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도서 정리]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권] 제1장 :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론

by [수호천사] 2021. 3. 15.
728x90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 조동걸(趙東杰)

 

제1장 :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론

 

[제1절] 독립운동의 개념

 

  • 독립운동이란 식민지상태에서 자주국가의 수립과 자립경제의 실현을 위하여 노력하는 민족운동을 말한다. (3)
  • 자주국가의 수립이란 이웃 강대국의 위성국이 아닌 독자적인 국가로서 독립하는 것을 말한다. (4)
  • 자주독립과 자립경제를 실현하자면 먼저 독립운동을 자주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4)
  • 독립운동을 통해서 스스로 독립한 나라는 산업혁명 후에는 거의 없었다고 할 만큼 어려운 것이다. (5)

 

[제2절] 독립운동의 이념

 

  • 독립운동의 이념이란 독립운동의 방략이나 방법론이 아니라 독립운동이 성공하면 어떤 나라를 건설할 것인가를 하는 목표를 말한다. (6)

 

1. 초기(1910-1919)의 이념

 

  • 대한제국을 보존하는 것이 이념의 전부이므로 보황주의가 이념이었다... 1907년 광무황제가 쫓겨나고 융희황제가 일제에 의해 즉위하면서 주권 행사가 사실상 무력해지자, 임금에 대한 기대를 후퇴시켜, 보황주의는 퇴색하고 공화주의가 부상하였다. (6)
  • 1917년 광무황제를 중심한 신한혁명당... 박은식ㆍ신채호도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가운데 자신이 조선 동포를 대변한다고 말해도 믿어줄 위력을 갖지 못했다. 그때 광무황제를 앞세울 필요를 느끼게 되어 광무황제의 망명을 추진하고 신한혁명당을 조직했던 것... (7)

 

2. 중기(1919-1931)의 이념

 

  • 31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 이념의 논의가 폭넓고 자유롭게 이루어져 나갔다. (8)
  • 신사상연구회... (9)
  • 1920년대 독립운동의 이념은 자유주의ㆍ사회주의ㆍ무정부주의가 뚜렷하게 정립하고 있었다고 할수 있다. 그것이 복합되어 존재한 것이 1927년의 신간회였고, 하나의 조직체로 묶어보자는 운동이 민족유일당운동이었다... 1926년의 610만세운동, 1929년의 광주학생운동ㆍ원산노동자파업ㆍ용천소작쟁의 등에 이념들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9-10)

 

3. 후기(1931-1945)의 이념

 

  • 1930년대 이념의 단순화가 요구됨... 신간회의 해체... (10)
  • 19286차 코민테른대회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노선에는 민족주의가 크게 후퇴하였다. 그때 만주에서 민생단 사건이 발생하여 공산주의자가 민족을 표방하면 모두 숙청되고 말았다. 숙청으로 희생된 인원이 500명에 이른다고 한다. (10)
  • 1935년 코민테른 7차 대회에서 다시 민족을 상위개념에 놓고 1920년대와 같은 독립운동을 전개... (10)
  • 1941년 전 세계가 전쟁의 불속에 들어간 때부터는... 민족을 표방... 민족을 상위개념에 두고 싸웠다... 자유주의ㆍ사회주의ㆍ무정부주의라고 해도 어느 것 하나 한국에서 검증해본 것은 없었다. (10)

 

[제3절] 독립운동의 방법론

 

  • 독립전쟁론과 실력양성론... (12)

 

1. 초기(1910-1919)의 준비론

 

  • 의병전쟁과 계몽주의의 강경파가 합류하여 독립군기지 개척을 추진... 국내에서는 대한광복회와 조선국민회처럼 혁명기지를 개척한 것이다... 의병전쟁은 계몽운동의 정치이론을 수용한 것이고, 계몽운동은 끝내 실력양성론을 고집한 것이 아니라 의병전쟁의 무장투쟁으로 수정한 것... (13)
  • 이상용, 이회영, 이동휘, 박용만 등에 의해서 만주, 연해주, 하와이에서 추진... 신흥학교, 대전학교, 대조선국민단... (13)
  • 실력양성론... 1910년에 새롭게 태어난 중앙중학교, 동덕여학교... 조선물산장려계가 결성되어 1910년대 지식인의 동정을 대변... (13)
  • 1910년대는 준비론의 시기... 학지광에서 이광수는 유학생에게 실력을 쌓아 고향에 돌아가면 각 군의 참여관 등 기다리는 자리가 얼마든지 있다고 유혹성 준비론을 투고하고 있었다... 잘못된 준비론... but 독립군 기지를 개척하고 민족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준비론이 현실도피가 될 수는 없었다. 그 준비가 축적하여 31운동을 폭발시켰다. (13)

 

2. 중기(1919-1931)의 다양한 방법론

 

  • 31운동을 계획한 천도교ㆍ기독교ㆍ불교ㆍ동경유학생의 대표를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할 때의 시각으로 보면 계몽주의 온건론자로 그들은 31운동이 전민족운동으로 전개될 것을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14)
  • 레닌은 31운동에 놀라 임시정부에 200만루불의 지원을 약속하고 우선 40만 루불을 내놓았다. (14)
  • 무장투쟁론... 만주에서는 이상룡ㆍ김동삼을 중심한 서로군정서와 김좌진ㆍ이청천을 중심한 북로군정서가 조직... 1914년 이상설이 주도하여 대한광복군정부를 결성했던 연해주에서는 홍범도ㆍ계봉우 등이 각종 무장단체를 결성하여 싸웠다. 길림에서는 김원봉이 의열단을 만들어 투쟁이 본궤도에 올라서게 되었다. (14)
  • 준비론자들은 자치론자로 전락해 갔다. 이광수가 1924년에 민족적 경륜을 발표한 그것이 준비론을 자치론으로 포장한 것이었다. (15)
  • 1925년 조선공산당... 김재종, 권오설, 김남수, 이준태 등은 모두 유생청년이었는데 일단 출범시켰으므로 독립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29년 해체할 때까지 크게 네 차례의 옥사사건이 있었다는 것은 그만큼 극단적 활동을 민활하게 전개했다는 말... (15)

 

3. 후기(1931-1945)의 민족혁명노선과 계급혁명노선

 

  • 6차 코민테른 대회 이후에는 전세계 사회주의운동이 계급노선을 강화하여 민족노선이 크게 후퇴... 1929년 초에 조선공산당을 해체하여 노동운동이 크게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15)
  • 스탈린은 그루지아 출신으로 러시아인이 아니었다. 자기의 소수민족 출신의 약점을 소수민족 탄압으로 극복하려고 계급혁명을 강조하여 한인 공산주의자의 민족노선을 억압하였다. (16)
  • 임시정부... 상해를 떠나 1932년부터 진강, 남경, 항주, 장사, 광주, 유주, 기강을 거켜 1940년 중경에 정착하기까지 8년간 유랑생활 (16)
  • 코민테른 7차 대회가 소집되어 1935년 인민전선노선을 정식으로 선언하고 나섰다.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