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 자료실]/[도서 정리]

[한국기독교의 역사 1] 제3장 : 천주교회의 수난과 발전

by [수호천사] 2021. 4. 6.
728x90

[한국기독교의 역사 1] 목차 가기

 

[한국기독교의 역사 1] 제3장 : 천주교회의 수난과 발전

 

1. 신유박해와 황사영백서사건

 

1) 신유박해

 

  • 정조 때에는 채제공이 국정을 주도했는데, 남인시파인 그는 천주교를 묵인하는 입장이었다. 정조의 뒤를 이어 순조가 즉위... 11세에 불과하여 정순왕후 김씨가 수렴청정... 정순왕후와 주변 인물들은 대부분 노론벽파... 남인시파의 제거에 나섰다. 1801신유박해는 이런 정치적 배경에서 일어남... (67-68)
  • 정순왕후... 오빠인 김관주를 비롯한 이병모, 심환지 등 노론벽파들을 요직에 앉힘... 18001월 최필공과 그의 사촌 최필제, 18011월 최창현 등 천주교인이 체포됨... 18011월 정순왕후는 오가작통을 실시하여 천주교인을 감시하라는 교서를 반포... (68)
  • 명도회 회장 정약종이 천주교 서적과 성물을 옮기다가 발각되어 주문모 신부를 비롯한 천주교인이 활동이 드러남... 2월에 권철신, 이가환, 이승훈, 정약용, 정약종, 최필공, 최창현, 홍교만, 홍낙민 등이 체포됨... 이승훈, 정약종, 최창현, 최필공, 홍교만 홍낙민 등은 서소문 밖에서 참수... 권철신, 이가환은 옥사... 정약용, 정약전은 유배... 내포의 이존창, 여주ㆍ양근의 원경도, 임희영, 이중배, 최창주, 정종호, 윤유오, 유한숙 등이 체포, 처형되었다. (68)
  • 주문모 신부는 교인들의 피해를 우려하여 3월 의금부에 자수... 은언군의 부인과 며느리가 교인, 궁월에도 상당수의 교인이 있다는 것이 드러남... 강화에 유배 중이던 은언군과 그의 부인 송씨, 며느리 신씨 모두 사약을 받음... 주문모 신부는 419일 군문효수... 강완숙, 강이천, 김건순, 김이백, 김종교, 김현우, 이희영, 최인철, 홍필주 등과 궁녀 강경복, 문영인, 강완숙을 도왔던 윤점혜도 처형됨... (68-69)
  • 천주교인이 아니었음에도 정조의 개혁정책 추진에 참여하였던 청남계 인물들이 이때 함께 제거되었다는 점은, 이 사건이 집권 노론세력의 정적제거에 이용되기도 하였음을 보여준다. (69)

 

2) 황사영백서사건

 

  • 18019월 충청도 배론에 숨어있던 황사영... ‘황사영백서’... 13천여자에 이르는 장문의 서한... 첫째부분에서 신유박해를 중심으로 박해의 경위와 주문모 신부를 비롯한 순교자들의 행적을 적었으며, 둘째 부분에서는 폐허가 된 조선 천주교회를 살리는 방도를 제시... 신앙의 자유를 얻을 수 있는 3가지 방안... 1) 청국의 황제가 직접 조선국왕에게 서양선교사를 받아들이도록 권면하는 방법, 2) 청국의 황제와 친한 중국인 천주교 신자를 조선에 파견하여 평양과 안주 사이에 무안사를 두고 조선의 정치를 감호케 하며, 또 청국의 공주를 조선왕비로 삼아 천주교를 확산시키는 방법, 3) 서양함대를 동원하여 조선정부를 위협하여 강제로라도 천주교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방법... (70)
  • 백서는 천주교인들을 대역부도하고 반국가적인 집단으로 몰아넣는 결정적 근거가 됨... 황사영은 능지처참되었고 그와 관계를 맺었던 김한빈, 옥천희, 현계흠, 황심 등도 참수... (71)
  • 정부는 <백서>의 내용을 편집한 <가백서>를 제작, 천주교 박해의 당위성을 적은 <토사주문>과 함께 진주사 편에 청국 정부에 보냈다... 이 박해로 처형된 이가 약 1백 여 명, 유배된 자가 4백여 명이었다... 정부는 180112월에 <토사교문>을 발표하여 박해에 대한 정부측 입장을 정리하였으며, ‘사학죄인에 대한 심문이나 처형을 연내에 끝내도록 지시함으로써 1년간에 걸친 박해를 마감하였다. (71)
  • 오가작통법... 천주교를 믿으면 본인은 물론 가족과 이웃까지도 처벌받는다는 인식이 생김... (72)

 

2. 조선대목구 창설과 기해박해ㆍ병오박해

 

1) 조선대목구 창설과 파리외방전교회의 한국선교

 

  • 신유박해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교인들은 점차 용기를 갖고 신앙공동체 재건... ‘교우촌이 형성... 천주교를 수용한 인물들의 다음 세대... 권철신의 조카 권기인, 홍낙민의 아들 홍우송, 정약종의 아들 정하상, 주문모 신부 생전에 교인이 된 이여진과 사촌 신태보... (72-73)
  • 박해가 끝난 지 10년이 지난 1811, 권기인이 로마교황과 북경주교 앞으로 신부파송을 요청하는 편지를 썼고... 이여진이 동지사 일행에 끼어 북경에 들어가는데 성공... 구베아 주교는 1808년에 사망... 나자리스트회 소속의 삐레스 신부가 주교직무... 중국에서도 1805년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 성당과 신학교가 파괴되고 중국인 신부가 살해됨... 북경주교는 비오 7세에게 서신을 보냈으나, 교황도 교황령 문제로 프랑스의 나폴레옹과 대립상태여서 그같은 요청을 수용할 수 없었다. (73)
  • 이여진 뒤를 이어 정하상이 신부영입에 나섬... 1816년 처음으로 북경에 다녀옴... 1824년부터 역관출신 유진길이 동행... 유진길이 교황에게 쓴 장문의 서한이 1827년 로마에 도착... 레오 12세는 조선에 독립된 포교지를 설치하여 교황청에 직속시키고 포교사업은 파리외방전교회에 맡기기로결정하였다... 태국에서 활동하던 프랑스 출신 브뤼기에르 신부가 1929년 조선 선교를 자원... 18319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교서... 조선대목구 설정을 천명... 브뤼기에르 신부에게 친서를 보내 초대 대목구장으로 임명... 조선대목구의 설정은 진취적인 한국교회의 평신도 지도자들에 의해 주도된 적극적이고 지속적인신부영입운동의 결과... (73-75)
  • 1831년 설정된 교구는 정식교구가 아닌 대목구였으며 브뤼기에르도 명의주교인 대목이었다. 하지만 대목구라 해도 통상교구와 다를 바 없었고, 대목의 기능과 권한도 다른 주교와 같았으므로 주교라 불렸다. (75)
  • 브뤼기에르 신부.. 18327월에 임명사실을 알게 됨... 조선입국 기회를 찾음... 중국인 신부 유방제가 조선선교를 자원... 브뤼기에르 주교의 입국을 돕는 것... 1834년 유진길, 조신철 등 조선교인의 안내를 받아 입국에 성공한 유방제 신부는 주교의 입국을 지연시킴... 조선선교를 둘러싼 파리외방전교회와 북경 천주교회 사이의 갈등... 브뤼기에르 주교는 만주에서 기다리다가 입국하지 못한 채 183510월 사망... (75-76)

 

2) 기해박해와 병오박해

 

  • 브뤼기에르 신부 사망 이듬해 18364월 교황은 앵베르 신부를 조선주교로 임명... 모방 신부는 조신철, 정하상 등 조선교인들의 안내를 받아 18361월 조선에 입국... 유방제 신부의 행적을 확인하였고, 유방제 신부는 결국 중국으로 귀환... (76)
  • 모방 신부... 18371월 샤스땅 신부, 12월 앵베르 주교가 입국... 모방 당시 6천명 미만이던 교인이 1838년 말에 9천명에 이름... 1836년 말 김대건, 최방제, 최양업 등 청년들이 신학수업을 받기 위해 마카오로 감... (76)
  • 천주교의 발전... 선교사들과 조선교인들의 헌신적인 노력... 당시 정세가 천주교에 유리하게 전개... 중앙정부가 관여한 대규모 박해가 없었다. 정순왕후 김씨 1805년 사망... 순조의 장인 김조순... 노론시파... (77)
  • 1832년 안동김씨 핵심인물인 김조순이 사망, 1834년 순조 승하... 헌종이 즉위하자 안동김씨 세력은 열세에 몰렸다. 1839년 풍양조씨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천주교 박해 재현... ‘기해박해’... 풍양조씨 세력의 천주교인 처벌요구를 물리치지 못한 순원왕후의 박해령 포고로 시작... 이호영이 1838년 옥사... 1839년 서울에서 권득인 등 체포... 본격적 박해는 1839년 선포된 <사학토치령>에서 비롯... 오가작통법... 18395, 권득인, 김업이, 남명혁, 박희순, 이광헌, 이아가 등이 서소문 밖에서 처형... 김순성이라는 배교인의 밀고로 유진길, 정하상, 조신철 등 교회재건의 주역들과 함께 앵배르 주교가 체포, 모방ㆍ샤스땅 신부도 앵베르 주교의 서한을 받고 자수... 3명의 프랑스 신부는 국사범으로 취급되어 의금부로 압송되었고, 심문을 받은 후 9월 새남터에서 처형됨... 이튿날 정하상, 유진길이 서소문 밖에서 처형.. 같은 달 조신철, 김제준, 남이권, 허계임 등이 같은 장소에서 처형... 11월에 정부는 <척사윤음>을 반포하여 정부의 천주교 박해가 정당한 것이라고 밝힘... 12월 최창흡, 조증이, 현경련 등이 서소문 밖에서, 18402월 홍영주, 이문우, 최영이 등이 당고개에서 처형... 긔해일긔에 따르면 참수된 순교자가 56, 옥사한 순교자가 22명에 이름... (77-78)
  • 앵베르 주교의 후임으로 18431월 페레올 신부를 제3대 주교, 메스트르 신부를 조선선교사로 임명하여 입국하도록 함. 1836년 마닐라 유학을 떠났던 김대건은 18458월 한국인 최초로 사제서품을 받고 페레올 주교 및 새로 임명된 다블뤼 신부와 함께 10월 충청도 강경을 통해 입국... (78-79)
  • 김대건 신부... 해로 개척 중... 18466월 황해도 장산곶 근처에서 체포... 김대건 신부를 비롯하여 남경문, 임군집, 한이형, 현석문 등 교인들이 처형... 김대건 신부의 체포를 계기로 일어난 박해를 병오박해라 부르며, 1839년 기해박해의 연장으로 보기도 한다. (79)
  • 기해박해ㆍ병오박해... 신유박해에 비해 보편적이고 전국적인 것” (79)
  • 초기 천주교회가 양반ㆍ식자계층에 의해 주도되다가 점차 중인 이하 상민ㆍ여성계층에 의해 주도되는 형태로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1860년 대 병인박해 무렵에는 무식ㆍ빈곤한 하층민들이 교회의 기층을 이루게 되었다. (80)

 

3. 병인박해와 조선후기 사회변화

 

1) 천주교회의 재건과 발전

 

  • 1844년 헌종이 후사 없이 승하... 안동김씨인 순원왕후는 강화도에 있는 은언군의 손자를 불러들여 옹립... 천주교에 대해 다시 우호적이었던 시파의 세력도 회복... 신유박해 때 사사된 은언군 내외와 며느리 신씨와 함께 이승훈도 신원(伸冤)되었다... 순원왕후가 정계에서 물러난 1851년 이후에도 철종의 장인으로 권력을 잡은 김문근에 의해 12년 동안 계속됨... (80)
  • 병오박해 와중에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는 184611월 공주 수리치골에서 성모성심회라는 수도단체를 창설... 김대건 이후 두 번째로 18494월 사제서품을 받은 최양업 신부도 12월 의주를 통해 입국... 1852년 메스트르 신부, 1854년 장수 신부가 입국함... 3대 주교 페레올 주교가 1853년 사망하자 베르뇌 신부가 4대 주교로 임명받아 1856년 쁘띠니꼴라, 뿌르띠에 신부 등과 함께 황해도 장연을 통해 입국... 1836년 모방 신부 이래 30년 동안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신부 20명이 내한... 3(앵베르, 모방, 샤쓰땅)이 기해박해 때 순교... 5(장수, 페레올, 메스트르, 조안노, 랑드르)은 조선에서 활동하다 병사... 기해박해ㆍ병오박해 직후 1만명 미만이던 교인이 186523천여 명으로 증가... (80-81)
  • 철종이 즉위(1849) 이후 천주교에 대한 정부의 태도 완화... 베르뇌 주교는 1856년 충청도 배론에 신학당을 설립... (81)
  • 한글로 된 교리서를 비롯한 천주교 서적들이 간행되기 시작... 다블뤼 신부는 한한불자전을 편찬... 조선인 순교자 자료를 모으는 한편 조선 천주교회사를 집필... 1857년 교황이 기해박해ㆍ병오박해 때의 순교자 82명을 가경자로 선포하는 데 중요한 근거... 달레의 조선천주교회사편찬의 기본자료로 활용... (82)
  • 이벽... 성교요지는 초기 교인들의 신앙의 요체를 보여주고 있으며, 정약종이 지은 주교요지는 주문모 신부가 인정하였을 정도로 교리에 정통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한 정하상이 남긴 상재상서도 초기 천주교 변증서로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82)
  • 한글 교리서의 인쇄ㆍ보급은 천주교의 확산 뿐 아니라 한글문화가 새롭게 창출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1820년대부터 불려진 <천주가사>들이 44조 순한글 민요조라는 점도 이 무렵 천주교의 민중지향적 성격을 보여준다. (83)

 

2) 대원군의 집권과 서양선박들의 출현

 

  • 1864년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 기해박해의 주역 조만영의 딸인 신정왕후 조씨... 신정왕후는 흥선군의 아들을 왕으로 삼음... 고종... (83)
  • 이양선(異樣船)의 출몰... 러시아의 남하정책... 대원군 개인적으로 천주교와 인연... 천주교 박해로 선회하게 된 원인... 개혁정책에 대한 반발과 서양선박의 출몰이라는 안팎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것... 이양선이 출몰은 서구 제국주의 침략의 전초로 보였고, 프랑스 신부들이 이끄는 천주교회에 대한 박해의 명분이 되었다. (84-85)

 

3) 병인박해

 

  • 1866병인박해’... 종래 천주교 박해의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대원군은 대외적으로 쇄국정책을 표방하여 외국과의 교류ㆍ통상을 엄금하고 대내적으로 천주교를 대대적으로 박해함으로써 위기에서 벗어나려 하였다. (85)
  • 1866년부터 시작하여 1873년까지... 7년간의 박해... 지역적 범위도 전국에 걸쳤으며, 순교한 교인은 8천명으로 추산... (85)
  • 1866년 제너럴 셔면호사건, 병인양요, 오페르트의 남연군묘소 도굴사건, 1871년 신미양요 등이 계속되면서 천주교 박해는 단순한 종교적 탄압이 아니라 서양제국의 침략에 대한 저항이 성격도 띠었다. (86)
  • 18661월 천주교인이면서 정부에서도 영향력이 있던 남종삼, 홍봉주 등이 대원군을 찾아가 남하하는 러시아를 막기 위해 영국, 프랑스와 동맹을 맺는 계책을 냄... 2월 홍봉주와 베르뇌 주교가 체포되면서 대원군은 태도를 바꾸어 천주교 탄압에 나섬... 베르뇌 주교 체포 이후, 12명의 신부 중 리델, 페롱, 갈래 등 3인을 제외한 9명이 체포... 3월 베르뇌 주교와 브르뜨니에르, 도리, 볼뤼 신부 등이 새남터에서 참수... 같은 날 홍봉주, 남종삼도 서소문 밖에서 처형... 베르뇌 주교가 처형되자 부주교였던 다블뤼가 주교적을 승계하였으나 바로 체포되어 같은 달 위앵, 오메트르 신부 및 장주기, 황석두 등과 함께 충청도 갈매못에서 처형되었다. (86-87)
  • 교인들의 도움으로 겨우 피신한 리델 신부는 6월 중국으로 탈출하여 프랑스 함대 사령관 로즈에게 알렸다. 마침 베트남에서 소요가 일어나 조선 원정은 3개월 후로 연기되었다. 그 사이에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통상을 요구하다가 소각된 사건... 7척의 군함을 이끌고 지푸를 출발하여 강화도를 점령... ‘병인양요’... 로즈 함대의 침공은 통상요구가 아니라 프랑스 신부 살해에 대한 응징의 성격... 양화진까지 진출하였으나 조선군의 공격에 밀려 11월 퇴각... (87)
  • 18686월 독일상인 오페르트가 충청도 덕산에 있는 대원군의 부친 남연군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사건... 페롱, 깔래 등 조선에서 탈출한 신부들과 최선일 등 조선인 교인들의 안내를 받아 덕산에 상륙하여 남연군 묘를 도굴하다가 썰물 때문에 중단하고 돌아감... (88)
  • 1866년 박해가 시작된 이래 18689월까지 2천명의 천주교인이 처형되었으며, 서울에서는 절두산, 새남터, 서소문 밖 등에서 처형이 집행... (88)
  • 18716... 미국의 로저스 제독이 이끄는 4척의 군함이 강화도를 점령... ‘신미양요’... 김창실을 비롯하여 이승훈의 자손인 이연구, 이균구, 이명현 등이 처형됨... (8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