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4 : 자율, 타율, 신율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4 : 자율, 타율, 신율 이성의 자율은 인간 존재가 자기 자신 안에 있는 ‘합리적인 법’에 자발적으로 순종하여 판단하고 결행하는 삶을 말한다... ‘자율’은 우리 마음 안에 있는 합리적 질서를 따르고 옳은 삶을 살라고 명하는 양심의 법이다... (58) 틸리히의 놀라운 통찰의 빛은 ‘타율’의 깊은 해석에서 드러난다. 타율이 합리적이고 평면적인 사고에 익숙한 자율에게는 낯선 것, 이질적인 것, 밖에서 들어온 것이라고 느껴지지만 사실은 타율의 권위, 궁극적 주장, 절대적 성격은 ‘이성의 깊이’에서 우러나온다고 보는 것이다. (59) 이성의 ‘자율과 타율’이 서로 갈등하고 충돌할 때, 개인의 삶과 집단 공동체의 삶은 병들고 찢긴다... 틸리히는 이 갈등고 충돌의 극복과 ..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3 : 이성과 계시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3 : 이성과 계시 틸리히의 조직신학은 상관 방법에 따라 전개된다. 서로 상관시키는 다섯 개의 범주는 ‘이성과 계시’, ‘하나님과 존재’, ‘실존과 그리스도’, ‘생명과 성령’, ‘역사와 하나님의 나라’이다. (43-44) ‘안다는 것’(knowing)... 철학사에서는 ‘앎에 관한 이론’을 인식론(epistemology)이라 불렀다. 인간의 모든 앎, 곧 인식 행위는 ‘이성’의 활동과 그 기능에 관련되기 때문에 틸리히는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 하나님의 나라를 논하기 전에 ‘이성과 계시’의 관계를 먼저 깊이 생각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44) 그 사람이나 종교가 어떤 인식론을 갖느냐에 따라 인생관과 세계관이 결정되고 종교적 유형이 판가름 난다. 인식론의 패러다임..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2 : 상관 방법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2 : 상관 방법 틸리히가 말하는 신학 하는 기본 태도의 한 유형으로서 ‘변증적 신학’이란 그리스도인이나 신학도, 목회자가 예수 그리스도의 교훈과 삶을 통해서 드러난 복음이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도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 된다는 진실을 설득하고 해명하고 변호하는 신학을 말한다... 틸리히는 변증적 신학의 특징이 인간 실존의 곤궁한 상황과 절박한 질문에 ‘대답하는 신학’이라고 말한다. (35) 틸리히의 ‘변증적 신학’의 핵심적 특징이 바로 ‘상관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상관 방법’이란 기독교 신앙의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실존적 질문과 신학적 대답이 상호 의존적 관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상관 방법에서 질문과 대답은 상호 의존적이고, 상호 침투하며, 상호 .. 2021. 3. 4.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 : 궁극적 관심 김경재, 『틸리히 신학 되새김』 노트 1 : 궁극적 관심 틸리히는 ‘궁극적 관심’의 성격을 네 가지로 제시하면서 사이비 종교들과 궁극 이전의 신학적 관심으로부터 진정한 종교-신학적 입장을 지켜내려고 한다. 그가 제시한 네 가지 필요충분조건은 궁극적, 무조건적 혹은 무제약적, 총체적, 무한적이다. (25) 궁극적... ‘마음, 목숨, 뜻, 힘을 다하여’ 사랑하고 관심하는 태도가 ‘궁극적’이라는 관형사가 의미하는 자세이다. (26) ‘무조건적, 무제약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종교적 관심이 개인의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혹은 필요에 따라 초능력자 혹은 초월적 존재와 ‘주고받는 상거래 행위’가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27) ‘총체적’이라는 것은 종교란 삶의 특정 영역에만 적용되는 게 아니라는 뜻이다. 종교는 ‘.. 2021. 3. 4.
“루터의 개혁 운동의 정신적 동력 : 묵시적 종말사상과 예언자적 사명의식” - 김선영(2017) 김선영(2017). 루터의 개혁 운동의 정신적 동력.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6, 173-204 I. 들어가는 말 16세기에는 죽음을 다루는 문제도 매우 심각했지만 묵시적 종말사상의 열광이 절정에 다다라 있었다. - (173) 제5차 라테란 공의회(1512-1517)는 과열된 대중적 종말사상의 경향을 비난하는 성명서를 발표했고, 교회 지도자들은 설교자가 성경의 예언을 해석할 때 과도한 열정을 보이는 것을 경고했다. (173) 버나드 맥긴 – 16세기로 이어진 15세기 묵시적 종말사상의 예언에 등장하는 세 가지 기본적인 주제 : 1) 로마 교황청에 대한 반감, 2) 교회 재산 몰수, 3) 북유럽의 황제 또는 튀르크족 둘 중의 하나에 의해 실행될 심판 - (174) 하이코 오버만 - 마르틴 루터의 역사관에서.. 2021. 3. 3.
“마르틴 루터와 토마스 뮌처” - 손규태(1990) 손규태(1990). 마르틴 루터와 토마스 뮌처. 기독교사상, 33(10), 27-34. 서론 사회개혁 없는 종교개혁은 무의미하고 종교개혁 없는 사회개혁은 불완전하다. (27) 마르틴 루터가 당시 부패하고 오도된 가톨릭 교회의 개혁을 위해서 헌신했다면 토마스 뮌처는 농민들의 봉기를 주도함으로써 사회개혁에 헌신했다가 ㅈ후들의 군대들에게 참패하고 수많은 농민군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27) 루터에게서는 상부구조인 종교개혁이 더 시급한 과제였고 뮌처에게서 사회개혁 없는 종교개혁은 무의미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27) 1. 루터의 길 95개조 논제 (28) 루터는 가톨릭의 공로사상에 대해서 절대 은총으로 응답하는 한편 즉 광신도들의 반율법주의에 대해서도 투쟁했다. 루터는 1520년대 종교개혁 문서들을 통해서 율법.. 2021. 3. 3.
“마르틴 루터의 대적자들” - 김기련(2012) 김기련(2012), 신학과 현장 제22집 1. 서언 로마 교황 레오 10세는 면죄부 판매와 관련하여 루터의 종교개혁을 근본적으로 이단으로 정죄하고 압박하였다. (31) 칼 5세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요, 교황에게 가톨릭 신앙을 수호할 것을 맹세했기 때문에 루터의 종교개혁을 분쇄하려고 시도하였다. 농민전쟁과 관련하여 루터에 대한 로마교회의 날카로운 책임 추궁은 루터로 하여금 아래로부터의 개혁에서 제도적이고 국가교회적인 개혁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32) 루터와 에라스무스와의 인간의지에 대한 논쟁 (32) 이그나티우스 로욜라가 창설한 예수회가 로마교황청의 전위부대가 되어 개신교의 박멸을 시도 (32) 2. 교황 레오 10세 “95개조 논제 해설”(1518년) : ‘95개조 논제’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독립성을.. 2021. 3. 3.
“마틴 루터와 토마스 뮌처 – 신학적 배경과 한계” – 나학진(1986) 나학진, 신학사상 54집, 1986 가을 1. 서론 급진론자들의 다양성 (501-502) 뮌처가 유아세례를 반대했다고 재세례파로 간주해야 하는가? 라투렛트와 칼 홀과 뵈머는 긍정적인 입장이다. 그러나 트뢸취의 해석은 다르다(뮌처는 재세례파가 아니었음을 지적하고, 신비주의에 속하는 성령론자로 간주한다). (503) 뮌처 : 유아세례에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 종말론적인 의식과 함께 신정론적인 신국의 건설을 시도하는 면에서 혁명형의 재세례파와 같은 태도를 나타냈으며, 동시에 타보르파나 요아킴에 연결되는 신비성의 성령론적인 성격도 찾아볼 수 있다. (503) 뮌처의 특색은 혁명적인 성령론자였음에 있을 것이다. (503) 올바른 신학으로부터 올바른 행동에 이르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자기의 행동을 옳다고 생각하면.. 2021. 3. 3.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토마스 뮌처” – 최재호(2011) 최재호(2011).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토마스 뮌처. 역사와 교육(4), 158-174 1. 들어가며 유토피아를 떠올리면서 16세기 종교개혁기의 토마스 뮌처를 생각한다. 서양 중세 교권주의의 근간을 뒤흔든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에 크게 고무받아 현존하는 질서를 부정하고 비판하면서 종교개혁과 독일농민전쟁에 온 몸을 던졌던 뮌처는 패배자였기에 신학자의 반열에 들 수도 없었고, 근대에 와서야 비로소 단지 혁명가로 불렸던, 그러나 현대에서 비로소 ‘혁명의 신학자’로 자리매김했을 따름이다. - ‘희망의 원리’로 유명한 에른스트 블로흐에 의해 명명되었다. (159) 2. 토마스 뮌처와 유토피아 1) 뮌처의 신앙관 뮌처는 주로 과 타울러 및 츠비카우 예언자들의 영향하에 성령을 통한 신과의 직접 영교를 배웠고 반교권주.. 2021.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