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자료실]/[도서 정리]275 [한국근대사 산책 1]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3) 황준헌의 『조선책략』 파동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3) 황준헌의 『조선책략』 파동 친중(親中)ㆍ결일(結日)ㆍ연미(聯美) 1880년 8월 수신사 김홍집이 일본에 갔을 때 초대 주일중국(청)공사 하여장의 참찬(서기관) 황준헌(1848-1905)이 그를 보자고 청해 『조선책략』이라는 책을 건넸다. 이 책의 내용은 ‘친중(親中)ㆍ결일(結日)ㆍ연미(聯美)’, 곧 중국을 더욱 가까이 섬기고 일본ㆍ미국과 한편이 돼 연대함으로써 러시아의 남하를 막아야 한다는 것... (220) 조선은 아시아의 요충지... 미국을 긍정적으로 평가... “선왕(워싱턴)의 유훈을 지켜 예의로 나라를 세우고 남의 토지를 탐내지 않고 남의 인민을 탐내지 않고 굳이 남이 정사에 간여하지 않았다... 2021. 3. 14. [한국근대사 산책 1]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2) 후쿠자와 유키치는 누구인가?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2) 후쿠자와 유키치는 누구인가? 일본의 국민적 영웅 후쿠자와... 오사카에서 하급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난학과 영학을 배웠고 에도에 진출하여 막부 관료가 되었으며 세 차례의 구미견문을 통해 근대문명을 체득했다... 메이지유신 이후에는 게이오 의숙을 창설하는 등 계몽활동을 벌였고 『시사신보』를 통해 일본의 대외정책에 대해서도 적극 발언했다. (213) 일본의 최고액 지폐인 만 엔권에 등장... 최고의 찬사는 조선인에게서 나옴... 이광수는 “하늘이 일본을 축복하셔서 이러한 위인을 내리셨다”고 했다. (213) 1883년 김옥균의 주선으로 약 60명의 유학생, 1894년에는 조선 정부 위탁 유학생으로 약 20.. 2021. 3. 14. [한국근대사 산책 1]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1) 이동인, 고종을 만나다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6장 : 1880년대의 새로운 도전 (1) 이동인, 고종을 만나다 이동인의 귀국 1880년 4월 서울에 일본공사관이 설치되었다... 1880년에 835명이던 일본인 거주자는 공사관 설치 이후 1881년에는 3417명으로 늘어났다. (209) 1880년 8월 부산의 관세문제 해결 등의 공식 목적으로 김홍집(1842-1896)이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이동인이 김홍집 일행과 함께 귀국... 이동인이 가져온 신사상의 책자는 개화사상파들을 크게 고무시켰다. 귀국 시 교토의 본원사(일본의 절)는 이동인에게 쌀 200가마 값 1000엔을 주었다. 이 돈으로 일제상품을 구입해 선물하였다. (209-210) 조선인을 매료시킨 성냥 이동인의 소개로 .. 2021. 3. 14. [한국근대사 산책 1] 제5장 : 개화파의 등장 (3) 급진개화파ㆍ온건개화파ㆍ위정척사파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5장 : 개화파의 등장 (3) 급진개화파ㆍ온건개화파ㆍ위정척사파 중인계급의 진취성 1877년 박규수 사망 뒤에 역관(통역사)으로 중국을 왕래했던 오경석이 지도했다... 1871년 미국이 수호통상조약과 개항을 요청해 왔을 때 대원군을 만나 그걸 받아들이는 게 좋겠다는 건의를 한 적이 있었다. (192) 신용하... “(오경석이) 안으로는 박제가의 실학을 계승ㆍ발전시키고 밖으로는 자신이 베이징에서 구입해 가지고 온 신서들을 연구하여 1853-1859년의 기간에 처음으로 한국의 개화사상을 형성하게 되었다” (192) 오경석은 중인계급의 한계를 넘어서 진취적인 양반 자제들로 개화세력을 육성하고자 했다... “... 동지를 북촌의 양반 자제 중에서 구하.. 2021. 3. 14. [한국근대사 산책 1] 제5장 : 개화파의 등장 (2) 칸트는 알아도 최한기는 모르는 한국인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5장 : 개화파의 등장 (2) 칸트는 알아도 최한기는 모르는 한국인 고고(孤高)의 사상가 최한기 혜강 최한기(1803-1877)... 영어에 관한 국내 최초의 기록... 『지구전요(地球典要)(1857)에 알파벳 26자를 한자로 음역해 소개함... (186) 최한기의 천주교에 대한 입장... 조선 정부가 천주교에 대해 조금만 더 융통성을 보였더라면 하는 생각을 떨치기 어렵다. (187) 강재언... “19세기 전반기의 사상 상황의 최대 병폐는 외압에 의한 위기를 넘기는 데 필요한 인재가 없었던 것이 아니라 그런 인재를 처형하고 옥사시키고 유배시키며 초야에 묻히도록 한 데에 있었다... 그러나 그의 사상 역시 초야에 묻힌 물밑이 사상이고 서재 안.. 2021. 3. 14. [한국근대사 산책 1] 제5장 : 개화파의 등장 (1) 박규수의 개화파 육성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5장 : 개화파의 등장 (1) 박규수의 개화파 육성 개화사상의 3비조(鼻祖) 강화도조약의 성립엔 청국의 권유와 더불어 박규수의 건의도 작용했다. (181) 연암 박지원(1737-1805)의 손자로 평안감사와 우의정을 지낸 박규수(1807-1877), 중인 출신의 오경석(1831-1879)과 유홍기(유대치, 1831-1884)... 개화사상의 3비조(신용하)로 평가... (182) 박규수... 1872년 청나라 사신으로 다녀옴... 1874년 벼슬에서 물러난 후 젊은 관리와 집권층 자제들에게 개화의 필요성을 가르치는 데 전념했다.... 천주교세의 성장은 극히 위험시했다. (182) 박규수의 집을 드나들며 개화사상을 흡입한 청년 양반 지식인..... 2021. 3. 14. [한국근대사 산책 1] 제4장 : 강요된 개항 근대의 시작 (5) 1870년대의 생활문화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4장 : 강요된 개항 근대의 시작 (5) 1870년대의 생활문화 천연두와 종두법 실시 당시 가장 무서운 전염병은 두창ㆍ손님ㆍ마마ㆍ홍역 등 많은 이름으로 불리는 천연두... 천연두의 예방접종은 정조 때에 정약용에 의하여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나 서학 배척 분위기에 밀려 중단되고 말았다. 천연두는 당시 조선인 사망원인의 50퍼센트를 차지했다는 설이 있을 정도... (171-172) 박영선은 제1차 수신사 김기수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건너가 종두법을 배워 돌아온 후 이를 지석영에게 전수했다... 1875년생인 이승만은 여섯 살 때 천연두를 앓고 병발증(倂發症)으로 몇 달 동안 실명 상태에 빠졌다... 이승만의 부모는 아들을 일본인 의사에게 데려가 실명을.. 2021. 3. 14. [한국근대사 산책 1] 제4장 : 강요된 개항 근대의 시작 (4) 수신사 파견과 개항 이후의 풍경 강준만, [한국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4장 : 강요된 개항 근대의 시작 (4) 수신사 파견과 개항 이후의 풍경 최초의 수신사 파견은 실패 1876년 5월, 김기수를 정사로 하는 제1차 수신사 일행 75명을 일본에 파견... 김기수는 『일동기유(日東記遊)』(1877)를 남겼는데 여기엔 전신(電信)에 관한 각종 이야기와 사진관을 방문해 사진을 찍은 이야기 등이 소개... (163) 김용구... “메이지 유신 이후의 일본을 처음으로 시찰하는 사절이었으며 그의 견문은 조선의 일본정책 수립에 결정적인 자료가 될 수 있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김기수는 이런 역사적인 임무를 수행하기에는 적절치 못한 인물이었으며 따라서 최초의 수신사 파견은 실패였다고 나는 판단한다”고 했다. (164) 신국.. 2021. 3. 14. [한국 근대사 산책 1] 제4장 : 강요된 개항 근대의 시작 (3) 조선을 강제 개항시킨 병자수호조약(강화도조약) 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천주교 박해에서 갑신정변까지 제4장 : 강요된 개항 근대의 시작 (3) 조선을 강제 개항시킨 병자수호조약(강화도조약) 페리함대의 일본판(日本版) 1876년 2월 4일 강화도 초지진 앞에 출현한 일본 군함... 일본 정부의 특명전권변리공사이자 육군 중장인 구로다 기요타카를 포함한 800여 명의 병력... 6개월 전에 발생한 ‘운양호 사건’을 빌미로 조선과 강제로 수교조약을 맺으러 온 것... (155) 2월 27일 구로다는 조선측 대표 판중추부사 신헌을 상대로 수교조약을 강제로 체결했다. 총 12조로 구성된 이 조약은 국제법적 토대 위에서 양국 간에 이뤄진 최초의 외교행위이자 최초의 불평등조약... (156) 안영배... “조선의 집권자나 조약에 나선 교섭대표들이 일본의 .. 2021. 3. 14.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