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가톨릭개혁과 종교미술” - 고종희(2017) 고종희(한양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교수ㆍ미술사가) 『미술세계 63』(2017, 60-63. 1. 트리엔트 공의회 가톨릭교회는 1545년부터 1563년까지 18년에 걸쳐 트리엔트 공의회를 개최하여 프로테스탄트에 의해 의문이 제기된 교리와 관습에 대해 폭넓게 논의하였고, 입장을 정리했다. (60) 트리엔트 공의회는 제25회기에서 미술에 대한 입장을 밝혔는데, 내용의 핵심은 프로테스탄트와 달리 가톨릭은 미술품을 성서, 성인, 교리를 교육시키는 수단으로 삼고 그 중요성을 부각한다는 것이었다. (60) 2. 용어의 문제 반종교개혁이라고 칭하는 사람들은 주로 개신교 국가의 학자들로서 루터의 종교개혁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는 반면, 가톨릭개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가톨릭 국가의 학자.. 2021. 3. 3.
“자유의 맥락에서 본 장공 김재준의 삶과 신앙” - 이오갑(2008) - 이오갑(그리스도대 교수 / 조직신학) 『신학사상 141』(2008), 7-37. 초록 장공 김재준(1901-1987)은 20세기 한국 민족과 문화사에서 자유의 사상가라고 불릴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그것은 그가 그 시대에서 자유로운 사상가였으며, 더더욱 인간의 자유에 대해서 투철한 신념과 통찰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7) 1. 들어가는 말 장공 김재준은 자유의 사상가이다(자유주의자는 아니다)... 그 시대에서 자유로운 사상가였으며, 더더욱 인간의 자유에 대해서 투철한 신념과 통찰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8) 자유주의란 19세기 이후 20세기 초반 유럽을 풍미했던 신학사조이다. 그것은 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보다는 인류의 종교 혹은 지혜의 오랜 전승이나 축적물로서 보며, 그것을 해석하는 데 있어.. 2021. 3. 3.
“김재준의 정치신학 : 신학적 원리와 사회ㆍ정치변혁론 – 1970-1980년대 인권ㆍ민주화ㆍ평화통일 운동을 중심으로” - 김경재(2004) - 김경재(한신대 교수 / 조직신학) 『신학사상 124』(2004), 55-86. 1. 들어가는 말 북미주 체류 10년 동안 장공이 ‘북미주 기독자교수협의’(The Association of Korean Scholars in North America), ‘한국민주회복 통일 촉진 국민회의’(Korean Congres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 북미주 본부, 그리고 ‘민주주의 국민연합’(The United Movement for Democracy in Korea) 북미주 본부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어떤 활동을 했는가? (58) 위 기관 단체의 지도자로서 참여하면서, 부딪혔던 문제들 중 특히 북한당국과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 민주인사들의 좌파, 우파, 중도파 입장들을 어떻게 조율.. 2021. 3. 3.
“김재준(金在俊, 1901-1987)에 있어서 목회자의 사회윤리적 정체성” - 임걸(2004) - 임걸(연세대 교수 / 조직신학) 『신학사상 127』(2004), 95-130. 많은 사람들은 김재준이 평생동안 변절하지 않고 목회자로서 자기의 믿음과 행동에 일관성을 유지했다는 것에 놀라운 평가를 내리고 있다. (95) 김재준이 생각하고 제시하는 목회자의 윤리적, 사회적 정체성 탐구 (95) 불의한 사회에 대한 개혁자, 청빈한 사람으로서의 목회자, 시인으로서의 목회자 (96) 1. 한국사회의 목회자 김재준 김재준은 한국교회의 목사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종교의 계층을 뛰어넘어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하는 목표와 과제를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 깊은 영향력과 지도력을 남긴 한국사회 전체의 목사였다... ‘한국민족의 목회자’ (96) 김재준을 ‘민족 목회자’로 이해하는 유동식의 .. 2021. 3. 3.
“장공 김재준의 복음이해와 한국민족” - 손규태(2001) - 손규태(성공회대학교 교수 / 기독교윤리) 『신학사상 115』(2001), 105-126. 1. 들어가는 말 장공의 삶은 1932년 미국에서 귀국하여 해방까지는 주로 신학자로서 학문하고 목사로서 설교하고 또 몇몇 학교들에서 교사로서 봉사했다. (106) 한 신학자와 종교인으로서 민족 문제를 이렇게 철저하게 사색하고 그 미래를 위해서 이렇게 몸 바쳐 헌신해 온 지도자를 우리 역사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역사에서도 찾기 힘들 것이다. 장공에게서 이러한 그리스도 사랑과 민족애가 하나로 응집된 것을 발견하지 못환다면 우리는 그의 삶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107) 한국의 저명한 문화신학자 유동식은 장공의 삶을 민족선교 혹은 민족목회라는 차원에서 이해한다. “복음에 의한 민족선교 또는 민족목회를 담.. 2021. 3. 3.
“김재준의 정치사상” - 김동환(2014) - 김동환(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교수 / 기독교윤리학) 『신학사상 164집』(2014년 봄호), 121-153. 1. 들어가는 말 김재준의 정치사상은 지금도 유효한가? (122) 정치적 활동이나 업적 ‘이전에’ 혹은 그 ‘아래에’ 깊이 뿌리내려있던 학문적(정치학적) 밑바탕... 만약 김재준의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과정에서도 그러한 학문적(정치신학적) 밑바탕이 발견된다면, 그는 분명 지금 이 시대에서도 조명 받아 마땅한 영웅일 터이고, 그의 정치사상은 특정 시대와 장소에 국한되지 않는 귀한 정치사상일 것이다. (122-123) 2. 출발점 : 인간의 본성 – 자유 김재준의 정치사상의 핵심을 한 문장으로 말한다면, 대한민국의 건국을 목도하면서 그가 남긴 유명한 논문인 “기독교의 건국이념”의 첫 문장인, “.. 2021. 3. 3.
“일제 박해시대의 선교유형에 관한 연구 – 장공 김재준의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선교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 최성일(2005) - 최성일(한신대 교수 / 선교신학) 『신학사상 129집』(2005), 191-229. 초록 교회가 순교자의 피 위에 건설되었다고는 하지만, 박해시대에 기독교 선교는 역설적으로 박해로부터 도망친 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191) 1. 서론 2. 성서에 나타난 박해시대의 선교유형 성서는(특히 신약성서는) 교회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서, 그리고 각기 다른 환경과 선교상황 속에서 저술되었다는 관점으로부터 선교문서로 볼 수 있다. (193) 박해시대에 나타나는 선교유형 : 1) 박해가 닥쳤을 때 취하는 적극적인 행위는 항거다. 2) 순교. 터툴리아누스의 경우, 순교는 당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되는 것이며, 신의 말씀으로서 구약과 성령의 계명은 순교의 영예를 지향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3) 순례(박해로부.. 2021. 3. 2.
“한국신학사에 있어서의 김재준의 위치” - 주재용(1985) - 주재용(한신대 교수 / 교회사학) [신학사상 제50집](1985), 461-485. I. 머리말 신학... “시대의 아들” (461) 김재준 : 신학이 없어질 수 없는 궁극의 과제를 다루고 있으며, 동시에 시대적인 조건에 의하여 인간의 요청에 적응하는 대답을 줄 의무가 있는 것이라면 신학의 지금의 상태를 재검토하여 이제부터의 갈 방향을 작정하는 것은 당연한 조처라 아니할 수 없다. (461) 박형룡은 지적하기를... 우리나라에 들어온 이대종파인 장로교와 감리교 중에서 감리교는 시학의 변천에 대하여 자유로운 태도를 취하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자유주의가 뿌리를 박으되 탈 없이 지났다. 장로교는 정통신학의 보수에 상당히 골몰하였기 때문에 자유주의의 침투가 비교적 더디었고, 또 소리를 내며 교회분열을 초래하였.. 2021. 3. 2.
“김재준의 사회윤리사상” - 자유는 인간존재자체인 것이다. - 장일조(1985) - 장일조 (한신대 교수, 철학) 『신학사상 제50집』(1985), 512-531. I. 머리말 1971년에 나온 전집을 바탕으로 한다. (488) II. 비판적 신학 김재준 신학이 한국신학에서 그 두드러진 성격을 드러낸 것은 1950년대부터다... 김재준이 자유주의 신학자라는 것은... “조선신학교의 소위 자유주의적 경향”이라는 한국 그리스도교 일반의 인식에 의해서 형성된 선입견적 관념이었다. (488-489) 한국 그리스도교 정통주의 : 1) 축자영감설과 성서무오설을 내용으로 하는 성서문자주의, 2) 신조와 교리를 바탕으로 하는 교리지상주의, 3) 전통을 개혁없이 고수하려는 보수주의... (489) 성서문자주의는 인간의 삶의 풍부한 의미에서 세계를 메마르게 하고, 교리지상주의는 비판적 사유를 억압하며.. 2021.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