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실]577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4] 한국기독교와 해외선교 - 김은수 - 김은수(전주대학교 교수) 1. 개관 아프가티스탄... 분당샘물교회... (242) 세계 제2위의 기독교 선교국가... (243) 2. 1945년 해방 이전의 해외선교 감리교 홍승하 선교사... 장로교 이기풍 목사(제주도)... 감리교 이화춘 목사(북간도)... 장로교 한석진 목사(일본), 최관홀 목사(시베리아)... 장로교 김영제 목사(북간도)... 감리교 손정도 목사(만주)... (243-245) 한국기독교의 해외선교의 또 다른 특징은 연합선교, 즉 에큐메니칼 협력선교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245) 1910년 에든버러에서 개최된 세계 최초의 에큐메니칼 선교대회에서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참여한 윤치호는 해외선교기금을 분배할 때에 한국 현지 지도자들과 의논해야 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선교를 위한..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3] 한국기독교의 고도성장 - 배덕만 - 배덕만(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1. 개관 한국의 20세기는 일제의 식민화 과정과 함께 시작하였다... 이 시기이 한국기독교는 ‘민족복음화’라는 자신의 본래적 목적과 ‘민족해방’이라는 민족의 공통 과제를 동시에 성취해야 하는 이중의 부담을 안게 되었다... (217) 1) 독립협회, YMCA, 시민회 등을 통해 나타난 기독교인들의 민족ㆍ사회운동... 2) 학교와 병원을 통해 진행된 간접적 전도방법... 19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부흥ㆍ전도운동... (217-218) 2차대전 이후... 한국기독교는 북한기독교인들의 월남, 전쟁기간과 재건과정의 사회사업, 그리고 부흥운동을 통해 성장했다. (218) 1960년대부터 1980년대말까지... 한국기독교는 분단과 통일, 독재와 경제성장이란 새로운 사회적..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2] 한국기독교와 북한교회 - 유관지 - 유관지(감리교북한교회연구원[NCRC] 원장) 1. 개관 북한교회를 바라보는 수정적인 관점... “북한사회는 북한 내부 자체의 논리로 보아야 한다”는 내재주의적인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북한 기독교인들이 신앙경험을 중시하면서 북한기독교의 역사를 보는 것이다. (202)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북한의 ‘지하교회’를 북한교회의 주체로 보려고 하는데 비해, 수정주의적인 관점에서는 조선 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을 북한교회이 주체로 인식하고 있다. (202) 북한을 통치하게 된 공산정권은 처음에는 통일전선에 입각하여 기독교를 포섭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나 장대현교회 3ㆍ1절 기념예배에서 시작해서 여러 면에서 갈등을 겪었고 1946년 11월 주일선거문제를 둘러싸고 정면으로 충돌하는 양상을 보였다. (203) 1972년에 평..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1] 한국기독교의 신학 - 백용기 - 백용기(강남대학교 교수) 1. 개관 모든 신학은 그 신학이 위치한 곳에서 그 시대가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서 대답을 시도해야 한다. (186) 개신교 신학에서 가장 한국의 특징을 드러내는 신학이 토착화신학과 민중신학 그리고 여성신학이다... (187)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WCC와 IMC(국제선교협의회)의 통합은 기독교의 사회적 운동과 선교, 특히 토착화 신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87) 토착화신학은 1960~1970년대, 민중신학은 1970~1980년대, 여성신학은 1980~1990년대의 주요한 신학 활동이었다. (187) 한국기독교신학의 토착화신학... 최병헌, 정경옥, 길선주, 이용도, 김교신, 최태용, 유영모... (188) 민중신학은 1970~1980년대 한국의 정치, 사회, 경제..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0] 한국기독교와 이단 종파 - 탁지일 - 탁지일(부산장신대학교 교수) 1. 기독교 역사와 이단 초대교회의 이단 논쟁은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것이었다. 예수의 인성과 신성에 관한 논쟁이 주를 이루었다...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 (169) 중세교회의 이단 논쟁은 교회의 권위와 관련되어 있다. 중세 유럽사회에서 기독교는 종교(religion)일 뿐만 아니라, 문화(culture)인 동시에 삶의 공동체(community)였다.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적인 운명이었다... 종교개혁의 이단 논쟁은 성서의 가르침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170) 신대륙 정착 초기에는 미국 동부지역에서 몰몬교 등의 이단들이 주로 생겨났으나, 서부개척이 이루어지면서는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한 미국 서부지역에서 이단들이 집중적으로 발흥한다. 식민개..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9] 한국기독교와 연합 활동 - 안교성 - 안교성(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1. 개관 한국교회의 교회일치운동의 몇 가지 특징... 1) 교회일치운동은 교회 합동(church union)이라는 조직적인 일치보다는 협력 혹은 협동(co-operation)이라는 실무적인 일치가 강하게 나타났다. 2) 교회 일치운동의 주도권이 교회의 발전단계에 따라 바뀌었다... 선교사 위주의 교회일치운동이 교회 중심, 현지인 중심의 교회일치운동으로 전환되어 나갔다. (152-153) 1) 초기의 산발적인 교회일치운동 : 개국 이전부터 1905년까지 한국교회 초기부터 선교사와 한국인의 협력이 이루어졌다(만주의 서상륜과 존 로스, 일본 이수정)... (153-154) 사역을 위하여 연합하였고, 관련된 사역별 에큐메니칼 기구를 활성화하거나 설립하였다... 연합활동을 위한..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8] 한국교회의 분열 - 연규홍 - 연규홍(한신대학교 교수) 1. 개관 한국교회는 분열을 통해서 성장하였다... 세계를 하나 되게 하고 화해케 하는 복음을 가진 교회가 그 어떠한 이유와 원인이든 분열하는 것은 리처드 니버(Richard Niebuhr)의 말처럼 그것은 “세계에 대한 교회의 윤리적 패배”이기 때문이다. (133) 문제는 한국교회의 분열이 개신교의 개혁전통에 충실해서 이루어진 것인가? (134) 1) 한국교회 분열의 내적 원인 한국 선교는 19세기 영미의 부흥운동과 학생운동에 기원한 복음주의 운동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선교단체와 교파들이 내한함으로 서로 공동의 연대와 통일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134) (1) 지역분할 선교정책 교파주의적 선교활동의 문제점과 폐해를 자각한 선교사들이 선교지 ‘예양협정’(Commity Agr..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7] 한국기독교와 남북분단, 6ㆍ25전쟁 - 김흥수 - 김흥수(목원대학교 교수) 1. 개관 교회의 국가 재건에 대한 입장은 처음에는 신탁통치 문제에서, 1947년 이후에는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 문제에서 잘 드러났다. (117) 2. 신탁통치에 대한 입장 교회의 국가 재건에 대한 입장은 신탁통치에 반대하나 남북협상노선을 따르는 중도파(김구, 김규식 지지 노선), 신탁통치를 지지하면서 북한의 사회주의 건설 노선을 따르는 소수의 좌파(김일성 지지 노선), 신탁통치를 반대하고 단독정부 수립을 지지하는 우파(이승만 지지 노선)로 나누었다. 한국교회 대다수가 추종하던 노선은 우파였다. (118) 1) 신탁통치 반대운동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는 한국의 정당 사회단체들과 협의하여 한국에 대한 미국ㆍ영국ㆍ소련ㆍ중국 4개국의 5년간 신탁통치에 관한 협정 초안..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6] ‘조선적 기독교’ 운동 - 이진구 – 이진구(호남신학대학교 교수) 1. 개관 ‘조선적 기독교’ 운동... 1920-1930년대에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선교사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한국인이 주체가 되는 신앙과 교회를 지향했다... 김교신과 『성서조선』 동인들을 중심으로 한 무교회주의, 최태용과 백남용의 복음교회, 이용도와 ‘원산파’의 합류에 의해 탄생한 예수교회... (98) 김교신과 최태용은 제도권 교회 밖에서 운동을 전개하였기 때문에 교회법에 따른 징계를 받지 않았지만, 감리교 목사였던 이용도는 징계를 받았다. (99) 한국교회의 제도화 단계... 장로교의 경우 1907년 독노회, 1912년 총회를 창립... 감리교의 경우 1912년 조선연회, 1930년 기독교조선감리회를 창설... (99) 종교사의 시각에서 보면 제도화는 교회의 조직적.. 2021. 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