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06

로저 E. 올슨, 『이야기로 읽는 기독교 신학』 도입 : 이야기로서 기독교 신학 기독교 신학의 역사는 이야기로서 전할 수 있는 또 반드시 이야기로 전해져야 한다. (15) 이 책은 역사 신학에 관한 “재교육 과정”을 원하는 기독교 목사와 신학 교육을 받지 못한 평신도나 학생들을 위하여 저술되었다. (17) 아무런 근거도 없이 발전된 기독교의 교리는 결코 있을 수 없다. 모든 신앙-정통적(신학적으로 올바른 것)이든 “이단적”(신학적으로 그릇된 것)이든 간에-도전을 통해 일어났다. 그러한 도전은 기독교를 전도하는 메시지 속에 들어 있는 왜곡된 복음일 수 있으며, 또 진정한 기독교 신앙과 반대되거나 비성경적으로 간주된 영적 체험이나 대중들의 신념일 수도 있다. 그것은 기독교 신학자들로 하여금 기독교 근원들로부터 동떨어져서 어떤 다른 대안을 찾도록 자극을 준 비기독교적 철학이나 문화적인 신.. 2021. 2. 26.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머리말 / 5 1. 한국기독교와 선교사 – 류대영 2. 한국기독교와 초기 부흥운동 – 서정민 3.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 윤경로 4. 한국기독교와 사회운동 – 한규무 5. 일제강점기 한국기독교 – 김승태 6. ‘조선적 기독교’ 운동 – 이진구 7. 한국기독교와 남북분단, 6ㆍ25전쟁 – 김흥수 8. 한국교회의 분열 – 연규홍 9. 한국기독교와 연합활동 – 안교성 10. 한국기독교와 이단종파 – 탁지일 11. 한국기독교의 신학 – 백용기 12. 한국기독교와 북한교회 – 유관지 13. 한국기독교의 고도성장 – 배덕만 14. 한국기독교와 해외선교 – 김은수 15. 한국기독교와 민주화운동 – 정병준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5] 한국기독교와 민주화운동 - 정병준 - 정병준(서울장신대학교 교수) 1. 개관 한국교회는 4ㆍ19 학생 혁명 이후 사회참여의 문제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구체적으로 사회문제에 발언을 시작한 것은 1964-1965년 한일국교정상화에 대한 반대였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이 삼선개헌을 추진하면서 교회는 진보와 보수로 분열되었고 이러한 갈등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257)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 NCC, 기독청년학생운동, 산업선교 및 빈민선교 실무자들이 중심이 된 에큐메니칼 운동 세력은 한국민주화 인권운동의 주력이 되었다. (257) 1980년 광주항쟁을 겪으면서 사회운동이 이념화되었다... 1980년대 한국교회의 공헌은 1987년 민주화 대투쟁의 과정에서 중심역할을 한 것이고 그 이후 민주화 통일운동의 물꼬를 터놓은 ..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4] 한국기독교와 해외선교 - 김은수 - 김은수(전주대학교 교수) 1. 개관 아프가티스탄... 분당샘물교회... (242) 세계 제2위의 기독교 선교국가... (243) 2. 1945년 해방 이전의 해외선교 감리교 홍승하 선교사... 장로교 이기풍 목사(제주도)... 감리교 이화춘 목사(북간도)... 장로교 한석진 목사(일본), 최관홀 목사(시베리아)... 장로교 김영제 목사(북간도)... 감리교 손정도 목사(만주)... (243-245) 한국기독교의 해외선교의 또 다른 특징은 연합선교, 즉 에큐메니칼 협력선교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245) 1910년 에든버러에서 개최된 세계 최초의 에큐메니칼 선교대회에서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참여한 윤치호는 해외선교기금을 분배할 때에 한국 현지 지도자들과 의논해야 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선교를 위한..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3] 한국기독교의 고도성장 - 배덕만 - 배덕만(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1. 개관 한국의 20세기는 일제의 식민화 과정과 함께 시작하였다... 이 시기이 한국기독교는 ‘민족복음화’라는 자신의 본래적 목적과 ‘민족해방’이라는 민족의 공통 과제를 동시에 성취해야 하는 이중의 부담을 안게 되었다... (217) 1) 독립협회, YMCA, 시민회 등을 통해 나타난 기독교인들의 민족ㆍ사회운동... 2) 학교와 병원을 통해 진행된 간접적 전도방법... 19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부흥ㆍ전도운동... (217-218) 2차대전 이후... 한국기독교는 북한기독교인들의 월남, 전쟁기간과 재건과정의 사회사업, 그리고 부흥운동을 통해 성장했다. (218) 1960년대부터 1980년대말까지... 한국기독교는 분단과 통일, 독재와 경제성장이란 새로운 사회적..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2] 한국기독교와 북한교회 - 유관지 - 유관지(감리교북한교회연구원[NCRC] 원장) 1. 개관 북한교회를 바라보는 수정적인 관점... “북한사회는 북한 내부 자체의 논리로 보아야 한다”는 내재주의적인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북한 기독교인들이 신앙경험을 중시하면서 북한기독교의 역사를 보는 것이다. (202)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북한의 ‘지하교회’를 북한교회의 주체로 보려고 하는데 비해, 수정주의적인 관점에서는 조선 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을 북한교회이 주체로 인식하고 있다. (202) 북한을 통치하게 된 공산정권은 처음에는 통일전선에 입각하여 기독교를 포섭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나 장대현교회 3ㆍ1절 기념예배에서 시작해서 여러 면에서 갈등을 겪었고 1946년 11월 주일선거문제를 둘러싸고 정면으로 충돌하는 양상을 보였다. (203) 1972년에 평..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1] 한국기독교의 신학 - 백용기 - 백용기(강남대학교 교수) 1. 개관 모든 신학은 그 신학이 위치한 곳에서 그 시대가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서 대답을 시도해야 한다. (186) 개신교 신학에서 가장 한국의 특징을 드러내는 신학이 토착화신학과 민중신학 그리고 여성신학이다... (187)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WCC와 IMC(국제선교협의회)의 통합은 기독교의 사회적 운동과 선교, 특히 토착화 신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87) 토착화신학은 1960~1970년대, 민중신학은 1970~1980년대, 여성신학은 1980~1990년대의 주요한 신학 활동이었다. (187) 한국기독교신학의 토착화신학... 최병헌, 정경옥, 길선주, 이용도, 김교신, 최태용, 유영모... (188) 민중신학은 1970~1980년대 한국의 정치, 사회, 경제..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10] 한국기독교와 이단 종파 - 탁지일 - 탁지일(부산장신대학교 교수) 1. 기독교 역사와 이단 초대교회의 이단 논쟁은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것이었다. 예수의 인성과 신성에 관한 논쟁이 주를 이루었다...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 (169) 중세교회의 이단 논쟁은 교회의 권위와 관련되어 있다. 중세 유럽사회에서 기독교는 종교(religion)일 뿐만 아니라, 문화(culture)인 동시에 삶의 공동체(community)였다.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적인 운명이었다... 종교개혁의 이단 논쟁은 성서의 가르침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170) 신대륙 정착 초기에는 미국 동부지역에서 몰몬교 등의 이단들이 주로 생겨났으나, 서부개척이 이루어지면서는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한 미국 서부지역에서 이단들이 집중적으로 발흥한다. 식민개.. 2021. 2. 25.
김흥수ㆍ서정민, 『한국기독교사 탐구』 [9] 한국기독교와 연합 활동 - 안교성 - 안교성(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1. 개관 한국교회의 교회일치운동의 몇 가지 특징... 1) 교회일치운동은 교회 합동(church union)이라는 조직적인 일치보다는 협력 혹은 협동(co-operation)이라는 실무적인 일치가 강하게 나타났다. 2) 교회 일치운동의 주도권이 교회의 발전단계에 따라 바뀌었다... 선교사 위주의 교회일치운동이 교회 중심, 현지인 중심의 교회일치운동으로 전환되어 나갔다. (152-153) 1) 초기의 산발적인 교회일치운동 : 개국 이전부터 1905년까지 한국교회 초기부터 선교사와 한국인의 협력이 이루어졌다(만주의 서상륜과 존 로스, 일본 이수정)... (153-154) 사역을 위하여 연합하였고, 관련된 사역별 에큐메니칼 기구를 활성화하거나 설립하였다... 연합활동을 위한.. 2021. 2. 25.