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99

장규명 [張奎明, 1891~?] 장로교 목사, 장로교 총회장(1931년, 제20회) 장규명 [張奎明, 1891~?] 장로교 목사, 장로교 총회장 【1891년】11월 14일, 평북 용천에서 3남 1녀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5월 11일에 태어났다는 기록도 있다] 【1912년】용천군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19년】선천 YMCA를 창설하여 청년운동을 적극 추진하기도 하였다. 【1920년】선천북교회 전도사로 목회를 시작하였다. 【1917년】26세 때 결혼하였다. 【1924년】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17회).평북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양전백 목사와 동사목사로 선천북교회에 부임하였다.9월, 제13회 장로회 총회에서 부서기로 피선되었다. 【1926년】일본 코오베신학교 연구과를 수료하였다. 【1927년】9월, 제16회 장로회 총회에서 부서기로 피선되었다.9월 20일, 제4회 조.. 2024. 8. 20.
유각경 [兪珏卿, 1892~1966] 기독교 여성운동가, 한국 YWCA 창설자. 유각경 [兪珏卿, 1892~1966]기독교 여성운동가, 한국 YWCA 창설자. 【1892년】6월 14일, 서울에서 중추원 참의와 충청남도ㆍ강원도지사를 지낸 유성준의 딸로 출생하였다.유길준의 조카이며 유억겸의 사촌이다. 【1910년】정신여학교 보육과를 졸업하였다(제4회). 【1914년】장로교 여선교사의 주선으로 중국 북경에 유학, 기독교 계통의 북경 협화(協和)여자전문학교에 입학하여 1914년 졸업하였다.그는 그곳에 재학시절 학생기독청년회회원으로 활약하면서 YWCA봉사사업과 기독친선 정신을 배우고 한국에서도 이 운동을 펼칠 것을 결심하고 9월 귀국하였으며 모교인 정신여학교 교사로 부임(1914~1920년)한 후 구체적인 작업을 진행시켰다. 【1918년】이해영(李海永)과 결혼하여 개성과 서울을 오가며 활동하.. 2024. 8. 20.
스톡스 [Marion Boyd Stokes, 1882~1968] 도마련(都瑪蓮), 미국남감리회 선교사, 목사, 교육가, 문서운동가, 성경번역자 스톡스 [Marion Boyd Stokes, 1882~1968]도마련(都瑪蓮), 미국남감리회 선교사, 목사, 교육가, 문서운동가, 성경번역자 / 제11회 조선기독교연합공의회에서 회계(1934년) 【1882년】12월 12일,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콜롬비아에서 목사이자 크리스천 문학가였던 존 스톡스(John L. Stokes)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1903년】위퍼드대학교(Wofford College)를 졸업하고 공립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1903~1905).폴린 데이비스(Pauline Davis, 1876.5.5.~1953.5.1.)와 결혼하였다. 부인 폴린은 찰스 데이비스(Charles McQueen Davis, 1848~1936)와 메리 바이넘(Mary Thomas Bynum, 1845~1923).. 2024. 8. 20.
김응태 [金應泰, 1890~1971] 감리교 목사, 감리교 호헌파 김응태 [金應泰, 1890~1971]감리교 목사, 감리교 호헌파  【1890년】경기도 수원에서 출생하였다.장진학교를 졸업하고 보흥학교에서도 공부하였다.일본으로 건너가 요코하마의 기독청년회관내의 삼류(三留)의숙 중학과를 마쳤다. 【1916년】일본 국민(國民)중학과를 졸업하였다.귀국후 수원 삼일(三一)학교와 충남 논산의 진광(眞光)학교 교원으로 근무했다. 【1919년】교역자로서 견습을 받았다.충북 음성에서 목회하였다. 【1920년】진천에서 목회하였다. 【1921년】10월 2일, 집사목사로 연회에 입회하였다. 【1922년】만주 길림에서 목회하였다. 【1923년】하르빈에 파송되어 시무하였다. 【1925년】협성신학교를 졸업하였다(제11회). 【1926년】6월 21일, 장로목사 안수를 받았다.서울 동대문교회에서 시.. 2024. 8. 19.
채핀 [Anna Margaret Bair Chaffin, 1883~1977] 채부인(蔡夫人ㆍ蔡富仁), 미국미감리회 선교사, 목사, 신학자 채핀 [Anna Margaret Bair Chaffin, 1883~1977]채부인(蔡夫人ㆍ蔡富仁), 미국미감리회 선교사, 목사, 신학자 / 제9회 조선기독교연합공의회 영문서기(1932년) 【1883년】9월 16일, 미국 아이오와주 매닝에서 네덜란드계 이민 후손인 완슨 베어(Watson Monroe Bair, 1858~1930)와 조세핀 올슨(Josephine Minnie Olsen, 1857~1915)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1901년】라도라(Ladora)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초등학교 교사로 4년간 봉직하였다. 【1906년】아이오와 주립대학 사범과에 입학하였다. 【1907년】유니버시티파크의 존플레처대학(John Fletcher College)으로 옮겼다. 【1911년】유니버시티파크의 존플레처대학(Joh.. 2024. 8. 19.
윈 [George Hinsdale Winn, 1882~1963] 위철치(魏喆治), 미국북장로회 선교사, 목사, 교육가 윈 [George Hinsdale Winn, 1882~1963]위철치(魏喆治), 미국북장로회 선교사, 목사, 교육가 / 제6회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 회계(1929년), 제14회 조선기독교연합공의회 영문서기(1937년)  【1882년】7월 14일,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金澤)에서 장로회 선교사 토머스 윈(Thomas Clay Winn, 1851~1931)과 엘리자 윌라드(Eliza Caroline Willard, 1853~1912) 사이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할아버지 존(John Winn, 1814~1892)도 장로교 목사로 일리노이주에서 목회하였다.아버지는 낙스대학을 졸업한 후 1877년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로 일본에 부임하여 가나자와를 중심으로 교회와 학교를 설립하고 20년 넘게 사역하.. 2024. 8. 19.
이승길 [李承吉, 1887~1965] 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장로교 총회장(1936년 제25회) 이승길 [李承吉, 1887~1965]장로교 목사, 독립운동가, 장로교 총회장  【1887년】7월 13일, 황해도 황주군 서성면 서정리에서 출생하였다. 【1894년】고향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1896년】리(Lee, 이길함)에 의해 구성면에 기독교가 전파되자 이후 부모와 함께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01년】15세에 헌트(W. Hunt, 한위렴)로부터 세례를 받았다.3년제 소학교인 황주 양성학교를 졸업하였다. 【1905년】19세의 청년으로 숭실학교를 졸업하였다.사리원 광성교회 부속 광성소학교 교사로 부임하였다.그는 교육구국의 일념으로 후진양성에 매진하면서도 한편 서울 상동교회의 전덕기 목사를 중심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1907년】4월 양기탁(梁起鐸)ㆍ안창호(安昌浩)ㆍ전덕기 등을 중심으로 국권회복을.. 2024. 8. 13.
정인과 [鄭仁果, 1890~1972] 장로교 목사, 민족주의 운동가, 장로회 총회장(1935년, 제24회) 정인과 [鄭仁果, 1890~1972]장로교 목사, 민족주의 운동가  【1890년】1월 9일, 평북 순천(順川)에서 아버지 정민직, 어머니 박은감의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1902년】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04년】5월, 고향에서 예수교소학교를 졸업하였다. 【1907년】6월 6일, 평양 숭실중학교를 제4회로 졸업하였다. 【1911년】5월 24일, 제3회로 숭실대학을 졸업하였다.졸업후 숭실중학교 교사가 되었다. 【1912년】숭실중학교 교사직을 사임하고 중국을 여행하였다. 【1913년】밀항하여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10월 13일, 미국에서 흥사단에 가입하였다. 안창호와의 친밀한 관계가 시작되었는데, 후일 흥사단의 단기가를 작시하기도 하였고, 도산일기에는 마음속의 친구(심우)라고 표현되었다. 【1914년】캘리.. 2024. 8. 13.
김영섭 [金永燮, 1888~1950] 감리교 목사, 호는 탁오실(濯悟室) 김영섭 [金永燮, 1888~1950]감리교 목사, 호는 탁오실(濯悟室)  【1888년】10월 2일, 경기도 강화읍 관청리에서 출생하였다. 【1895년】8세 때 강화공립소학교에 입학하였다. 【1900년】13세 되던 해, 강화공립소학교를 졸업하였다. 【1902년】한학자였던 박승태(朴承台) 선생에게 한문을 수학하였다(1902~1904년). 【1904년】독립운동가 이동휘가 설립한 보창중학교 중학과에 입학해서 공부하다가 큰 뜻을 품고 구한국정부가 경영하던 한성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다. 이때 그의 무관학교 동기생으로는 유명한 홍사익(洪思益) 장군이 있다.이 학교는 을사보호조약으로 조선 군대가 해산되면서 자연히 해체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을 일본육군사관학교로 전학시켰으나 김영섭은 이를 거부하고 고향으로 내려와 강화 사.. 2024.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