항(金時恒)ㆍ최현보(崔賢輔) 등과 함께 정주읍교회를 설립하였다. 【1906년】정주읍교회 초대 장로로 장립되었다.조사로 정주읍교회에서 시무하면서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하였다. 【1908년】이명룡은 정주읍교회 담임 최성주 목사와 여러 인사들과 더불어 평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정주지방 신민회 지도자로 다양한 활동을 했다. 【1910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3회).독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고 정주읍교회.. 2024. 9. 3.
채정민 [蔡廷敏, 1872~1953] 장로교 목사, 신사참배 반대운동 채정민 [蔡廷敏, 1872~1953]장로교 목사 【1872년】4월 28일 평남 중화군 동두면 설매리에서 채필영(蔡弼永)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897년】어려서 한학을 수학했고 1897년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세례교인 중 한 사람인 이성하(李成夏)와 최일형(崔鎰亨)이 향리에 와서 전도할 때 기독교인이 되었고 같은 동네의 최훈(崔薰)과 함께 믿기 시작하여 문중과 마을 사람들에게 열심히 전도하니 이것이 설매동교회의 시작(1898년)이 되었다. 【1898년】세례를 받았고 인근 용산리에도 전도하여 교회를 설립하였다. 【1900년】조사가 되어 북장로회 리(G. Lee) 선교사와 함께 중화ㆍ대동ㆍ곡산 등지 30여 교회를 돌아보며 목회를 시작하였다. 특히 의병들이 일어나 교회가 수난받을 때 위험을 무릅쓰고 교인들을 .. 2024. 9. 3.
길선주 [吉善宙, 1869~1935] 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3ㆍ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1인. 길선주 [吉善宙, 1869~1935]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3ㆍ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1인. 자는 윤열(潤悅)이며 호는 영계(靈溪)이다.  【1869년】3월 15일, 평남 안주 후장(後場)에서 길봉순(吉鳳順)과 노(盧)씨 사이에 차남으로 출생하였다.야은 길재의 19대 손으로, 그의 부친은 무과에 급제한 무장이었고 모친은 한학에 조예가 깊었다. 【1872년】4세에 모친에게 한문을 배웠다. 【1875년】7세 때부터 당시 유명한 정(鄭)선생의 문하에 들어가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1879년】11세 때, 안주 출생의 신선행(申善行)과 결혼하였다. 【1880년】12세 때에 이미 「십지부동의영상」(十指不動衣盈箱)이란 한시를 지어 주위 사람을 감탄케 하였다. 【1881년】13세 때 안주 본부 초인직에 근무하였.. 2024. 9. 2.
한득룡 [韓得龍, 1861~?] 장로교 목사 한득룡 [韓得龍, 1861~?]장로교 목사 【1861년】평북 의주군 고령삭면에서 한택선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고 초시를 지냈으나 부모의 만류로 관계 진출은 포기하고 부모와 함께 전도를 받아 기독교인이 되었다. 【1900년】김석조ㆍ김노하ㆍ조득청ㆍ한죽령ㆍ한송령ㆍ유윤측 등과 함께 의주 창사교회(倉舍敎會) 창립 멤버가 되었다. 【1903년】최정옥ㆍ최의선 등과 함께 향리인 천마리(天摩里)에 초가 4간 예배당을 마련하여 천마교회를 설립하였다.이후 선천군 신부면 갈현(葛峴)리로 이주하였고 조사가 되어 삭주 대관(大舘)교회ㆍ신창(新倉)교회ㆍ신안(新安)교회 등지에서 목회하면서 선교사 베어드(W. M. Baird, 배위량), 리(G. Lee, 이길함) 등과 함께 한만국경 지역을 순회하며 교회를 돌보았.. 2024. 9. 2.
한병직 [韓秉職, 1866~1928] 장로교 목사, 한경직 목사와 6촌간 한병직 [韓秉職, 1866~1928]장로교 목사 【1866년】평남 평원군 공덕면 간리(間里)에서 출생하였다.한경직 목사와는 6촌간이다.어려서 한학을 공부했고 마펫(S. A. Moffett, 마포삼열)의 전도를 받아 초기 교인이 되었으며 한씨 문중에 전도하였다. 【1895년】향리에 세워진 자덕(自德, 혹은 自作)교회 설립에 참여하였다. 【1907년】자덕교회 초대 장로로 장립되었다. 【1910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3회)제4회 독노회는 강도사 한병직을 조사(전도인)로 그리고 매서인 이재순을 블라디보스톡에 파송하였다. 【1911년】제5회 독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목사가 된 후 첫 부임지는 함남의 홍원ㆍ북청ㆍ신창ㆍ신표의 4교회였고 이곳에서 선교사 영(L. L. Young, 영재형)과 동사목사로 .. 2024. 9. 2.
김여현 [金勵顯, 1864~?] 초기 장로교 전도인, 1910년 평양 장로회신학교 졸업(?) 김여현 [金勵顯, 1864~?]초기 장로교 전도인 【1864년】출생하였다.선교사 번헤이슬(C. F. Bernheisel, 편하설)의 조사로 순회전도를 했다. 【1901년】평남 영원읍교회를 설립하여 시무하였다. 【1910년】최초의 강도사가 되었다.1910년 제4회 노회에서 평남대리회 소속 김종섭, 김영준, 한병직, 김여현, 강유훈, 이태항 등 6명과 평북대리회 소속 김건주, 한득룡, 문진훤, 송문정, 김진근 등 5명, 그리고 경상대리회 소속 심취명과 평남대리회 소속 채정민을 강도사로 허락했다. 이것이 한국장로교회 내에서 최초로 강도사가 등장한 사례다.☞ 김일환, “예장 통합교단의 1971년 헌법 개정과 특징”, 장신논단 Vol.50 No5, 111~112쪽 참조 『기독교대백과사전』 제3권에서는 그의 신학교.. 2024. 9. 2.
김진근 [金振瑾, 1867~1940] 장로교 목사 김진근 [金振瑾, 1867~1940]장로교 목사 【1867년】평북 구성군 신시에서 출생하였다. 【1910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3회).목사안수를 받았다. 【1914년】강계읍교회에 부임하였다.장로교총회의 결정으로 서간도 지방에 최초의 간도선교사로 파송되었다.집안(輯安)ㆍ통화(通化)ㆍ회인(懷仁)ㆍ흥경(興京)ㆍ유하(柳河)ㆍ해룡(海龍)ㆍ임강(臨江) 등지에 교회와 학교를 여러 개 설립하여 시무하면서 만주 전도의 초석을 놓았다.이후 귀국하여 강계ㆍ용천ㆍ곽산 등지에서 교역하였다. 【1919년】곽산교회에 부임하였다.3ㆍ1운동 당시에는 동지인 김태풍 등과 함께 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1920년】평양에서 2년의 옥고를 치렀다.그후 산서노회ㆍ의산노회ㆍ평북노회 노회장을 역임하였다. 【1924년】차련관교회에 부임.. 2024.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