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06 “장공 김재준 목사의 ‘삶의 신앙’ 지향적 설교에 관한 연구” - 김윤규(2013) - 김윤규(한신대학교, 실천신학) [한국개혁신학] 38 (2013) : 117-67. I. 들어가는 말 종교문화학자로서, 소위 ‘풍류신학’을 추구하는 유동식 교수는 장공 김재준을 지칭하여 한국교계에 폭넓은 영향을 끼친 ‘한국신학을 광맥’이라고 증언하고 있다. (118) 김경재 교수는 이미 ‘장공의 영성’을 조직신학적, 종교사회문화적인, 특히 교회론적인 입장에서 장공의 생애와 (신학)사상의 본질이 무엇이며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평가한 옥고를 썼다. (118-119) 목회학, 설교학 등을 강의 : “나는 주로 실천신학 부문에서 설교학, 목회학 등을 강의했다. 내게 자격이 있어서가 아니라, 다른 교수들이 안하려는 부스러기 과목들을 주워 모은 것이다.” (119) 86세의 노년에.. 2021. 3. 3. “반종교개혁 시기 가톨릭의 사상통제와 파올로 베로네제의 종교재판” - 임동현(2017) - 임동현(한국외국어대학교) 『미술세계 63』(2017), 82-84. ‘트리엔트 공의회’ - 반종교개혁의 시작 – 마틴 루터 이전으로의 회귀... 교황의 권위와 가톨릭의 전통이 재확인, 성직 계층의 퇴폐 근절 등 내부 단속을 위한 노력이 경주... 사상통제... 이단자 색출을 담당하던 검사성성(檢邪聖省)과 출판물 검열을 담당하던 금서성성(禁書聖省) 등이 이 시기에 설치된 기구들... (82-83)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의 새로운 문화적 분위기는 르네상스 시기의 혁신을 무위로 돌려놓았다. 회개와 희생의 필요성을 자극하는 이미지들이 강조... 고통과 죽음 그리고 이와 연결되는 죄로부터의 해방은 반종교개혁기의 예술적 토포스(topos)였다. (83) 안니발레 카라치(1560-1609), 미켈란젤로 미리시 다 .. 2021. 3. 3. “16세기 ‘가톨릭改革’과 ‘反宗敎改革’에 對한 敎會史的 考察” - 김희중(1999) 김희중(신부, 광주가톨릭대학교 교회사 교수) 『신학전망 124』(1999), 100-117 I. 머리말 ‘교회는 항상 쇄신되어야 한다’(Ecclesia semper reformanda est)는 필요성은 초기교회 때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줄곧 제창되어왔다. (100-101)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운동이 교회의 분열을 가져왔고, 이 분열을 치유하려는 운동이 1522-1648년 사이에 가톨릭교회에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났는데, 이 당시의 가톨릭개혁을 19세기 초 역사가들은 관점에 따라서 ‘가톨릭개혁 운동’, ‘가톨릭쇄신 운동’ 또는 ‘반종교개혁’이라는 표현으로 사용하였다. (101) II. ‘가톨릭개혁’과 ‘반종교개혁’의 차이 1. ‘반종교개혁’ 표현의 기원 1776년 퓨터는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이미 받아들.. 2021. 3. 3. “가톨릭개혁과 종교미술” - 고종희(2017) 고종희(한양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교수ㆍ미술사가) 『미술세계 63』(2017, 60-63. 1. 트리엔트 공의회 가톨릭교회는 1545년부터 1563년까지 18년에 걸쳐 트리엔트 공의회를 개최하여 프로테스탄트에 의해 의문이 제기된 교리와 관습에 대해 폭넓게 논의하였고, 입장을 정리했다. (60) 트리엔트 공의회는 제25회기에서 미술에 대한 입장을 밝혔는데, 내용의 핵심은 프로테스탄트와 달리 가톨릭은 미술품을 성서, 성인, 교리를 교육시키는 수단으로 삼고 그 중요성을 부각한다는 것이었다. (60) 2. 용어의 문제 반종교개혁이라고 칭하는 사람들은 주로 개신교 국가의 학자들로서 루터의 종교개혁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는 반면, 가톨릭개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가톨릭 국가의 학자.. 2021. 3. 3. “자유의 맥락에서 본 장공 김재준의 삶과 신앙” - 이오갑(2008) - 이오갑(그리스도대 교수 / 조직신학) 『신학사상 141』(2008), 7-37. 초록 장공 김재준(1901-1987)은 20세기 한국 민족과 문화사에서 자유의 사상가라고 불릴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그것은 그가 그 시대에서 자유로운 사상가였으며, 더더욱 인간의 자유에 대해서 투철한 신념과 통찰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7) 1. 들어가는 말 장공 김재준은 자유의 사상가이다(자유주의자는 아니다)... 그 시대에서 자유로운 사상가였으며, 더더욱 인간의 자유에 대해서 투철한 신념과 통찰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8) 자유주의란 19세기 이후 20세기 초반 유럽을 풍미했던 신학사조이다. 그것은 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보다는 인류의 종교 혹은 지혜의 오랜 전승이나 축적물로서 보며, 그것을 해석하는 데 있어.. 2021. 3. 3. “김재준의 정치신학 : 신학적 원리와 사회ㆍ정치변혁론 – 1970-1980년대 인권ㆍ민주화ㆍ평화통일 운동을 중심으로” - 김경재(2004) - 김경재(한신대 교수 / 조직신학) 『신학사상 124』(2004), 55-86. 1. 들어가는 말 북미주 체류 10년 동안 장공이 ‘북미주 기독자교수협의’(The Association of Korean Scholars in North America), ‘한국민주회복 통일 촉진 국민회의’(Korean Congres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 북미주 본부, 그리고 ‘민주주의 국민연합’(The United Movement for Democracy in Korea) 북미주 본부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어떤 활동을 했는가? (58) 위 기관 단체의 지도자로서 참여하면서, 부딪혔던 문제들 중 특히 북한당국과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 민주인사들의 좌파, 우파, 중도파 입장들을 어떻게 조율.. 2021. 3. 3. “김재준(金在俊, 1901-1987)에 있어서 목회자의 사회윤리적 정체성” - 임걸(2004) - 임걸(연세대 교수 / 조직신학) 『신학사상 127』(2004), 95-130. 많은 사람들은 김재준이 평생동안 변절하지 않고 목회자로서 자기의 믿음과 행동에 일관성을 유지했다는 것에 놀라운 평가를 내리고 있다. (95) 김재준이 생각하고 제시하는 목회자의 윤리적, 사회적 정체성 탐구 (95) 불의한 사회에 대한 개혁자, 청빈한 사람으로서의 목회자, 시인으로서의 목회자 (96) 1. 한국사회의 목회자 김재준 김재준은 한국교회의 목사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종교의 계층을 뛰어넘어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하는 목표와 과제를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 깊은 영향력과 지도력을 남긴 한국사회 전체의 목사였다... ‘한국민족의 목회자’ (96) 김재준을 ‘민족 목회자’로 이해하는 유동식의 .. 2021. 3. 3. “장공 김재준의 복음이해와 한국민족” - 손규태(2001) - 손규태(성공회대학교 교수 / 기독교윤리) 『신학사상 115』(2001), 105-126. 1. 들어가는 말 장공의 삶은 1932년 미국에서 귀국하여 해방까지는 주로 신학자로서 학문하고 목사로서 설교하고 또 몇몇 학교들에서 교사로서 봉사했다. (106) 한 신학자와 종교인으로서 민족 문제를 이렇게 철저하게 사색하고 그 미래를 위해서 이렇게 몸 바쳐 헌신해 온 지도자를 우리 역사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역사에서도 찾기 힘들 것이다. 장공에게서 이러한 그리스도 사랑과 민족애가 하나로 응집된 것을 발견하지 못환다면 우리는 그의 삶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107) 한국의 저명한 문화신학자 유동식은 장공의 삶을 민족선교 혹은 민족목회라는 차원에서 이해한다. “복음에 의한 민족선교 또는 민족목회를 담.. 2021. 3. 3. “김재준의 정치사상” - 김동환(2014) - 김동환(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교수 / 기독교윤리학) 『신학사상 164집』(2014년 봄호), 121-153. 1. 들어가는 말 김재준의 정치사상은 지금도 유효한가? (122) 정치적 활동이나 업적 ‘이전에’ 혹은 그 ‘아래에’ 깊이 뿌리내려있던 학문적(정치학적) 밑바탕... 만약 김재준의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과정에서도 그러한 학문적(정치신학적) 밑바탕이 발견된다면, 그는 분명 지금 이 시대에서도 조명 받아 마땅한 영웅일 터이고, 그의 정치사상은 특정 시대와 장소에 국한되지 않는 귀한 정치사상일 것이다. (122-123) 2. 출발점 : 인간의 본성 – 자유 김재준의 정치사상의 핵심을 한 문장으로 말한다면, 대한민국의 건국을 목도하면서 그가 남긴 유명한 논문인 “기독교의 건국이념”의 첫 문장인, “.. 2021. 3. 3.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