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06

“일제 박해시대의 선교유형에 관한 연구 – 장공 김재준의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선교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 최성일(2005) - 최성일(한신대 교수 / 선교신학) 『신학사상 129집』(2005), 191-229. 초록 교회가 순교자의 피 위에 건설되었다고는 하지만, 박해시대에 기독교 선교는 역설적으로 박해로부터 도망친 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191) 1. 서론 2. 성서에 나타난 박해시대의 선교유형 성서는(특히 신약성서는) 교회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서, 그리고 각기 다른 환경과 선교상황 속에서 저술되었다는 관점으로부터 선교문서로 볼 수 있다. (193) 박해시대에 나타나는 선교유형 : 1) 박해가 닥쳤을 때 취하는 적극적인 행위는 항거다. 2) 순교. 터툴리아누스의 경우, 순교는 당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되는 것이며, 신의 말씀으로서 구약과 성령의 계명은 순교의 영예를 지향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3) 순례(박해로부.. 2021. 3. 2.
“한국신학사에 있어서의 김재준의 위치” - 주재용(1985) - 주재용(한신대 교수 / 교회사학) [신학사상 제50집](1985), 461-485. I. 머리말 신학... “시대의 아들” (461) 김재준 : 신학이 없어질 수 없는 궁극의 과제를 다루고 있으며, 동시에 시대적인 조건에 의하여 인간의 요청에 적응하는 대답을 줄 의무가 있는 것이라면 신학의 지금의 상태를 재검토하여 이제부터의 갈 방향을 작정하는 것은 당연한 조처라 아니할 수 없다. (461) 박형룡은 지적하기를... 우리나라에 들어온 이대종파인 장로교와 감리교 중에서 감리교는 시학의 변천에 대하여 자유로운 태도를 취하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자유주의가 뿌리를 박으되 탈 없이 지났다. 장로교는 정통신학의 보수에 상당히 골몰하였기 때문에 자유주의의 침투가 비교적 더디었고, 또 소리를 내며 교회분열을 초래하였.. 2021. 3. 2.
“김재준의 사회윤리사상” - 자유는 인간존재자체인 것이다. - 장일조(1985) - 장일조 (한신대 교수, 철학) 『신학사상 제50집』(1985), 512-531. I. 머리말 1971년에 나온 전집을 바탕으로 한다. (488) II. 비판적 신학 김재준 신학이 한국신학에서 그 두드러진 성격을 드러낸 것은 1950년대부터다... 김재준이 자유주의 신학자라는 것은... “조선신학교의 소위 자유주의적 경향”이라는 한국 그리스도교 일반의 인식에 의해서 형성된 선입견적 관념이었다. (488-489) 한국 그리스도교 정통주의 : 1) 축자영감설과 성서무오설을 내용으로 하는 성서문자주의, 2) 신조와 교리를 바탕으로 하는 교리지상주의, 3) 전통을 개혁없이 고수하려는 보수주의... (489) 성서문자주의는 인간의 삶의 풍부한 의미에서 세계를 메마르게 하고, 교리지상주의는 비판적 사유를 억압하며.. 2021. 3. 2.
“김재준의 성경관과 신정통주의신학” - 한철하(1985) - 한철하 (아세아연합신학대 교수, 조직신학) 『신학사상 50집』(1985), 512-531. I. 김재준 신학의 배경과 특징 1950년 당시의 에 게재되었던 글에 나타난 신학사상의 골자는 신정통주의 신학사상 그대로였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512) 『장공전집』 마지막권 마지막 부분 “내가 영향받은 신학자와 그 저서”에서 그는 바르트, 브룬너의 영향을 솔직히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둘은 그가 영향을 받은 유일한 신학자들이기도 하다. (512) 1. 자유주의자 김재준 “나대로의 세계를 즐긴다”, “무슨 책을 읽어도 참고로만 대하는” 태도는 사실 “나”는 절로 난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513) “내가 존경하는 사람 – 바울” (513-514) 2. 신앙의 용어와 현대어와의 혼돈 김.. 2021. 3. 2.
“메노 시몬스의 영성신학” – 그의 ‘새로운 탄생’ 개념을 중심으로 - 김주한(2004) - 김주한(한신대학교 학술원 연구교수, 교회사학) 『신학연구 45』(2004.10), 173-195 I. 여는 말 16세기 유럽의 종교개혁... 제도권 종교개혁사들(magisterial reformers), 급진개혁가들(radical reformers). (173) 급진개혁가 그룹은 복음주의적 급진파들(evangelical radicals : “재세례파”로 불리는 콘라드 그레벨, 야곱 후터, 메노 시몬스)과 혁명주의적 급진파들(revolutionary radicals : 토마스 뮌처, 칼슈타트)로 나누어진다. (174) 재세례파들... 추구한 공통된 이상은 신약성서에 있는 사도적 교회를 지상에 세우기를 열망하면서 엄격한 공동체적인 훈련을 강조하였고 성서 해석에 있어서도 문자주의를 고수하였다는 점이다. (.. 2021. 3. 2.
“칼빈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관한 고찰” - 오태균(2010) - 오태균(총신대학교 교수) 『기독교교육정보 25』(2010.4), 285-317. I. 들어가는 말 칼빈과 동시대의 인물이자 제네바 종교개혁의 후계자인 데오도르 베자(1519-1605)가 남긴 ‘존 칼빈의 생애와 사상’ (285) 한국의 목회자들은... 1990년대에 들어서서야 리더십에 대한 활발한 학문적 탐구가 있었으며, 존 멕스웰은 그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 (286) 리더십을 가장 단순하게 정리하자면 영향력(influence)이라고 할 수 있는데, 칼빈과 그 후예들의 영향력은 신학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상 전영역에 걸쳐있다... (286) 정치적으로 민주화에 기여... 경제적으로 근대 자본주의 탄생에 결정적 공헌... (286) 그는 중세의 장원제 경제 체계에서 근대의 산업화로 넘어가는 .. 2021. 3. 2.
“비텐베르크 운동과 성상파괴주의” - 최재호(2005) 『역사교육 94』(2005.6), 117-150. 1. 머리말 루터와 칼슈타트의 갈등... 칼슈타트는 비텐베르크 운동의 정점기에 형상파괴를 설교하였다. (117) 루터는 비텐베르크로 돌아와 ‘소요’ 사태를 진정시켰다. 일련의 논쟁이 오간 후 급기야 1525년 루터는 칼슈타트를 ‘우리의 가장 나쁜 적’이라고 불렀다. (118) 종래 비텐베르크 형상파괴운동은 종교개혁의 원리 즉 복음을 지키려는 순수한 교리적 차원에서 수행된 결과물로 주장되어 왔다. 그러다보니 루터와 칼슈타트의 가라짐에 초점을 맞추어진행되기는 하였으나, 그것은 지나치게 미사 개혁에 대한 입장 차이에만 두어졌다. 두 사람의 사상과 정치권력과의 관계는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종교개혁기의 형상파괴운동은 개인적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 2021. 3. 2.
“16세기 종교개혁과 재세레파 운동” - 정치와 종교의 분리주의 개념 - 김기달(19 - 김기달(교수, 역사신학) 『신학과 목회 5』(1991.4), 61-92. I. 서론 1) 종교개혁 473주년 종교개혁 사건은 1517년 10월 31일 마틴 루터라는 한 독일인 젊은 신부가 윗탠버그 성내의 교회문에 95개조의 항의문을 게시함으로써 시작되었는데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천오백년의 기독교 역사 속에서 잃어버렸던 하나님의 말씀 성경을 재발견하고 기독교회의 본질과 초대교회의 기독교의 원형을 찾게 된다는 점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63) 2) 기독교의 재발견 흔히 기독교를 유대교와 회교와 함께 계시종교의 하나라고 칭한다... 계시종교는 하나님의 절대적 타력에 의존하여 믿음으로 하나님의 값없이 주는 은혜로 구원 받는 종교라 한다. (64) 기독교회의 역사는 성령을 통한 영혼들의 구원과 복.. 2021. 3. 2.
“한국기독교장로회 새 역사 50년의 회고와 전망” - 연규홍(2003) 「신학연구 44」(2003.12), 203-239. 한국기독교장로회 새 역사 50주년... 희년... (203) 기장의 ‘새 역사’는 무엇인가? 세 가지 전제 ... 1) 교회는 비록 거룩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공동체라 할지라도 이 땅에 존재하는 한 허물과 죄를 가질 수 있다는 것... 2) 교회는 성서의 말씀에 비추어 언제든지 올바른 교회상으로 개혁되어야 한다는 것... 3) 교회의 개혁은 교회만의 개혁에 그치지 않고 하나님의 창조세계와 인간에 대한 책임으로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것... (203-204) 기장의 새 역사 운동은 “교회는 개혁되었고, 또한 끊임없이 개혁되어야 한다”는 교회 갱신을 지표로 한국 교회의 개혁을 지향하며 교회만을 위한 교회가 아닌 세상을 위한 교회로서 이 땅에 하나님 나라의 실현.. 2021.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