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도서 정리]

로저 E. 올슨, 『이야기로 읽는 기독교 신학』 [제5부] 제20장 : 대분열 : 하나의 전통이 두 개의 전통으로 나누어지다.

by [수호천사] 2021. 2. 26.
728x90
  • 동방교회는 사제들의 결혼을 언제든 허용하고 있다. 독신 요구는 오로지 수도사들에게만 국한되었다. (361)

  • 로마 가톨릭 전통은 사제들의 독신주의를 점차 발전시켜 나갔다. (362)

  • 분열의 근본적인 원인은 교회사가 야슬로브 펠리칸이 말한 지적인 소외감에 있었다... “그리스인들의 신학사상이 단순히 이것이다 혹은 저것이다를 떠나, 그들의 신학하는 방법 자체가 라틴 서방인들에게는 낯설었다.” ... 그리스 동방교회 신학하는 방식은 보다 신비적이고 사색적이었고 예배의 권위와 신자들의 경건, 그리고 비공식적이며 문서로 작성됨 없이 축적되어온 동방 기독교 전통을 강조했다. 반면에 라틴 서방교회의 신학하는 방식은 보다 법률적이고 실제적이었으며 교회법이나 객관적인 규범들의 권위들을 강조했다. (362)

  • 교황권과 필리오케논쟁... (363)

 

# 교황권에 관한 논쟁

  • 서방 기독교인들은 동방교회를 황제가 지배하는 것으로 보았다... “황제교황주의” ... 자신들은 사도 계승권 안에서 베드로의 후계자로 서 있다고 믿었다... (363)

  • 동방 기독교인들은 서방교회를 하나의 거대한 기독교 교구의 감독이 나머지 모든 교구들을 불법적으로 지배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보았다. “교황의 군주정치로 지배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363)

  • 동방정교회 신학자 존 메이엔도르프, “동방과 서방 사이의 모든 교회론적인 논쟁은 기독교 신앙이 베드로에게 의존하는지 아니면 베드로의 신앙에 의존하는지에 관한 문제로 환원된다.” (363)

  • 9세기 성찬식에서 누룩 없는 떡(무교병)의 사용에 관한 동방과 서방교회 사이에 벌어진 논쟁... 서방교회는 무교병 또는 발효되지 않는 빵을 사용했던 반면, 동방교회는 발효된 빵을 사용했다. (364)

 

# 필리오케 논쟁

  • 필리오케”(그리고 아들로부터)... 동방측 감독들은 삭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 서방측은 동방측 교회의 동의 없이 기독교계의 기본 신조를 변경할 아무 권리가 없다... 2) 이 표현은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과 아우구스티누스적인 사상에 기초한 서방측 삼위일체론 사이의 깊은 신학적인 차이를 보여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단으로 기울 수 있는 비정통적인 이질적인 사상... (365)

  • 589년 톨레도에서 열린 스페인 지역 감독들의 한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첨가되도록 결정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이 표현을 발전시켰다고 주장한다... 동방측 감독들은 성령은 아들을 통한 아버지로부터발현된다고 신학적으로 말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서방측이 일방적으로 그 신조에다가 필리오케를 삽입한 것을 비난하면서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로부터발현한다고 말하는 것은 이단이라고 주장했다. (355-356)

  • 필리오케가 첨가된 니케아 신조는 서방 전역에서 수용되었고 정통 신조로 널리 인정되었다... 결국 양측의 교회는 서로를 대교회로부터 파문한다고 선언했다... (366)

  • 양측의 갈등의 보다 깊은 원인들은 삼위일체 신학의 핵심에 있었다... 서방측 접근 방법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에 기초해 있었다. 동방측의 접근 방법은 오리게네스와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신학에 근거해 있었다. 서방측 삼위일체론에서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을 하나로 일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방측 입장에서 볼 때, 서방측의 삼위일체론은 성령의 종속론을 의미하였다... 성령을 비인격화시키는 것처럼 보였다... 동방측 사람들에게 성령이 아들로부터 발현한다는 서방측 사고는 성령은 그의 근원, 원리, 존재 이유를 아버지 못지않게 아들 안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 것처럼 보였다. 이같은 사고는 아버지의 군주되심을 훼손하는 것이고 성령은 하나님의 아들이 아버지의 아들인 것처럼, 하나님의 아들의 아들이라는 인상을 준다... 동방측 사람들에게 서방교회 삼위일체론은 아버지와 성령을 모독하는 일이며 아들과 아버지를 혼동하는 것이다. (366-367)

  • 동방측 감독들과 신학자들은 서방측의 필리오케조항 첨가를... 양태론적 삼위일체론(사벨리우스주의)에 가깝다고 보았다... 성령의 종속주의 표방... (367)

  • 서방측 감독들과 신학자들은... 성령은 예수에 의해 교회에 보내졌다는 점을 분명히 말하고 있는 신약 성경의 구절을 내세우면서 동방측은 아들과 성령을 아버지에게 종속시켰다고 비난했다. (367)

  • 현대 신학자들... 삼위일체의 내면적이고 영원한 생명(내재적 삼위일체)의 비밀을 너무 자세하게 파헤치려는 시도들 때문에 발생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들은 필리오케는 기독교인들이 경제적 삼위일체를 언급할 때 반드시 주장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 프로테스탄트 신학자들은 내재적 삼위일체를 언급할 때 니케아 신조의 원형을 고수하는 것이 아마 가장 좋을 것이며 성령은 아들이 아버지에 의해 영원히 출생되었던 것처럼 아버지로부터 발현한다고 말한다. (367-368)

  • 스콜라 신학자들은 가톨릭 신학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데 거의 관심하지 않았고 오히려 그들은 그 신학을 체계화하고 요약하는 일에 몰두했고 어떻게 신학이 철학의 가장 훌륭한 점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는 일에 정력을 쏟았다. (36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