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법론 [정리]
- 제2장. 한말의 구국운동 [정리]
- 제3장. 초기(1910~1919)의 독립운동 [정리]
- 제4장. 3ㆍ1운동의 전개 [정리]
- 제5장. 중기(1919~1931)의 독립운동 [정리]
- 제6장. 후기(1931~1945)의 독립운동 [정리]
- 제7장. 한국독립운동의 특징과 의의 [정리]
- 제1장. 근대 동아시아의 세계체제 편입과 근대화과정
- 제2장. 침략의 전진기지 일본공관의 구조
- 제3장. 불평등조약체제의 성립과 사회 경제적 변동
- 제4장. 일본의 경제침략과 유통구조의 변화
- 제5장. 곡물수출과 방곡령
- 제6장. 수출입상품가격체계의 변동과 수출입무역
- 제7장. 개항 이후 민중의 존재형태와 대응
제3권 : 통감부 설치와 한국 식민지화 - 김혜정, 이상찬, 이계형, 조성운, 한명근
- 제1장. 일제의 보호국화 추진과 통감부 설치
- 제2장. 통감부의 보호체제 구축
- 제3장. 한국식민지화를 위한 제도 개편
- 제4장. 경제침탈과 토지수탈
- 제5장. 일본의 병합 추진과 대한제국의 멸망
- 제1장. 조선총독의 식민통치와 통치기구 [정리]
- 제2장. 토지조사사업과 식민지 수탈경제체제 구축
- 제3장. 사회ㆍ문화의 통제와 식민통치 [정리]
- 제4장. 식민지 노예교육
- 제5장. 사법제도와 식민체제 강화
- 제6장. 조선주둔 일본군과 헌병경찰제도 [정리]
- 제1장. 연구동향과 서술범위
- 제2장. 국내외 정세와 조선통치안의 검토
- 제3장. 식민지체제의 개편과 문화통치
- 제4장. 내선일체의 정치홍보 강화와 선전활동
- 제5장. 식민지교육정책의 변화와 동화교육의 강화
- 제6장. 자치ㆍ참정권운동의 전개와 민족분열정책
제6권 : 1930년대 일제의 민족분열통치 강화 - 김영희
- 제1장. 연구동향과 쟁점
- 제2장. 농촌진흥운동 이전의 향촌사회
- 제3장. 농촌진흥운동의 추진
- 제4장. 농촌진흥운동의 확산과 관제화
- 제5장. 1930년대 사상전향정책
- 제6장. 1930년대 민족분열정책의 성격
- 제1장. 일제의 일제침략 도발과 전시체제
- 제2장.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의 조직과 활동
- 제3장. 국민총력조선연맹의 조직과 활동
- 제4장. 인적 자원의 동원과 수탈
- 제5장. 물적 자원의 동원과 수탈
- 제6장. 전시체제하의 동원과 수탈의 의미
제8권 : 일제의 친일파 육성과 반민족 세력 - 박수현, 이용창, 허종
- 제1장. ‘친일파’의 개념과 범주 [정리]
- 제2장. 1910년 전후 친일세력의 동향과 일제의 육성책 [정리]
- 제3장. 1920~1930년대 초반 일제의 민족분열정책과 친일세력의 동향 [정리]
- 제4장.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친일세력의 현실인식 [정리]
- 제5장. 전시파시즘체제 구축과 친일세력의 동향 [정리]
- 제6장. 해방 이후 친일세력 처리와 반민특위 활동 [정리]
- 제1장. 의병의 개념과 시기구분
- 제2장. 전기의병의 배경
- 제3장. 전기의병의 개시
- 제4장. 전기의병의 확대
- 제5장. 전기의병의 반개화 투쟁
- 제6장. 일본군과의 항전
- 제7장. 전기의병의 사회적 기반과 이념
- 제1장. 중기의병의 시대적 배경과전국적 개황
- 제2장. 영동지방의 원용팔 의병
- 제3장. 호서지방의 중기의병
- 제4장. 호남지방의 중기의병
- 제5장. 영남지방의 중기의병
- 제6장. 서북지방의 중기의병
- 제7장. 대마도 유폐의병
- 제1장. 연구 목적과 방향
- 제2장. 후기의병의 배경과 한국군의 강제해산
- 제3장. 13도창의대진소의 결성과 서울진공작전
- 제4장. 후기의병의 확산
- 제5장. 일제의 의병대책과 남한폭도대토벌작전
- 제6장. 후기의병의 역사적 의의
- 제1장. 연구성과
- 제2장. 애국계몽세력의 맥락과 형성
- 제3장. 애국계몽세력의 일본인식과 민족운동 논리
- 제4장. 애국계몽세력의 정치사회운동
- 제5장. 애국계몽운동의 역사적 의의
- 제1장. 애국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 제2장. 신교육운동
- 제3장. 언론ㆍ출판운동
- 제4장. 민족종교운동
- 제5장. 국학운동
- 제6장. 국채보상운동
- 제7장. 애국계몽운동의 의의
- 제1장. 한말 순국ㆍ의열투쟁의 이해
- 제2장. 을사늑약 이전의 순국ㆍ의열투쟁
- 제3장. 을사늑약과 순국ㆍ의열투쟁
- 제4장. 고종폐위ㆍ군대해산과 순국ㆍ의열투쟁
- 제5장. 한일병합과 자결 순국
- 제6장. 한말 순국ㆍ의열투쟁의 의의
- 제1장.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의 이해
- 제2장.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의 배경
- 제3장. 1910년대 독립운동의 방략
- 제4장.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의 전개
- 제5장.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의 이념과 성격
제16권 :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 I - 만주ㆍ러시아 - 윤병석
- 제1장. 만주지역 민족운동 [정리]
- 제2장. 러시아지역 민족운동
- 제3장. 만주ㆍ러시아지역 의열투쟁
- 제4장. 만주ㆍ러시아지역 항일언론과 저술
제17권 :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 II - 중국ㆍ미주ㆍ일본 - 강영심
- 제1부. 1910년대 미주지역 항일운동
- 제1부 : 중국관내 - 제1장. 중국관내 한인사회 형성과 독립운동의 기반조성
- 제1부 : 중국관내 - 제2장. 국제적인 연대와 신한혁명당
- 제1부 : 중국관내 - 제3장. 대동단결선언과 신한청년단
- 제2부 : 미주 - 제1장. 초기 한인사회와 민족운동단체의 형성
- 제2부 : 미주 - 제2장. 공립협의회 ‘통일연합기관’ 설치와 운동노선
- 제2부 : 미주 - 제3장. 대한인국민회의 조직과 민족운동
- 제2부 : 미주 - 제4장. 대한인국민회의 임시정부 설립논의와 ‘자치기관’ 역할
- 제3부 : 일본 - 제1장. 개항과 재일한인 역사의 태동
- 제3부 : 일본 - 제2장. 1910년대 재일한인단체의 결성과 민족운동
- 제3부 : 일본 - 제3장. 2ㆍ8독립운동과 3ㆍ1운동
제18권 : 3ㆍ1운동의 배경과 독립선언 - 김혜정, 이상찬, 이계형, 조성운, 한명근
- 제1장. 3ㆍ1운동의 배경
- 제2장. 3ㆍ1운동 이전의 독립선언서
- 제3장. 2ㆍ8독립선언서와 3ㆍ1독립선언서
- 제4장. 국외항일세력의 독립선언서
- 제5장. 불교계와 유림계의 독립선언서와 청원서
- 제6장. 부록
제19권 : 국내 3ㆍ1운동 I - 중부ㆍ북부 - 김정인, 이정은
- 제1부 : 중부지역 - 제1장. 서울지역
- 제1부 : 중부지역 - 제2장. 경기지역
- 제1부 : 중부지역 - 제3장. 강원지역
- 제1부 : 중부지역 - 제4장. 중부지방 3ㆍ1운동의 성격
- 제2부 : 북부지방 - 제1장. 3ㆍ1운동의 정치ㆍ사회적 배경
- 제2부 : 북부지방 - 제2장. 황해도
- 제2부 : 북부지방 - 제3장. 평안남도
- 제2부 : 북부지방 - 제4장. 평안북도
- 제2부 : 북부지방 - 제5장. 함경남도
- 제2부 : 북부지방 - 제6장. 함경북도
- 제2부 : 북부지방 - 제7장. 북부지방 3ㆍ1운동의 특징
- 제1장. 충청지방 3ㆍ1운동의 전파
- 제2장. 충청지방 3ㆍ1운동 전개 과정
- 제3장. 충청지방 3ㆍ1운동에 대한 탄압
- 제4장. 충청지방 3ㆍ1운동의 성격
- 제5장. 호남지잠 3ㆍ1운동 전사
- 제6장. 전북지방의 3ㆍ1운동
- 제7장. 전남지방의 3ㆍ1운동
- 제8장. 호남지방 3ㆍ1운동의 성격
- 제9장. 영남지방 3ㆍ1운동 개요와 성격
- 제10장. 부산ㆍ경남지방 전개양상
- 제11장. 대구ㆍ경북지방의 전개양상
- 제1부 : 만주지역 - 제1장. 만주지역 한인이주와 대한독립선언
- 제1부 : 만주지역 - 제2장. 북간도의 3ㆍ1운동
- 제1부 : 만주지역 - 제3장. 서간도의 3ㆍ1운동
- 제1부 : 만주지역 - 제4장. 3ㆍ1운동 이후의 동향
- 제1부 : 만주지역 - 제5장. 3ㆍ1운동에 대한 국제적 반향
- 제1부 : 만주지역 - 제6장. 3ㆍ1운동에 대한 평가
- 제2부 : 노령 - 제1장. 러시아혁명과 한인사회
- 제2부 : 노령 - 제2장. 노령지역 3ㆍ1운동의 전개
제22권 : 3ㆍ1운동 직후 무장투쟁과 외교활동 - 황민호
- 제1부 : 무장투쟁 - 제1장. 만주지역 한인사회와 독립전쟁론 [정리]
- 제1부 : 무장투쟁 - 제2장. 독립군단 편성과 항일투쟁 [정리]
- 제1부 : 무장투쟁 - 제3장. 국내진공작전과 봉오동전투 [정리]
- 제1부 : 무장투쟁 - 제4장. 청산리독립전쟁 [정리]
- 제1부 : 무장투쟁 - 제5장. 독립군의 북진과 한인사회의 수난
- 제2부 : 외교활동 - 제1장. 미주한인의 선전외교활동
- 제2부 : 외교활동 - 제2장. 1920년대 미주한인의 군사운동
- 제2부 : 외교활동 - 제3장. 1920년대 유럽에서 독립운동
제23권 : 대한민국임시정부 I - 상해시기 - 김희곤
- 제1장. 서장
- 제2장. 수립 배경
- 제3장. 정부 수립 과정
- 제4장. 수립 초기 체제정비와 독립운동
- 제5장. 조직 개편 시도와 독립운동
- 제6장. 통합정부 추구와 체제 개편
- 제7장. 유일당운동 중단과 이당치국 체제 확립
- 제8장. 상해시대 임시정부의 위상과 평가
제24권 : 대한민국임시정부 II - 장정시기 - 한상도
- 제1장. 장정 초기(1932년 5월~1935년 말) : 고난의 여정을 재촉하며
- 제2장. 장정 중기(1935년 말~1937 여름) : 재기와 재건의 기지개를 펴며
- 제3장. 장정 후기(1937년 여름~1940년 여름) : 부활의 둥지를 찾아서
제25권 : 대한민국임시정부 III - 중경시기 - 한시준
- 제1장. 중경 정착과 당ㆍ정ㆍ군으로 체제 정비
- 제2장. 좌익진영의 임시정부 참여와 좌우연합정부 구성
- 제3장. 임시정부의 활동
- 제4장. 해방과 환국
- 제1장. 의열투쟁의 개념과 범주적 성격
- 제2장. 의열투쟁의 방략화와 시동
- 제3장. 의열투쟁의 조직적 전개와 확산
- 제4장. 개인단독 국외의거와 의열정신의 분출
- 제5장. 의열단의 암살파괴운동과 의열투쟁의 고양
- 제6장. 1920년대 후반기 의열투쟁
- 제7장. 1920년대 의열투쟁의 평가
- 제1장. 한인애국단의 결성
- 제2장. 이봉창 의사의 동경의거
- 제3장. 윤봉길 의사의 홍구공원 의거
- 제4장. 한인애국단의 기타 특무활동
- 제5장. 한인애국단 특무활동의 역사적 의의
- 제1장. 농민운동 서설
- 제2장. 1920년대 농민운동
- 제3장. 1930년대 농민운동
- 제4장. 농촌운동
- 제5장. 1940년대 전반기 농민운동의 추이
- 제6장. 농민운동의 의의
- 제1장. 일제강점기 노동운동사 서설
- 제2장. 노동자의 구성과 생활상태
- 제3장. 일제의 노동정책
- 제4장. 노동운동의 맹아기 - 1920년대 전반기
- 제5장. 노동운동의 고양기 - 1920년대 중ㆍ후반기
- 제6장. 비합법운동기 - 1930년대 전ㆍ중반기
- 제7장. 종전기 - 1930년대 말 이후
- 제8장. 노동운동의 의의
- 제1부 : 청년운동 - 제1장.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제1부 : 청년운동 - 제2장.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제1부 : 청년운동 - 제3장. 조선청년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제1부 : 청년운동 - 제4장.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제1부 : 청년운동 - 제5장. 1930년대 초 청년운동의 동향과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제1부 : 청년운동 - 제6장.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제1부 : 청년운동 - 제7장. 전시체제기 청년층의 정세인식과 반일운동
- 제1부 : 청년운동 - 제8장. 청년운동의 역사적 성격
- 제2부 : 소년운동 - 제1장. 소년운동의 역사적 배경
- 제2부 : 소년운동 - 제2장. 초기 소년운동의 전개
- 제2부 : 소년운동 - 제3장. 소년단체의 통합과 분열
- 제2부 : 소년운동 - 제4장. 소년단체의 반일운동 양상
- 제2부 : 소년운동 - 제5장. 소년운동의 쇠퇴
- 제1장. 한말 여성운동과 여성의 사회진출
- 제2장. 국채보상운동과 여성의 활동
- 제3장. 조마리아의 모성지도력과 안중근 의거
- 제4장. 여성들의 3ㆍ1운동과 항일운동
- 제5장. 1920년대 새 흐름의 여성운동
- 제6장. 제주해녀들의 생존권 투쟁 항일운동
- 제7장. 여성들의 의열무장활동과 여자광복군
- 제1장. 형평운동의 배경
- 제2장. 형평사의 창립
- 제3장. 형평사의 조직 확대
- 제4장. 형평사의 활동
- 제5장. 형평사와 사회운동
- 제6장. 형평운동에 대한 반발
- 제7장. 형평사의 해소
- 제1장. 일제강점기 언론운동
- 제2장. 조선총독부의 언론정책
- 제3장. 민족의사의 대변 - 3ㆍ1운동기 지하신문의 발간
- 제4장. 1920~1930년대 한글신문의 발간과 수난
- 제5장. 동아일보의 민족운동 지원과 민족문화운동
- 제6장. 조선일보의 민족협동전선운동 지원
- 제7장. 언론으로서의 잡지 발간과 수난 - 시사잡지와 단체 기관지를 중심으로
- 제8장. 민족ㆍ사회주의운동과 잡지
- 제9장. 조선총독부의 언론검열과 언론탄압
- 제10장. 언론인들의 언론자유운동
- 제1장. 국학운동의 배경과 성격
- 제2장. 국어학운동
- 제3장. 국문학운동
- 제4장. 국사학운동
- 제1장. 일제강점기 교육운동의 성과와 과제
- 제2장. 식민교육정책과 일본어
- 제3장. 교육진흥론과 교육단체 활동
- 제4장. 교육기관 확충과 교원단체
- 제5장. 민중교육운동 전개와 발전
- 제6장. 교육운동의 성격
- 제1장. 경제운동의 연구동향
- 제2장. 조선인산업대회와 한국인 자본가층의 결집
- 제3장. 물산장려운동과 조선물산장려운동
- 제4장. 협동조합론과 협동조합운동
- 제5장. 상공협회 조직과 한국인 자본가층의 세력과
- 제6장. 경제운동의 역사적 성격
제37권 : 문화예술운동 - 김재용, 민경찬, 최열, 조희문
- 제1부 : 문학운동 - 제1장. 일제강점기 문학적 저항
- 제1부 : 문학운동 - 제2장. 한글 연구와 문인의 활동
- 제2부 : 음악운동 - 제1장. 독립운동의 노래
- 제2부 : 음악운동 - 제2장. 한말 항일운동
- 제2부 : 음악운동 - 제3장. 일제강점기의 항일음악
- 제2부 : 음악운동 - 제4장. 해외지역 항일가요
- 제3부 : 미술운동 - 제1장. 초기 항일미술운동
- 제3부 : 미술운동 - 제2장. 문화운동기 항일미술운동
- 제3부 : 미술운동 - 제3장. 전시체제기 항일미술운동
- 제4부 : 영화ㆍ연극운동 - 제1장. 영화운동사
- 제4부 : 영화ㆍ연극운동 - 제2장. 연극운동사
- 제1부 : 기독교 - 제1장. 3ㆍ1운동과 기독교 [정리]
- 제1부 : 기독교 - 제2장. 1920년대 기독교의 민족운동 [정리]
- 제1부 : 기독교 - 제3장. 1930년대 이후 기독교의 민족운동과 의의 [정리]
- 제2부 : 대종교 - 제1장. 대종교의 중광과 발전
- 제2부 : 대종교 - 제2장. 대종교의 독립운동
- 제2부 : 대종교 - 제3장. 일제의 탄압과 독립운동사상 의의
- 제3부 : 불교 - 제1장. 식민지 불교체제와 저항
- 제3부 : 불교 - 제2장. 3ㆍ1운동과 불교계
- 제3부 : 불교 - 제3장. 불교계의 민족의식과 자주화
- 제4부 : 천도교 - 제1장. 천도교의 성립과 실력양성운동
- 제4부 : 천도교 - 제2장. 천도교의 3ㆍ1운동
- 제4부 : 천도교 - 제3장. 국내민족운동
- 제4부 : 천도교 - 제4장. 국외민족운동
- 제5부 : 천주교 - 제1장. 안중근의 민족운동
- 제5부 : 천주교 - 제2장. 3ㆍ1운동 참여와 대한민국임시정부 후원활동
- 제5부 : 천주교 - 제3장. 간도지역 천주교인과 민족운동
- 제1장. 1920년대 학생운동사의 지형과 연구현황
- 제2장. 전국적 학생운동 단체의 성립과 활동
- 제3장. 식민지교육에 대한 저항과 동맹휴학
- 제4장. 1920년대 학생운동의 이념과 성격
- 제1장. 6ㆍ10만세운동의 연구성과와 과제
- 제2장. 6ㆍ10만세운동의 배경
- 제3장. 6ㆍ10만세운동의 계획과 추진
- 제4장. 6ㆍ10만세운동의 전개와 성격
- 제1장. 광주학생운동의 개념과 연구
- 제2장. 1920년대 후반 광주 학생운동계의 변화
- 제3장. 1929년 광주학생운동의 발단과 전개
- 제4장. 1930년대 광주학생운동의 확산과 방향
- 제5장. 일제의 광주학생운동 탄압과 피해
- 제6장. 1930년대 전반 전국의 학생운동 동향
- 제7장. 광주학생운동의 성격과 의의
- 제1장. 최초의 사회주의자들
- 제2장. 상해파 공산주의그룹
- 제3장. 이르쿠츠크파 공산주의그룹
- 제4장.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분쟁
- 제5장. 두 공산주의 그룹의 혁명이론과 정책
- 제6장. 코민테른과 한국
- 제7장. 중립당 공산주의그룹의 대두
- 제8장. 서울파와 화요파, 북풍파 공산주의그룹
- 제9장. 공산당통일운동과 13인회
- 제1장. 조선공산당 서설
- 제2장. 조선공산당 창립 전사
- 제3장. 조선공산당 창당과 초기 활동
- 제4장. 강달영 책임비서 시기의 조선공산당
- 제5장. 김철수 책임비서 시기의 조선공산당
- 제6장. 조선공산당 제2차 당 대회와 ML파 조선공산당
- 제7장. 조선공산당 내부의 분열과 제3차 당 대회 이후의 활동
- 제8장. 조선공산당의 해외 조직
- 제9장. 조선공산당의 해산
- 제1장. 당 재건운동사 이해를 위한 전제
- 제2장. 당 재건운동의 배경
- 제3장. 당 재건운동의 전개
- 제4장. 혁명론과 ‘대중작업’
- 제1장. 한국인의 아나키즘 수용
- 제2장. 민족해방운동 이념으로서 아나키즘
- 제3장. 1920년대 이후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
- 제4장. 1930년대 중반 이후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
- 제1장. 신간회 창립의 배경
- 제2장. 신간회의 창립과 민족협동전선의 성립
- 제3장. 신간회의 이념과 강령
- 제4장. 신간회 중앙조직의 변동
- 제5장. 신간회의 지방 지회
- 제6장. 신간회 중앙본부의 민족운동(I)
- 제7장. 신간회 중앙본부의 민족운동(II)
- 제8장. 신간회 지방 지회의 민족운동(I)
- 제9장. 신간회 지방 지회의 민족운동(II)
- 제10장. 일제의 신간회 민족운동에 대한 탄압
- 제11장. 신간회의 해소
- 제12장. 신간회 민족운동의 역사적 의의
제47권 : 1920년대 재중항일세력의 통일운동 - 이현주
- 제1장. 일제하 민족통일전선운동에 대한 이해
- 제2장. 임시정부의 침체와 통일운동의 태동
- 제3장. 중국 관내 항일세력의 통일운동
- 제4장. 만주지역 항일세력의 통일운동
- 제5장. 1920년대 재중 항일세력 통일운동의 의의
제48권 : 1930년대 중국 관내지역 정당통일운동 - 신주백
- 제1장. 1930년대 중국 관내지역 정당통일운동의 성과
- 제2장. 정당통일운동의 배경
- 제3장. 정당통일운동 세력의 재규합과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 제4장. 민족혁명당의 결성과 정당통일운동 세력의 다수파 형성
- 제5장. 민족운동 세력의 양립화
- 제6장. 정당통일운동 세력의 중경 임시정부 합류
- 제7장. 정당통일운동의 역사적 성취
제49권 : 1920년대 전반 만주ㆍ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 반병률
- 제1장. 3ㆍ1운동과 항일무장투쟁노선의 확립
- 제2장. 러시아지역 항일빨치산 부대의 형성과 발전
- 제3장. 만주지역 항일독립군 단체의 형성과 발전
- 제4장. 일본군의 독립군 공격과 만주독립군의 대이동
- 제5장. 자유시참변 이후 만주와 연해주에서 항일무장투쟁
제50권 : 1920년대 후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 채영국
- 제1장. 3부의 성립과 활동
- 제2장. 1920년대 중후반 재만한인의 생활상
- 제3장. 사회주의계열의 대두와 3부 이회 독립운동 단체의 활동
- 제4장. 민족유일당운동
제51권 :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 장세윤
- 제1장. 국민부의 성립과 활동
- 제2장. 재만 조선혁명당의 조직과 남만주지역 독립운동
- 제3장. 조선혁명군의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
- 제4장. 1930년대 재만 한국독립당ㆍ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
- 제5장. 중국공산당 만주조직과 한인들의 민족운동
- 제6장. 1930년대 중국 동북지역 항일투쟁의 역사적 의의
- 제1장. 한국광복군의 창설 배경
- 제2장. 한국광복군 창설
- 제3장. 한국광복군과 중국군사위원회
- 제4장. 한국광복군 조직과 변천
- 제5장. 한국광복군 전략과 활동
- 제6장. 인면전구공작대 파견
- 제7장. 한국광복군의 한미공동작전 추진
- 제8장. 8ㆍ15와 한국광복군 변천
- 제9장. 한국광복군 창군의 의의
- 제1장. 조선의용대의 창설과 그 위상 및 성격
- 제2장. 계림에서 전개한 조선의용대 대본부의 항일운동
- 제3장. 조선의용대 화북지대의 팔로군과 연대항일투쟁
- 제4장. 전기 조선의용군 화북지대의 항일운동과 그 특징
- 제5장. 조선의용군 대원들의 적구조직 활동과 한반도 진출 루트
- 제6장. 군ㆍ정 간부 양성과 전투부대 편성
제54권 : 1920년대 이후 미주ㆍ유럽지역의 독립운동 - 고정휴
- 제1장. 구미지역 독립운동의 기반과 특징
- 제2장. 워싱턴체제의 출범과 독립운동의 침체
- 제3장. 미주한인사회의 변화와 신진단체의 출현
- 제4장. 태평양전쟁기 미주한인사회와 독립운동
제55권 : 1920년대 이후 일본ㆍ동남아지역 민족운동 - 김인덕
- 제1부 : 일본 - 제1장. 1920년대 전반기 재일한인의 민족운동
- 제1부 : 일본 - 제2장. 1920년대 후반 민족운동의 진전
- 제1부 : 일본 - 제3장. 1930년대 민족운동의 변화
- 제1부 : 일본 - 제4장. 태평양전쟁과 민족운동
- 제2부 : 동남아 - 제1장. 한국인의 동남아지역 진출과 인식
- 제2부 : 동남아 - 제2장. 군자금 모집과 독립운동기지 개척
- 제2부 : 동남아 - 제3장. 의열투쟁과 항일활동
- 제2부 : 동남아 - 제4장. 암바라와의거와 동남아지역 항일운동의 의의
- 제1장. 서장
- 제2장. 중경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
- 제3장. 국외 독립운동의 동향
- 제4장. 국내 독립운동의 동향
- 제5장. 국내외의 연대ㆍ민족통일전선
- 제6장.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역량
- 제1장. 국가건설론의 특징과 대요
- 제2장. 조소앙의 삼균주의
- 제3장.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 제4장. 백남운의 연합성 신민주주의론
- 제5장. 박헌영ㆍ『8월 테제』의 진보적 민주주의론
제58권 : 국내항일유적지 - 강윤정, 김상기, 김승, 박찬식, 서진교, 윤선자, 장규식, 최창희
- 제1장. 서울지역
- 제2장. 경기지역
- 제3장. 강원지역
- 제4장. 대전ㆍ충청지역
- 제5장. 광주ㆍ전라지역
- 제6장. 대구ㆍ경북지역
- 제7장. 부산ㆍ경남지역
- 제8장. 제주지역
제59권 : 국외항일유적지 - 김주용, 박환, 조재곤, 한시준, 한철호
- 제1장. 동남아ㆍ일본지역
- 제2장. 만주지역
- 제3장. 러시아지역
- 제4장. 중국관내
- 제5장. 미주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