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관련]85 [백제 20대 국왕] 비유왕(毗有王, 427~455) [백제 20대 국왕] 비유왕(毗有王, 427~455) 재위 : 427년 ~ 455년 9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455년 9월 비유왕(毗有王)의 휘는 비(毗)이고, 송서 이만전 백제조에서는 여비(餘毗)로 나와있다. 용모가 가냘프고 언변이 좋았다고 한다. 비유왕은 구이신왕의 장남 혹은 서자이나, 가계가 다소 불분명하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구이신왕의 장남이라 하고, 삼국사기에는 두가지 설이 등장한다. 구이신왕의 장남이라는 설과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이 있지만, 전지왕 서자 설은 분명치 않다고 기록하고 있다. 일본서기에는 구이신왕의 아들로 등장한다. 왜의 신찬성씨록에 의하면 비유왕을 시조로 받드는 성씨로는 불파련(不破連)씨가 있다 한다. 일본의 신찬성씨록에 의하면 비유왕은 구이신왕의 손자라는 설도 있어, 구.. 2022. 4. 7. [백제 19대 국왕] 구이신왕(久尒辛王, 420~427) [백제 19대 국왕] 구이신왕(久尒辛王, 420~427) 재위 : 420년 ~ 427년 출생일 : 미상 (405년?) 사망일 : 427년 구이신왕(久尒辛王)은 전지왕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팔수부인(八須夫人)이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구이신왕은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실제로는 목만치가 섭정하였다고 한다. 아버지인 부여영(전지왕)이 해충을 만나 설례의 반란 소식을 듣고, 서해의 섬에서 잠시 머물렀을 때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즉위하고 죽은 기록 외에 다른 기록은 존재하지 않으나, 송서 백제전에서는, 송 태조 유의륭이 원가 2년(425년)에 백제왕이 매년마다 조공을 하여, 왕의 충절을 현창한 것 및 매년 조공을 하러 왔던 일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일본서기에는 목만치라는 사람이 고려 목종 대의.. 2022. 4. 7. [백제 18대 국왕] 전지왕(腆支王, 405~420) [백제 18대 국왕] 전지왕(腆支王, 405~420) 재위 : 405년 9월 ~ 420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420년 3월 혹은 425년 전지왕(腆支王)의 휘는 영(映), 전(腆) 또는 여영(餘映, 余映)이다. 《일본서기》에서는 직지왕(直支王), 《삼국유사》 왕력에서는 진지왕(眞支王), 또 《한원》에 인용되는 《송서》, 《통전》에서는 부여전(夫餘腆)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다른 별칭은 의부부저왕(意富富杵王)이다. 아신왕의 맏아들이다. 왜에 있던 중 405년 아버지인 아신왕이 사망하자 첫째 숙부 부여훈해가 임시 섭정을 맡았으나 막내 숙부 부여설례가 부여훈해을 시해하고 후임 임시 섭정을 맡고 있었는데 해충이 부여설례를 몰아내어 주살한 후 백제에 도착한 전지왕이 16세에 보위에 오르자 405년부터 40.. 2022. 4. 7. [백제 17대 국왕] 아신왕(阿莘王, 392~405) [백제 17대 국왕] 아신왕(阿莘王, 392~405) 재위 : 392년 11월 ~ 405년 9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405년 9월 아신왕(阿莘王)의 성씨는 부여(扶餘), 휘는 아신(阿莘), 아방(阿芳), 아화(阿花), 아미(阿美)이며, 침류왕의 맏아들이다. 《삼국사기》에 아신왕(阿莘王) 또는 아방왕(阿芳王)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일본서기》에 아화왕(阿花王) 또는 아미왕(阿美王)으로 기록되어 있다. 아신왕은 침류왕의 장남으로서《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한성(漢城) 별궁에서 태어났다. 이 날 신비한 빛이 사방을 비추며 밤을 밝혀주었다는 출생 설화가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아신왕을 가리켜서 ‘총기가 있었고 매 사냥과 말타는 것을 좋아했다’라고 서술했는데 이로 미.. 2022. 4. 7. [백제 16대 국왕] 진사왕(辰斯王, 385~392) [백제 16대 국왕] 진사왕(辰斯王, 385~392) 재위 : 385년 11월 ~ 392년 11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392년 11월 진사왕(辰斯王)백제의 근구수왕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아이부인이다. 침류왕이 즉위한 지 1년 7개월 만에 사망하자, 아직 나이가 어린 침류왕의 맏아들 아신, 즉 자신의 조카를 대신하여 왕위에 올랐다. “침류왕이 승하했는데 태자(훗날 아신왕)가 어리므로 숙부인 진사가 왕위에 올랐다(枕流之薨也 太子少 故叔父辰斯卽位)” 《삼국사기》 “백제의 침류왕이 죽자 왕자 아화의 나이가 어리므로 숙부인 진사가 왕위를 빼앗아 왕이 되었다(百濟枕流王薨 王子阿花年少 叔父辰斯奪立爲王)” 《일본서기》 이름에 포함된 ‘진(辰)’이라는 글자가 아들 진손왕, 5대손 진이왕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2022. 4. 7. [백제 15대 국왕] 침류왕(枕流王, 384~385) [백제 15대 국왕] 침류왕(枕流王, 384~385) 재위 : 384년 4월 ~ 385년 11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385년 11월(음력) 침류왕(枕流王)은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진고도(眞高道)의 딸 아이부인(阿爾夫人)이다. 초고왕계의 왕통을 이었으나 재위 2년째인 385년 11월 붕어하여 그의 어린 아들 아신(阿莘) 대신에 그의 아우 진사(辰斯)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다른 이름은 휘(暉) 또는 여휘(餘暉,余暉)이며 중국 사서에 진사왕의 휘가 휘(暉)라고 하지만 본래는 침류왕의 아들 부여훈해의 이름으로 추정된다. [384년] 동진과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적대적 태도를 취하였으며, 384년 왕위에 오르자 7월에 동진에 조공하였다. 이 해 음력 9월 동진(東晋)에서 호승(胡僧) 마라난타(.. 2022. 4. 7. [백제 14대 국왕] 근구수왕(近仇首王, 375~384) [백제 14대 국왕] 근구수왕(近仇首王, 375~384) 재위 : 375년 11월 ~ 384년 4월 출생일 : 미상(310년대?) 사망일 : 384년 4월(음력) 근구수왕(近仇首王)은 근초고왕의 아들로, 《삼국사기》, 《양서(梁書)》에는 이름이 수(須)로, 《신찬성씨록》에는 귀수(貴須) 또는 근귀수(近貴首)로, 《속일본기》에는 귀류(貴流) 또는 구소(久素)로 기록되어 있다. [369년] 태자 수(훗날 근구수왕)는 부왕 근초고왕과 함께 남방을 정벌하여 마한 54개국 가운데 4개국의 항복을 받아냈다. 이 틈을 이용해 고국원왕이 보병과 기병 2만을 이끌고 치양성(雉壤城, 황해도 배천, 구 모로성) 부근을 약탈하자 부여수가 군사를 이끌고 맞섰다. 이때, 근초고왕의 말 말굽을 상하게 한 죄로 고구려로 달아났던 사.. 2022. 4. 7. [백제 13대 국왕] 근초고왕(近肖古王, 346~375) [백제 13대 국왕] 근초고왕(近肖古王, 346~375) 재위 : 346년 9월 ~ 375년 11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346년 근초고왕(近肖古王)은 백제의 제13대 국왕이다. 이름은 중국의 《진서(晉書)》에 의하면 여구(餘句), 일본의 《고사기》에는 조고왕(照古王), 《일본서기》에는 초고왕(肖古王)등의 이름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録)》에는 속고왕(速古王)으로도 불린다. 근초고왕은 마한 54개 연맹체 중 하나였던 백제국이 차츰 부족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출 무렵 비류왕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체격이 컸기 때문에, 둘째 아들임에도 346년 계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 에 ‘둘째 아들(二子)’로 기록된 왕들(고이왕, 비류왕, 근초고왕)은 정변 등 비정상적.. 2022. 4. 7. [백제 12대 국왕] 계왕(契王, 344~346) [백제 12대 국왕] 계왕(契王, 344~346) 재위 : 344년 10월 ~ 346년 9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346년 계왕(契王)의 성은 부여(扶餘) 이름 계(契), 분서왕의 장남이다. 분서왕의 죽었을 때 나이가 어렸으므로 사반왕의 동생인 비류왕이 왕위에 올랐으며, 비류왕이 사망한 후에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지 2년만에 사망하였으며 비류왕의 아들 근초고왕이 즉위하였다. 이 왕 이후로 고이왕통이 끊겼다. 즉위 기사와 사망 기사 밖에 없으므로 재위 기간 내내 권력이 불안정했던 것으로 보인다. [345년] 2월, 동명묘에서 제사를 지냈다. 2년 동안 집권했는데 아무런 기록이 없는 것도 계왕을 대표로 한 고이왕계와 비류왕 쪽 초고왕계 왕족들 간의 권력 투쟁이 집권 기간 내내 벌어졌고, 권력 투쟁.. 2022. 4. 7.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