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도서 정리]

[한국기독교의 역사 1] 머리글

by [수호천사] 2021. 4. 6.
728x90

[한국기독교의 역사1] 목차 가기

 

[한국기독교의 역사 1] 초판 머리글

 

초기의 한국기독교사 이해 : 선교사관과 자료 축적

 

  • 한국 기독교(개신교) 역사를 일정한 사관을 갖고 전체적으로 개괄하면서 정리한 첫 번째 학자로 백낙준 박사를 꼽는 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한국 기독교사 연구의 태두(泰斗)... 1927년 예일대학교 철학박사 학위논문으로 “The History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1832-1910”를 제출... 논문을 지도한 미국 교회사가 라투레트(K. S. Latourette)... “그는 서양사학가의 방법응용에 능숙할만한 훈련을 바닸으므로 지구력을 가지고 자료를 수색 모집하였고, 그 자료의 비판과 해석에는 객관성을 견지할 줄 아는 기술을 소유하였다”... 해방후 한글판 한국개신교사1973년 연세대학교출판부에서 간행... 선교사관이란 한국 기독교 첫 사관을 정립... (6)
  • 기독교사가 마땅히 선교사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한국 기독교사도 팔레스틴에서 시작된 기독교 2천년 선교역사의 연장선상에서 보아야 한다는 입장... 그가 말하는 한국 기독교사의 맥은 한국 바깥의 (서구) 기독교 전통에서 비롯될 수밖에 없다... 한국 기독교 역사의 실질적 주역이었던 한국인들의 신앙적 체험과 고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해석이 결여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로 설명될 수 있다. (7)
  • 민경배... “한국 교회쪽의 고백과 증언이 전혀 고려되고 있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 서술에 앞서 이처럼 방대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한 역사가로서의 성실한 자세는 후학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8)
  • 토마스 목사의 순교 사적지를 발굴하고 그와 관련된 한국측 자료 수집에 심혈을 기울였던 오문환, 시인으로 한국 기독교 여성사를 포함시켜 조선기독교 50년사화(1934)를 저술했던 장정심, 탐문과 문헌자료를 통해 조선기독교발전사를 신문에 연재(1938)했던 채필근... (9)
  • 해방 후 김양선 목사... 일반 한국사, 특히 고고학에 조예가 깊었던 그는 이북에서 수집한 사료들을 서울로 옮겼으며 625 사변중에도 혼신의 힘을 기울여 자료들을 보관하여 오늘의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의 기본 자료가 되게 했다... “한글성서번역사성서한국에 연재(1955)...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1958)... 한국문화사대계에 수록된 한국기독교사() 개신교사”(1970), 사후 편집 간행된 한국기독교사연구(1971) 등이 있다... (9)
  • 이호운 목사의 한국교회초기사(1970)... 양주삼 박사의 전기 그의 나라와 그의 생애를 저술한 바 있는 이호운 목사는 초기 한국 기독교 역사를 일반국사에 접맥시키려고 시도... 일반 역사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초기 교회 역사를 개괄적으로 서술하려고 노력... 한국교회 안쪽의 자료 부족이란 한계... (9-10)

 

사관 정립을 위한 노력 : 민족교회사관과 민중교회사관

 

  •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한국 역사를 민족주의 시각에서 보려는 움직임이 일반 사학계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민족의 주체성 회복을 위한 노력의 하나였다... 민경배 교수... 그는 선교사관이 갖고 있는 결정적인 한계, “한국교회쪽의 고백과 증언이 고려되지 못한 것”을 극복하려는 것으로 기독교사 연구를 시작... ‘민족교회사관’... 한국기독교사의 주체를 한국교회로 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한국교회가 민족의 문제에 어떻게 대응했고 그 문제를 풀어나갔느냐 하는 점을 역사 서술의 주된 내용으로 삼았다... 한국기독교회사(1972)... “민족교회사 방법론은 교회가 민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에큐메니칼한 사명을 전제하고, 그 성립과 전개에서 민족의 교회로서 구형된 정신과 과정을 주체로 역사를 일괄하는 것이라고 스스로 규정... 교회와 민족, 혹은 종교와 사회의 연결원리를 내연외연이라는 독창적인 체계로 이해한 점은 기독교사에 대한 신학적 이해의 원리를 제공한 것으로 그가 남긴 최대의 업적의 하나... (10-11)
  • 민경배 교수가 민족교회사관설정의 근거로 삼고 있는 내연-외연의 원리로 모든 기독교사 사건과 인물을 해석하는 데엔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1970년대 이후 생성되기 시작한 민중신학자들로부터 민중부재의 역사로 지적받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12)
  • 민중교회사관”... (12-13)
  • 민족교회사관민중교회사관이 한국기독교사 흐름을 장악하던 1970~80년대 초에 상당수의 교회사가들이 등장하였다. (13)
  • 한국 기독교사의 주체를 누구로 볼 것이냐 하는 문제를 놓고 미족교회사관민중교회사관이 대립된 것도 1백년 역사를 지니게 된 한국 기독교사의 사관정립을 위한 창조적 노력으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14)

 

총체적 역사 이해를 위한 시도

 

  •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중반에 이르는 기간에 한국 사회는 민주화라는 거대한 역사적 진보를 체험하였다... 민주화를 바탕으로 하여 민족 통일이라는 미래지향적 지표가 보다 분명하게 설정된 것도 이 무렵이었다. (14)
  • 한국 기독교사의 제3세대... 개인보다는 공동작업에 의한 연구... 1) 한국 기독교사 연구의 폐쇄성을 극복하자는 것... 2) 한국 기독교사 연구의 폭을 넓히자는 것... 3) 한국 기독교사 자료의 취급은 실증적이고 과학적이어야 한다는 것... 4) 한국 기독교사는 민족의 현실 문제나 장래에 책임성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 (14-16)

 

이 책의 집필방향과 편집원칙

 

  • 1) 공동집필... 2) 될 수 있는 한 쉽게 쓰자는 것... 3) ()를 상세히 달아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자는 것... (16-18)
  • 개신교 역사를 중심으로 집필... 천주 교회사도 엄연히 우리 민족사의 한 부분으로 차지해야 한다.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