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관련]85

[백제 29대 국왕] 법왕(法王, 599~600) [백제 29대 국왕] 법왕(法王, 599~600) 재위 : 599년 ~ 600년 5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600년 5월 법왕(法王)은 제29대 왕이다. 《삼국사기》 권27 법왕편에 따르면, 법왕은 혜왕의 아들이다. 이름은 선(宣) 또는 효순(孝順)이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법왕은 혜왕의 아들이다. 한편,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중국 사서인 《수서》의 내용도 기록하여 “법왕은 혜왕의 장자이고 혜왕이 죽자 법왕이 계승했는데, 《수서》에서는 위덕왕의 아들이라 한다”고 부기하였다. 《일본서기》에는 언급되지 않는다. [598년] 9월, 위덕왕이 중국 수나라에 표문과 조공을 바치자, 고구려는 이를 문제삼아 백제의 변경을 공격하였다. 이때 효순은 백제 장군으로 고구려군을 맞아 싸웠다. 효순은.. 2022. 4. 8.
[백제 28대 국왕] 혜왕(惠王, 598~599) [백제 28대 국왕] 혜왕(惠王, 598~599) 재위 : 598년 12월 ~ 599년 출생일 : 527년 사망일 : 599년 혜왕(惠王)은 백제의 제28대 국왕이다.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계(季)이고, 헌왕(獻王)이라고도 하며, 성왕의 둘째 아들이고 위덕왕의 동생이다. 《수서》 백제전에는 「昌死, 子余宣立, 死, 子餘璋立.」, 즉 “창(위덕왕)의 아들은 선(법왕), 선의 아들은 장(무왕)”이라고 쓰여 있고, 혜왕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일본서기》에는 긴메이 천황 16년(555년) 2월에 성왕이 사망한 것을 알리기 위해서 창(위덕왕)이 보낸 사자로서 혜왕의 이름이 나오는데, 위덕왕의 남동생이라고 적고 있다. 일본 《신찬성씨록》에는 혜왕의 후손이 왜인이 되어 백제조신(百濟朝臣)의 작위를 받았다고 기.. 2022. 4. 8.
[백제 27대 국왕] 위덕왕(威德王, 554~598) [백제 27대 국왕] 위덕왕(威德王, 554~598) 재위 : 554년 ~ 598년 12월 출생일 : 525년 사망일 : 598년 12월 위덕왕(威德王)의 성은 부여(扶餘), 휘는 창(昌)으로, 성왕의 맏아들이다. [553년] 아버지 성왕을 도와 국정에 참여했고, 수도 사비성에 머무는 성왕을 대신해 한강 유역 탈환의 임무를 부여받은 북벌군을 진두 지휘했다. 그가 역사서에 첫 등장하는 것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553년의 백합야 전투다. 태자였던 부여창은 왜와 가야까지 이끌고 고구려 장수와 일기토를 벌여 승리를 거뒀고, 이에 사기가 오른 백제, 가야, 왜의 연합군이 고구려군을 밀어붙여 격파했다. [554년] 554년에 성왕이 전사하자 30살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그는 태자 시절부터 국정에 참여하였고, 신.. 2022. 4. 8.
[백제 26대 국왕] 성왕(聖王, 523~554) [백제 26대 국왕] 성왕(聖王, 523~554) 재위 : 523년 ~ 554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554년 7월(삼국사기, 삼국유사) 혹은 12월 9일(일본서기) 성왕(聖王)은 백제의 제26대 국왕이며, 삼국유사에는 휘가 명농(明穠), 양서에는 명(明)으로 기록되었다. 무령왕의 아들로 과격하고 식견이 있었다. 《일본서기》와 신찬성씨록에는 성명왕(聖明王)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왕’(聖王)은 ‘전륜성왕(轉輪聖王)’을 줄인 이름으로, 성왕은 불가의 전륜성왕을 자처하였다. 왜에 불상과 불경을 전해주었고, 겸익(謙益)이 인도에서 불경 등을 가지고 돌아오자 이를 번역하게 하는 등 교단 정비에 노력하였다. 또한, 공장(工匠)과 화사(畵師)로 하여금 사찰을 건립하고 불상을 제작하게 하였다. [성왕의 출생].. 2022. 4. 8.
[백제 25대 국왕] 무령왕(武寧王, 501~523) [백제 25대 국왕] 무령왕(武寧王, 501~523) 재위 : 501년 12월 ~ 523년 5월 7일 출생일 : 462년 6월 1일(음력), 혹은 461년 6월 1일(음력) 사망일 : 523년 5월 7일(음력) 무령왕(武寧王)은 백제의 제25대 국왕이다. 무령왕릉 지석에 따르면 462년 태어났고 이름은 사마(斯麻) 또는 융(隆)이다. 《백제신찬》에 따르면 무령왕의 아버지 개로왕은 근친상간을 했다고 기록되나, 이것은 왕위의 정통성을 위한 거짓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백제신찬》과 《일본서기》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이고, 동성왕은 이복형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어릴 때부터 키가 크고 외모가 험했으나, 성격이 관대하였다고 한다.. 2022. 4. 8.
[백제 24대 국왕] 동성왕(東城王, 479~501) [백제 24대 국왕] 동성왕(東城王, 479~501) 재위 : 479년 ~ 501년 음력 11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501년 11월(음력) 동성왕(東城王)은 백제의 제24대 왕으로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모대(牟大)이다. 또 다른 이름은 마모(摩牟)ㆍ마제(麻帝)ㆍ말다(末多)ㆍ여대(餘大)등이 있다. 제22대 왕인 문주왕의 아우인 좌평 곤지의 둘째 아들로서 담력이 있고 활을 쏘는 솜씨가 뛰어났다. 삼근왕 때 일어난 해구(解仇)의 반란을 평정한 뒤 정권을 잡은 진씨(眞氏) 세력에 의해 옹립되어 삼근왕의 뒤를 이었다. 동성왕의 본명은 모대 또는 여대, 마모이고, 일본의 일본서기와 속일본기에는 말다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동성왕은 전지왕의 손자로, 개로왕의 동생 곤지의 아들이다. 일본.. 2022. 4. 8.
[백제 23대 국왕] 삼근왕(三斤王, 477~479) [백제 23대 국왕] 삼근왕(三斤王, 477~479) 재위 : 477년 4월 ~ 479년 11월 출생일 : 465년 사망일 : 479년 11월 백제 삼근왕 부여삼근(百濟 三斤王 扶餘三斤)은 임걸왕(壬乞王)이라고도 하며 문주왕의 맏아들이다. 《삼국유사》에는 삼걸왕(三乞王)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즉위했을 때의 나이가 13세에 불과하였으므로 좌평 해구(解仇)에게 섭정으로 국정을 위임하였다. 477년부터 479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477년부터 이듬해 478년까지 해구가 섭정하였고 478년부터 479년 붕어할 때까지 진로가 섭정하였다. [477년] 문주왕의 맏아들로, 477년 4월 부왕에 의해 태자로 책봉되었다. 같은 달, 문주왕이 병관좌평(兵官佐平) 해구(解仇)의 쿠데타에 의해 시해되자, 왕족들의 추대로 13세.. 2022. 4. 8.
[백제 22대 국왕] 문주왕(文周王, 475~477) [백제 22대 국왕] 문주왕(文周王, 475~477) 재위 : 475년 9월 ~ 477년 4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477년 4월 문주왕(文周王)은 문주(汶洲), 문원왕(文園王), 문연왕(文淵王) 또는 문연왕(汶淵王)이라고도 하며 개로왕의 아들이다. 일본서기 유랴쿠기(雄略紀)에는 개로왕의 모제(母弟, 동생)로 기록되어 있다. 이름은 남제서(南齊書) 백제전과, 양서(梁書)에서는 모도(牟都)로 기록되어있고, 송서(宋書) 백제전에는 여도(餘都)로 기록되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문주왕은 개로왕의 아들이라 한다. 그런데 일본측 기록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일본서기의 유라쿠조에 의하면 문주왕은 개로왕의 동생이라 한다. 오오치씨와 토요타씨 족보에는 문주왕의 별칭인 문원왕은 개로왕의 아들로 나.. 2022. 4. 8.
[백제 21대 국왕] 개로왕(蓋鹵王, 455~475) [백제 21대 국왕] 개로왕(蓋鹵王, 455~475) 재위 : 455년 9월 ~ 475년 9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475년 9월 개로왕(蓋鹵王)은 근개루왕(近蓋婁王), 개도왕(蓋圖王)으로도 불린다. 이름은 경사(慶司) 또는 여경(餘慶)이며,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가수리군(加須利君)이라는 칭호도 있다. 그와 후대 왕의 가계에 대해서는 이설이 존재하는데,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의하면 문주왕과 곤지가 그의 아들이라 하지만, 후에 사라진 백제신찬을 인용했다는 일본서기나 속일본기에 의하면 문주왕과 곤지는 모두 그의 이복 동생이라 한다. 중국 남북조시대의 남조 양나라의 기록인 양서에는 문주왕은 개로왕의 아들이라 한다. 남하정책을 펼치던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을 받아 위례성 일대에서 전투 도중 고구려군의 첩자.. 2022.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