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관련]85 [백제 11대 국왕] 비류왕(比流王, 304~344) [백제 11대 국왕] 비류왕(比流王, 304~344) 재위 : 304년 10월 ~ 344년 10월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344년 10월 비류왕(比流王)은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따르면, 비류왕은 구수왕의 둘째 아들이자 사반왕의 동생이다. 그러나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다른 줄에 의하면 그는 평민으로 살면서 명성을 얻었다고 한다. 8대 고이왕의 손자 분서왕이 죽자 그의 아들 계(契)가 아직 나이가 어리다 하여 비류가 신하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그는 활을 잘 쏘았으며 성품이 너그러웠다고 한다. 비류왕과 비류왕의 형 사반왕 사이에는 70년 이상의 연대 차이가 나므로 형제 여부에 관하여 이견이 있다. 《삼국사기》에서 아버지로 지목하는 구수왕과 형으로 지목한 사반왕이 죽은 뒤 70년 만에 즉위하여 40년.. 2022. 4. 6. [백제 10대 국왕] 분서왕(汾西王, 298~304) [백제 10대 국왕] 분서왕(汾西王, 298~304) 재위 : 298년 ~ 304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304년 분서왕(汾西王)은 책계왕의 장자로 외모가 준수하여 왕위에 올랐다. 한군현(漢郡縣)과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부왕이 사망하자, 어려서부터 의표(儀表)가 준수했던 분서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분서왕은 한군현 세력에 대하여 강경책을 폈던 것으로 보인다. [298년] 10월 대규모 사면령을 내려 민심을 잡았다. [299년] 동명왕묘에 참배했다. [302년] 4월 혜성이 대낮에 떨어지는 기상 이변이 있었다. [304년] 낙랑군의 서쪽 현을 공격했을 때 낙랑군 태수가 보낸 정예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고이왕의 손자인 분서왕이 피살된 뒤 고이왕계가 몰락하고 초고왕계가 다시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분서왕.. 2022. 4. 6. [백제 9대 국왕] 책계왕(責稽王, 286~298) [백제 9대 국왕] 책계왕(責稽王, 286~298) 재위 : 286년 ~ 298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298년 책계왕(責稽王)은 고이왕의 아들로 청계왕(靑稽王), 책찬왕(責贊王)이라고도 부른다. 체격이 크고 사나웠다고 한다. 왕비는 대방왕(帶方王)의 딸 보과(寶菓)이다. [286년] 《삼국사기》에 따르면 286년에 수도인 위례성을 화려하게 수리하고 고구려의 침입을 대비하기 위해 아차성과 사성을 수축했다. 이후 고구려의 서천왕이 대방군을 공격할 때 책계왕은 대방군 태수의 딸 보과를 아내로 삼은 상태였기 때문에 대방태수는 사위인 그에게 구원군을 요청했고, 책계왕은 군사를 보내어 고구려군을 물리쳤다. 이는 고구려와 백제가 맞붙은 첫 번째 기록으로 책계왕의 대방군 구원 때문에 백제는 고구려와의 사이가 나.. 2022. 4. 6. [백제 8대 국왕] 고이왕(古爾王, 234~286) [백제 8대 국왕] 고이왕(古爾王, 234~286) 재위 : 234년 ~ 286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286년 고이왕(古爾王)은 구이왕(久爾王)ㆍ고모왕(古慕王)이라고도 한다. 일본의 사서 《신찬성씨록》, 《일본서기》등에는 구이(久爾), 구이(仇爾), 고모(古慕)로 이름이 적혀있다. 고이왕은 즉위 후 국가체제의 정비와 왕권 강화에 주력하여 부족의 기반을 다져놓았다. 집권력의 강화를 위하여 좌장(左將)을 설치하여 내외 병마권을 관장하게 함으로써 족장들의 군사력을 약화시켰다. 초고왕, 구수왕과의 가족관계 여부 연대차이로 이견이 존재한다. 《삼국사기》는 개루왕의 아들(서자)로 언급되지만, 《삼국사기》의 다른 기록 및 《삼국유사》에는 초고왕의 외삼촌이라 언급되어 있어 논란이 있으며, 초고왕 사후 20년 뒤.. 2022. 4. 6. [백제 7대 국왕] 사반왕(沙伴王, 234) [백제 7대 국왕] 사반왕(沙伴王, 234) 재위 : 234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234년 사반왕(沙伴王)은 구수왕의 장남으로 사이비왕(沙伊沸王) 또는 사이왕(沙伊王)으로도 부른다. 재위 기간에 왕족 종실인 부여고이가 섭정하였고, 재위한 지 1년 만에 살해당했다. 《삼국유사》와 달리 《삼국사기》에서는 왕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삼국사기》에서는 아예 왕 취급을 해주지 않으며 사반왕을 위한 별도의 단락도 없이 이 대목에서만 나온 후 구수왕에서 고이왕으로 바로 넘어간다. 온조(溫祚)계 왕족 출신이며 초고왕계 세력에 속해 있는데 사반왕 대에 이르러 초고왕계가 약해지며, 이로 인해 고이왕이 즉위한 것으로 보는 학설이 있다. 제대로 된 기록이 없어 고이왕이 즉위한 이후 사반왕이 언제 승하했는지는 불명. 《삼.. 2022. 4. 6. [백제 6대 국왕] 구수왕(仇首王, 214~234) [백제 6대 국왕] 구수왕(仇首王, 214~234) 재위 : 214년 ~ 234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234년 구수왕(仇首王)은 초고왕의 아들로 귀수왕(貴須王)이라고도 부른다. 仇首王【或云貴須】肖古王之長子 身長七尺 威儀秀異 肖古在位四十九年薨 卽位 구수왕(仇首王)【혹은 귀수(貴須)라고도 하였다.】은 초고왕(肖古王)의 맏아들이다. 키가 일곱 자(尺)요 위엄과 거동이 빼어났다. 초고가 재위 49년에 죽자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 그의 뒤를 이은 사반왕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고이왕에게 폐위를 당했다. 또한 그가 죽은뒤 70년 후에 즉위하여 40년간 재직한데다가 삼국사기 내에서도 생구 출신이라는 설이 전하는 비류왕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초고왕부터 고이왕까지.. 2022. 4. 6. [백제 5대 국왕] 초고왕(肖古王, 166~214) [백제 5대 국왕] 초고왕(肖古王, 166~214) 재위 : 166년 ~ 214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214년 초고왕(肖古王)은 개루왕의 장남으로 소고왕(素古王), 속고왕(速古王)이라고도 불렸다. 동생인 고이왕(제8대)과의 관계는 불확실한데 고이왕이 초고왕의 사망한 지 20년이 지나 왕위에 올랐고, 다시 50년을 재위하였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개루왕의 아들이나 초고왕의 동생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사학계에서는 고이왕이 초고왕의 동생이 아닌 초고왕의 동생의 아들, 즉 조카라는 의견도 있는데, 요즘에는 고이왕 자체를 그냥 초고왕과는 성씨도 다른 임금으로 보기도 한다. 근초고왕을 초고왕 2세라고도 한다. ‘근’이 서양의 ‘~2세’를 의미한다고 한다. 여하튼 근초고왕이 초고왕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추.. 2022. 4. 6. [백제 4대 국왕] 개루왕(蓋婁王, 128~166) [백제 4대 국왕] 개루왕(蓋婁王, 128~166) 재위 : 128년 ~ 166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166년 개루왕(蓋婁王)은 기루왕의 아들로 성격이 조용하였다고 한다. [132년] 봄 2월에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쌓았다. [165년] 당시 신라의 아찬 길선이 반란을 일으켜 백제로 망명했는데, 개루왕은 길선을 정성껏 대접하며 망명을 허가하였다. 이에 대해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개루왕이 나라를 배신할 지도 모르는 길선을 데리고 왔으니 왕이 매우 어리석다.” 고 비난하였다. 길선이 망명한 것에 대해, 신라 중앙정부에서는 백제 정복을 주장하는 세력이 많아졌고, 마침내 신라는 백제의 국경을 침공하였다. 백제는 전투에서 패배하며 큰 피해를 입었다. [가족관계] 아버지 : 기루(己婁, ? ~128, 재.. 2022. 4. 6. [백제 3대 국왕] 기루왕(己婁王, 77~128) [백제 3대 국왕] 기루왕(己婁王, 77~128) 재위 : 77년 ~ 128년 출생일 : 미상 사망일 : 128년 기루왕(己婁王)은 다루왕의 장남이다. 백제의 군주를 ‘건길지’라고도 부른다. 왕성(姓)은 부여씨(夫餘氏)로 ‘어라하’(於羅瑕)라 부르며, 백성들은 ‘건길지’(鞬吉支)라고 부르니 이는 중국어로 모두 ‘왕’이라는 뜻이다. 왕비는 ‘어륙’(於陸)이라 호칭하니, 중국어로 ‘왕비’라는 뜻이다. 《주서》(周書) (異域列傳) -백제-(白濟) [33년] 태자로 책봉 되었다. [77년] 다루왕이 죽자 77년에 즉위하였다. [85년] 신라의 변방을 공격하였으나 패배하였다. [97년] 재위 21년에는 군주를 상징하는 동물인 용이 2마리씩이나 한강에 나타났다고 하는 걸로 보아 백제의 내부 사정이 힘들었으리라고 추.. 2022. 4. 6.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