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06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6 : 실존적 존재로서의 인간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제3부 : 새로운 존재 인간 실존의 문제와 그리스도이신 예수 노트 16 : 실존적 존재로서의 인간 실존주의 사상... 19세기 덴마크의 기독교 사상가 키에르케고르와 러시아의 사상가 베르쟈에프, 문호 도스토옙스키뿐만 아니라 니체와 카뮈의 사상에도 나타난다. 철학계에서는 20세기전반의 야스퍼스, 하이데거, 마르셀, 사르트를 대표적인 4대 실존철학자로 꼽는다. (185) 포스트모던이 강화된 지금 실존주의는? (186) 틸리히는... 인간이 인간으로서 자기 자신의 곤궁, 고독, 내적 분열, 자기소외를 실존적으로 진지하게 성찰하면 언제 어디서든 실존주의 문제로 제기했던 주제들이 대두되며, 그것은 기독교 복음의 전달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186) 20세기 현대인들에게 ‘..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5 : 신적 사랑과 아가페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5 : 신적 사랑과 아가페 아가페로서의 사랑은 모든 조건을 초월한다. 사랑하는 자와 사랑받는 자가 하나가 된다. 아가페적 사랑은 ‘반항에도 불구하고’ 타자를 용납한다. 그래서 고난받고 용서한다. 아가페는 타자의 인격적 성취를 추구한다. 하나님은 모든 피조물의 자기 성취를 지향하고 분열되고 찢겨진 생명이 재연합을 통해 서로 하나가 되기를 지향하므로, 아가페 유형의 사랑도 신적 지반 위에서 존재자와 존재자가 궁극적으로 하나 되기를 추구한다. (174) 무엇이 존재하려면 그것이 무엇이든 모두 자기 중심을 지닌 개별화된 존재성을 담보해야 한다... 매우 역설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자기 중심을 가지려는 개체화는 그것과 양극성 또는 대극성을 띠는 참여와 쌍을 이루어야 가능하다..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4 : 하나님의 거룩성 - 존엄과 영광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4 : 하나님의 거룩성 – 존엄과 영광 우리가 하나님이 존재하시는가 아니하는가를 토론한다는 것 자체가 하나님의 거룩성을 모독하는 일이다. (165) ‘하나님의 거룩성’에 대한 틸리히의 성찰이 우리에게 중요한 이유는, 오늘날 기독교가 지나치게 인본주의적 종교, 대중 욕망 충족의 종교, 새로운 변종 기본 신앙으로 타락해가는 원인이 무엇일까를 다시 생각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167-168) 유일신 신앙이란 존재하는 모든 것들, 역사적 형태를 지닌 어떤 특정 종교와도 하나님을 동등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배타적 기독교는 유일신 신앙이 아니라 일신교적 종교로 전락한 것이다. (168) 틸리히는 전능하신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란 유한성의 불안을 극복하기에 ..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3 : 하나님의 형상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3 : 하나님의 형상 바르트는 동료 신학자 에밀 브루너(1889-1966)와의 ‘자연 신학’ 논쟁에서 인간의 이성, 양심, 감성 그 자체로 하나님을 바르게 인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오직 하나님의 은총과 성령의 감동 감화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강조한 것이다. (161) 틸리히는 ‘하나님의 형상’을 인간성 안에 간직되어 있는 ‘로고스 씨앗’으로 본다... 하나님의 본질을 로고스라고 본다면 인간의 특징은 로고스 씨앗(존재론적 이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하나님을 닮았다는 것이다. (162)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2 : 창조주 하나님 신앙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2 : 창조주 하나님 신앙 창조론은 ‘과거 한 때’에 일어났던 창조 사건을 이야기하려는 것이 아니다. 창조론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우주 세계의 관계를 말하려는 것이며, 인간의 유한성의 의미를 그 피조성에서 찾고 긍정하려는 신앙고백적 담론이다. (151-152) 1) 그리스도인이 창조주 신앙을 고백한다는 것은 무엇보다 인간 자신이 ‘스스로 자존하는 무한자’가 아니라 유한한 존재요, 상대적인 존재요, 불안정한 존재임을 고백하는 것이다... 2) 창조주 신앙고백을 한다는 것은 ‘철저한 유일신 신앙’의 특징으로서 하나님만이 모든 것의 원인이요, 존재 근거이며, 하나님과 대등한 어떤 궁극적 실재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창조주 신앙고백 곧 기독교 창조론이..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1 : 살아계신 하나님 신앙과 초월적 유신론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1 : 살아계신 하나님 신앙과 초월적 유신론 바르트의 초기 사상은 ‘창조주와 피조물의 질적 차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절대 구별을 강조한다... 하나님의 절대 초월성, 불가해성, 자기 계시성을 강조한 것이다. (142) 하나님을 인간의 두뇌와 논리와 윤리적 인과응보 법칙에 의해 판단하지 말라... (144) 성서의 하나님은 인간 도덕율이 세워놓은 선악이원론의 틀에 가둘 수 없다... (144) 성어거스틴... 만물의 본성은 선한 것이며, 악은 하나님 자신이 창조하신 것이 아니다. ‘악이란 선의 결핍’이다... 악은 그 자체의 독자적 실체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것이 기독교의 신앙고백이다. (145) 살아계신 하나님은 왜 악한 자의 횡포를 곧바로 저지하거나 심판하지 ..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0 : 영이신 하나님과 삼위일체적 원리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0 : 영이신 하나님과 삼위일체적 원리 함석헌... 만약 지구가 대혼란의 종말 상태에 처하여 성경이 모두 망실되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요한복음』 4장의 예수와 사마리아 여인 사이에 있었던 ‘수가성 샘터에서의 진리 이야기’만 남는다면 기독교의 진수는 보존된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요 4:24)... (132) 영을 바르게 이해하려면 먼저 영을 ‘명사적 실체’로 이해하기보다는 ‘동사적 현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인간은 영적 체험을 하고 영적 존재임을 느낀다... 영은 생명의 존재론적 요소들과 생명의 내면적 지향성이 통전된 것이다(틸리히의 정의). 생명으로 현실화되는 존재 자체는 영이라는 상태로서 최고 형태로..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9 : 존재 자체이신 하나님과 야훼 하나님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9 : 존재 자체이신 하나님과 야훼 하나님 틸리히가 우려하는 것은 그리스도교 신관이 그렇게 ‘한 초월적-최고신’으로 잘못 받아들여지면 그 신은 참 하나님이 아니며 등급을 다투며 만신전에 좌장한 많은 신 가운데 최고신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신은 비록 일반 존재자들보다는 초능력이 있겠지만 시공간의 제약을 받고, 특수한 성격을 지니며 신 또는 신적 운명에 매인 피조물적 존재가 되고 만다고 경고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은 ‘존재 자체’이시며 ‘존재의 지반과 능력’이라고 틸리히는 갈파했다. (123) 틸리히가 하나님을 ‘존재 자체’라고 부르고 싶어하는 진정한 이유는, 인간이 만든 종교적 우상 신들을 폭로하고 허무주의가 삶을 밑동에서부터 허물어뜨리려는 시대 사조를 극복하면..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8 : 존재 물음과 비존재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제2부 : 존재자들과 존재 자체 피조물 의식과 창조주 신앙 노트 8 : 존재 물음과 비존재 ‘신’이란 인간의 유한성 안에 내포된 질문들에 대한 답이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이란 인간이 궁극적으로 관심하는 그것에 대한 이름이다... 궁극적 관심은 모든 유한하거나 구체적 관심을 초월하는 것이라야 한다. 왜냐하면 유한자 안에 내포된 모든 문제에 대한 대답이 되려면 유한자의 모든 영역을 초월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107) ‘하나님의 존재하심’... 입으로는 초월적 최고 존재자로서의 하나님을 말하고 있지만 사실은 현대 철학의 현자인 하이데거가 지적했듯이 ‘존재’와 ‘존재자’를 혼동하고 있는 것... (110) ‘존재’ 곧 ‘있음’이란 가장 신비롭고 놀라운 존재에 대한 깨달음이요.. 2021. 3. 4.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