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남장로교 선교사 존 크레인(John C. Crane)의 유산 : 전도자, 교육자, 신학자” - 이재근 이재근(2016). 남장로교 선교사 존 크레인(John C. Crane)의 유산 : 전도자, 교육자, 신학자. 한국기독교와 역사(45), 121-156). I. 머리말 : 2대를 이은 9인 선교사 가문의 시조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원두우)... 4대에 걸쳐 약 130년 동안 한국에서 선교사와 교육자, 언론인, 학자, 정치인 등으로 봉사... ‘신촌 원씨’... (121-122) 유진 벨(배유지, 1768-1925) 및 윌리엄 린턴(인돈, 1891-1960) 가문... 린턴과 벨의 유산은 린턴이 66세이던 1956년에 탄생한 한남대학교(당시는 대전장로교대학)와, 유진벨의 선교 100주년을 기념하는 1995년에 주로 북한의 가난과 질병을 구제하는 일에 집중하는 유진벨 재단으로 오늘날 주로 대표된다... 존.. 2021. 2. 28.
“레이놀즈의 목회 사역” - 송현강 송현강(2010). 레이놀즈의 목회 사역. 한국기독교와 역사(33), 35-56. 1. 머리말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레이놀즈(William D. Reynolds)... 1892년 내한... 1897년 호남 최초의 교회인 전주교회(현 전주서문교회) 담임목사로 부임... ‘네비우스 선교방법’의 신봉자... (35) 성경번역을 위해 1902년부터 5년간 서울... 남장로교 선교사로는 이례적으로 북장로교 서울 스테이션의 승동교회와 연동교회를 번갈아 시무... (35) 1895년 10월 ‘번역자회’에 가담... 1937년 은퇴할 때까지 한글 성경 번역 사업에 종사... 한국 장로회의 단계별 치리회 조직 및 운영 과정에 깊숙이 참여... (36) 평양신학교... 북장로교 마펫이 행정... 클라크가 저술..... 2021. 2. 28.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제1부 : 제3장 - 북간도 교회의 발전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제1부. 북간도 민족교회 구형(構形)과 성격 제3장. 북간도 교회의 발전 1. 교단 조직의 내실기(1912~1917년) 1912년 105인 사건이 발생하자 북간도 교회에도 영향이 미치었다. 105인 사건은 일제가 신민회를 타도할 계획으로 조작한 것인데, 북간도 교회는 신민회의 이동휘와 관계가 깊고, 간도 훈춘 지역의 기독교 민족주의자들 간에는 평양의 대성학교, 정주의 오산학교, 선천 신성학교, 평양 숭실학교 출신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안명근 사건과 105인 사건에 관계되어 북간도에서는 16명의 연루자가 체포되었고, 이 사건에 관련된 간도 기독교인들 가운데는 도망, 전거(轉居), 또는 탈교자(脫敎者)도 있었다. (65) 북간도 기독교는 1912년을 계기로 표면적.. 2021. 2. 28.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책을 펴내며 제1부 - 북간도 민족교회 구형(舊型)과 성격 제1장 : 사회적 배경 인문지리적 고찰 이주 한인사회의 형성 이주민의 상황 제2장 : 교회의 성립 민중과 교회 기독교 민족주의자 이동휘 관북지방의 애국계몽운동 이주 한인사회의 대표 김약연 훈춘현의 기독교 전파 북간도 교회의 성격 복음의 전파(1906년) 교회의 개척과 부흥(1906-1911년) 제3장 : 북간도 교회의 발전 교단 조직의 내실기(1912-1917) 교회의 활동과 박해기(1918-1920년) 간도노회의 성립기(1920-1921년) 제2부 - 북간도 기독교인들의 민족운동의 실제 제1장 : 교육운동 문제의 제기 반제민족교육운동을 위한 항일기지 북간도 민족주의 교육이념과 특징 기독교 민족주의 학.. 2021. 2. 28.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부록 : 참고문헌ㆍ색인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부록 : 참고문헌ㆍ색인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가 정재면(1884~1962) 1. 머리말 2. 정재면의 성장배경(1884~1907) 1) 서북기독교 신앙 1884년 2월 14일 평남 숙천에서 부친 정학전과 모친 김성약의 아들로 출생... 본명은 정병태, 호는 벽거, 일광, 우산 등으로 불리웠다... 모친 김성약은 서양 선교사들의 기독교 전파 이전에 만주를 통해 주체적으로 수용된 개신교에 입신한 한국 최초의 개신교 신자 그룹에 속했다... (275) 숙천지역... 정학전은 장손으로 평양신학교에는 입학하지 못했지만 김찬성(김인식 목사의 부친이며, 작곡가 김동진의 조부) 목사와는 절친한 신앙동지... 유교적 유일신론적 신앙... 김성약의 신앙은 종말론적이며 메시아적 .. 2021. 2. 28.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결론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결론 일제의 식민통치가 강화됨에 따라 수많은 이주민으로 형성되었던 북간도의 한인 촌락은 일제의 탄압이 적극적으로 미치지 않았던 1915년 이전까지는 민족독립운동의 근거지로 발달될 수 있었다... 1921년 북간도 이백여 처의 교회는 선교사의 도움과 평신도들의 노력에 의해 설립되어 자주, 자립, 자치로 발전한 것들이었다... (267) 북간도의 한인들은 간민자치회, 간민교육회, 간민회, 국민회, 삼국전도대, 교회청장년회, 주일학교, 사경회, 기도회, 부흥회, 토론회 등을 통하여 기독교 신앙과 함께 민족정신을 고취하였다. 명동학교를 비롯한 북간도 기독교 학교들의 교육은 시문화운동 뿐 아니라 애국 청년을 길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267-268) 간민회..... 2021. 2. 28.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제2부 : 제4장 - 북간도 3ㆍ1운동과 무장투쟁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제2부. 북간도 기독교인들의 민족운동의 실태 제4장. 북간도 3ㆍ1운동과 무장투쟁 1. 역사적 배경 1910년대에는 애국계몽운동과 의병들의 항일운동을 합일된 이념의 방향에서 추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했다. 그 결과 동일한 노선의 항일투쟁론이 대두되었다. (201) 신민회의 최대의 목표는 독립전쟁에 있었고, 그 시기를 중일, 노일, 미일전쟁에 두었다. 또한 신민회는 국내에서 실력양성 운동을 전개하면서 한편으로 국외에 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독립군 기지를 창건하여 기회가 오면 국내 진공을 하겠다는 독립전쟁 전략을 채택하였다. (201) 밀산부의 한흥동... (202) 1915년 3월 일본이 21개조 요구안을 중국에 제출하여 중일간에 교섭이 이루어지고 있는 .. 2021. 2. 28.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제2부 : 제3장 - 사회운동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제2부. 북간도 기독교인들의 민족운동의 실태 제3장. 사회운동 간민자치회, 간민교육회, 간민회, 국민회 등 사회단체의 조직... 삼국전도대, 부녀회, 청년회, 기독교우회, 만국개량회와 교회의 여러 형태의 집회 및 행사... 민력양성의 민중운동이었으며 국권회복을 위한 장기적인 전력의 축적... 북간도가 국외 독립운동 기지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민중들이 지도층이었던 기독교도들이 한인들을 애국주의와 신지식으로 계몽시켜 국민적 훈련과 각성을 촉구하였기 때문... (177) 1. 간민교육회의 조직과 국민회 1907년... 일제는 북간도 용정에 통감부 임시 간도파출소를 설치... (177) 북간도 기독교계 민족주의자 김약연, 김영학, 구춘선, 강백규, 유찬희, .. 2021. 2. 28.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제2부 : 제2장 - 역사교육 서굉일, 『일제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사』 제2부. 북간도 기독교인들의 민족운동의 실태 제2장. 역사교육 1. 문제의 제기 일제하 서북간도의 민족운동은 신민회의 자강론적 민족주의를 계승한 실력양성운동으로 전개되다가 3ㆍ1운동을 계기로 무장독립의 항일운동으로 발전하였다. (137) 2. 행동과 실천의 교과 역사교육의 목적은 주지주의에 입각한 역사지식의 습득보다 민족의식, 민족정신, 민족애를 보다 중시하는 주정주의적 입장이 강조되었고 나아가 실천적 역사교육이 요구되었다. (138) 민족주의적 애국심 계몽은 이미 1906년 이래 실시된 철두철미한 반일민족교육, 자강주의의 국혼적 국사관에서 비롯하며 서북간도 독립기지에 세워진 이주 한인들의 민족학교의 민족사교육을 통해 뿌리깊이 내면화 되었다. (138) 서북간.. 2021.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